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대한협회회보』와 『서북학회월보』를 중심으로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6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근대 계몽기 발간된 회보(會報) 중 『대한협회회보』와 『서북학회월보』의 글들을 중심으로 1905년에서 1910년 사이 학술지 안에서 논의된 봉건/봉건제 개념을 정치체제와 사회구성 논의에 초점을 맞춰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동아시아 봉건제/군현제론의 재조명(미야지마 히로시, 박훈, 박광용, 조성산 등)을 통해 모색되고 있는 지식의 탈식민화 및 유럽중심주의 극복이라는 문제의식을 계승하면서, 주로 중국과 일본의 근대 전환기, 혹은 조선의 18세기와 19세기 초에 집중되었던 봉건제/군현제론에서 결락된 근대 계몽기(1905~1910) 조선의 봉건제 논의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특히 봉건론을 분석하는 데 있어 이 시기에 발간된 여러 회보들 중 『대한협회회보』와 『서북학회월보』 두 텍스트를 선택하는 이유는 중앙집권에 대한 문제, 사회의 애국성, 단합력의 신장의 문제를 놓고도 두 단체가 봉건제를 참조하여 독해하는 방식의 차이가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대한협회는 봉건의 내용을 양반 사대부가 중심이 된 지배구조로 보면서 이를 입헌군주제나 의회를 기반한 정당제로 흡수시키고자 한 대표적 단체였다. 반면, 서북학회는 16세기 서구 유럽의 봉건 제후국의 통일 과정에서 근대 국가 체제로서 스테이트(state)의 출현에 주목하면서 강력한 주권 국가의 전단계로서 봉건제를 이해하고 전제군주제를 주장하는 하나의 근거로 ‘feudalism’으로서 봉건제를 독해하였다. 근대 계몽기 학회보 안에서 중앙집권적 국민국가로 가는 데에는 일정정도 합의가 있는 것으로 보이나, 그 방향성에 대해서는 차이가 존재했다. 입헌군주제와 전제군주제의 주장의 차이는 단순히 정치체제의 차이가 아니라 신분제의 해체 문제와 사회 구성에 관한 제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중요하다. 근대의 방향성과 정체성의 문제를 생각하는데 있어 봉건/봉건제와 관련된 복잡한 논의들은 그 차이를 드러내는 핵심 키워드로 작용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concept Bong Geon(封建) and Feudalsim related with regime, social system with the reviews published by Daehanhyeophoe and Seobukhakhoe, associations and societies which were organized between 1905~1910 in the early modern Korea. This study succeeds research results about decolonization of the knowledge and overcoming Eurocentrism through reinterpretation on East Asian Fengjian Society(封建社會) and Junxian Society(郡縣社會) written by Miyajima Hiroshi, Prasenjit Duara, Park Hun and so on. But These arguments mainly focused on situation of modern Japan and China. So, in early modern Korea, how the discourse about Fengjian Society(封建社會) and Junxian Society(郡縣社會) had been discussed is needed to be studied. To do this, the reason this study focuses on two reviews, Daehanhyeophoe-hoebo and Seobukhakhoe-wolbo, among many reviews published by different modern associations and societies in early Modern Korea is noticeable differences about interpretation on Bong Geon(封建) and Feudalism between two reviews. Daehanhyeophoe interpreted Bong Geon(封建) as the pre modern governance by Yangban(兩班), the ruling class of Yi Dynasty Korea and tried neither to destruct the governance nor transform the pre-modern ruling system to modern governance through Constitutional Monarchy and Representative system. But Seobukhakhoe reinterpreted Feudalism in European History which resulted in Nation State as the reason to claim Powerful Sovereignty(主權) and Absolute Monarchy. Seobukhakhoe spoke up against the maintain of caste system through constitutional monarchy and representative system by Daehanhyeophoe and claimed completely destruction of caste system. Seobukhakhoe believed the Yangban(兩班), the ruling class was the essential element which delayed modernization and interrupted transition to the centralized state. The clear difference between two associations on interpretation on Bong Geon(封建)/Feudalism was connected to the different discourse on government, governance and social composition.

목차

국문 초록
1. ‘봉건’의 다양한 개념들
2. 입헌정체 구상 과정에서 봉건의 문제 - 대한협회의 의회 및 정당제 논의와 관련하여
3. 애국심과 전제군주제의 상관관계 -서북학회의 ‘feudalism’ 번역으로서 봉건제 논의와 관련하여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001-000507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