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우암(尤庵)의 주자철학에 대한 해석과 그 특색

Wooam's Understanding of Zhuzi's Philosophy and its Characteristics

동양철학
약어 : -
2007 no.28, pp.85 - 107
DOI : 10.19065/japk..28.200712.85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동양철학회
113 회 열람

우암은 기본적으로 율곡의 학통을 이어 받아 리기지묘(理氣之妙)리통기국(理通氣局)기발리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 등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는 한걸음 더 나아가 주자의 언설 가운데 “리(理)는 동정(動靜)이 있다”와 “리는 동정이 없다” 또 “리기(理氣)는 선후(先後)가 있다”와 “리기는 선후가 없다”는 것들이 상호 모순적인 것이 아니라 각각 그 맥락에 따라 함축하는 의미가 다르다고 해석하였다. 또한 사단과 칠정에 대해서 모두 기(氣)가 발하고 리(理)가 올라타는 것이라고 이해를 하였지만, 사단에도 중절(中節)과 부중절(不中節)이 있다는 주자의 언설에 주목을 하였다. 그에 따르면, 중절(中節)의 선(善)과 부중절(不中節)의 불선(不善)은 성(性)의 선악(善惡)에서 비롯한 것이며 이것은 리(理)에 선악(善惡)이 있음에 근거한 것이다. 그러나 우암이 주목한 정명도(程明道)의 말은 ‘기의 품수에 따른 품성(稟性)은 좋고 나쁨이 있다’‘이치상 좋고 나쁨이 있다’는 차원에서 언급된 것이다. 정자(程子)과 주자(朱子)의 언설을 추종한 우암의 입장에서는 정합적 이론의 구축을 시도한 것이겠지만 한편으로는 지나치게 의미확대를 하였다. 전체적으로 보자면 율곡의 관점을 계승하여 우암이 운동성을 띤 기(氣)를 중시한 것은 주자(朱子)가 서거한 뒤 400년 훨씬 넘은 시점에서 이미 변화한 세계관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中文摘要】 尤庵對朱子哲學的理解與其特色 鄭 相 峯 尤庵則基本上繼承栗穀以來的學統, 而主張理氣之妙․理通氣局․氣發理乘一途說 等等. 不過他進一步指出在朱子的言說之中“理有動靜”和“理無動靜”․“理氣有先後”和“理氣無先後”並不是互相矛盾的, 而是在不同的脈絡上各具其含意. 至於四端與七情, 他就認爲兩者皆是氣發而理乘之者. 但是他注意到朱子所說“四端亦有中節與不中節之分”. 據他所說, 中節的善和不中節的不善是由於“性有善惡”而來的, 並且這是基於“理有善惡”的. 然而如果仔細看程明道之言說, 可知其意思則是指‘依氣之稟受而得的稟性就有善惡’以及‘理當(或理該)有善惡’. 尤庵的學說也許是由於他推崇二程和朱子以試圖建構具有整合性的理論體系, 但有嫌過於給其言說擴大其涵義的。總體來說, 尤庵則繼承栗穀的觀點而著重具有運動性的氣, 這就反映了朱子逝去四百多年以後已改變的整個世界觀. 關鍵詞: 理, 動靜, 四端, 中節, 不中節, 性有善惡, 理有善惡

리, 동정, 사단, 중절, 부중절, 성유선악, 리유선악
理, 動靜, 四端, 中節, 不中節, 性有善惡, 理有善惡

  • 1. [단행본] / 二程集 / 中華書局 標點本
  • 2. [단행본] / 朱子大全 / 臺灣中華書局, 四部備要本
  • 3. [단행본] / 朱子語類 / 中華書局 標點本
  • 4. [단행본] / 退溪集
  • 5. [단행본] / 栗谷全書
  • 6. [단행본] / 宋子大全
  • 7. [단행본] / 1984 / 朱子大全箚疑 / 保景文化社
  • 8. [단행본] / 1994 / 程書分類 / 學民文化社
  • 9. [단행본] / 2005 / 心經附註釋疑 / 學民文化社
  • 10. [단행본] / 寒水齋集
  • 11. [단행본] 韓元震 / 2002 / 주자언론동이고=朱子言論同異考 / 소명
  • 12. [단행본] 李恒老 / 1985 / 朱子大全箚疑輯補 / 韓國學資料院
  • 13. [단행본] 牟宗三 / 1987 / 心體與性體 / 臺北, 正中書局
  • 14. [학위논문] 이봉규 / 1996 / 송시열의 성리학설 연구
  • 15. [단행본] 이상익 / 2005 / 畿湖性理學論考 / 심산출판사
  • 16. [학술지] 리기용 / 2007 / 우암 송시열의 리기?심성론 연구 / 한국철학논집 (21) : 101 ~ 21 kci
  • 17. [학술지] 정상봉 / 2003 / 주희철학과 한국사칠논변 / 동서철학연구 (29) : 207 ~ 29 k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