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한의학과 오행론 — 오행배속의 작위성과 오행론의 반증불가능성을 중심으로 —

The defensive argument for Five Phases Theory, basic theory of Oriental Medicine/

동양철학연구
약어 : -
2013 no.74, pp.179 - 202
DOI : 10.17299/tsep..74.201305.179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동양철학연구회
인용한 논문 수 :   -  
196 회 열람

오행은 한의학의 중요한 기초이론이다. 따라서 한의학에 대한 비판은 종종 오행을 겨냥한다. 오행배속이 작위적이라거나 반증불가능하므로 과학이 아니라는 비판은 그 중 대표적인 것들이다. 본고는 이런 비판이 오행배속의 역사에 대한 정보부족과 오행의 논리적 특성에 대한 오해로 인해 과장되거나 잘못되었음을 보여주기 위한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오행의 작위성에 관한 비판은 간을 목에 배당하는 것과 같은 오행의 배속에 관한 것이다. 오행배속의 논리는 은유에 의한 것이고, 때문에 은유의 ‘돋보이기’와 ‘숨김’을 통한 왜곡이 존재할 여지가 있다. 때문에 오행배속이 작위적이라는 것은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러나 『禮記・月令』편의 注疏는 오행배속에 경험이 고려되었음을 증명한다. 인위적 구성보다는 객관적 발견이 중요한 의학의 영역에서는 오행배속의 작위성이 경험에 의해 견제되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오행배속이 작위적이라는 말이 너무 과장되어서는 안 된다. 오행은 반증불가능하다. 그렇지만 이 말의 배후에 있는 생각 ‘따라서 오행은 사이비과학법칙으로 폐기되어야 한다.’는 것은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오행배속은 유형(type) 차원에서 벌어지는 문제이므로 반증될 수 있고, 『예기・월령』편에 실려 있는 오장의 오행배속사는 그런 반증의 예를 증명한다. 그러나 범주(category)로서의 오행은 인과와 마찬가지로 반증되지 않는다. 오행의 반증불가능성에 대한 비판은 오행론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몸이 하나이므로 의학의 이론도 단일해야 한다는 주장은 설득력 있게 들린다. 그러나 지각을 통해서만 몸에 도달할 수 있는 우리가 지각하는 몸은 정말로 같을까? 인류가 어쩔 수 없이 자신이 지니고 있는 세계관으로 세상의 일부만 파악할 수밖에 없다면, 특정한 부분을 보여주는 특정한 세계관이라는 안경은 인류의 지적자산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어 줄 것이다. 이것이 내가 오행이 아닌 한의학적 세계관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는 이유고 그런 세계관의 산물인 오행을 변론하는 까닭이다.

There are two hard critiques against the Five Phase theory(五行論) that found oriental medicine. One is that '五行論 is artificial'. The other is that '五行論 is not disproved so is not scientific law'. These critiques are mainly due to misunderstanding of Five Phases. In this treatise I tried to show that these critiques are occurred for misunderstanding of 五行論Of course Putting things into five phases(五行配屬) is some arbitrary. And this arbitrariness does not bring about any problem, if it is the matter of society or history. For Such field need not to be described as it is. But if in the medicine, the arbitrariness can cause serious problem. But fortunately we can find some evidences in the footnotes of chapter Yue Ling in Li Ji『禮記・月令』 that argue against the arbitrariness of grouping by five phases. We can see the putting of five viscera into 五行 is being revised for the empirical reason in that footnotes. To say the least, In the field of medicine the arbitrariness of 五行配屬 is restrained for practical reason. Certain Scholars criticize 五行論 for its impossibility of disproof. But they should know the fact that 五行 is not just typical but also categorical. 五行 is not disproved as 'causal relation' itself is not disproved. Of course, concrete causal relation is disproved by an empirical evidence. But causal relation itself is not disproved.

오행, 오장, 한의학, 오행배속.
five phases, five viscera, oriental medicine, Putting things into five phases(五行配屬).

  • 1. [기타] / 禮記
  • 2. [기타] / 黃帝內經
  • 3. [기타] / 史記
  • 4. [단행본] 김근 / 2004 / 한자는 중국을 어떻게 지배했는가 / 민음사
  • 5. [단행본] 이종흡 / 2009 / 서양과학의 기원들 / 나남출판사
  • 6. [단행본] 류중하 / 1999 / 동양, 서양, 그리고 아름다움 / 푸른숲
  • 7. [단행본] 山田慶兒 / 1994 / 중국과학의 사상적 풍토 / 전파과학사
  • 8. [단행본] 龍伯堅 / 1988 / 황제내경개론 / 논장
  • 9. [단행본] Ted J. Kaptchuk / 1992 / 벽안의 의사가 본 동양의학 / 가서원
  • 10. [단행본] 栗山茂久 / 2013 / 몸의 노래 / 이음
  • 11. [단행본] 山田慶兒 / 1999 / 中國醫學の起源 / 岩波書店
  • 12. [단행본] 馬繼興 / 1992 / 馬王堆古醫書考釋 / 湖南科學技術出版社
  • 13. [단행본] 張仲景 / 1988 / 古本康平傷寒論 / 湖南科學技術出版社
  • 14. [단행본] Manfred Pokert / 1974 /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Chinese Medicine: Systems of Correspondence / The MIT Rress
  • 15. [단행본] Paul Unschuld / 2009 / What is medicine / Uni. of California Press
  • 16. [단행본] Joseph Needham / 2000 /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v Ⅵ / Cambridge Uni. Press
  • 17. [단행본] A. C. Graham / 1986 / Yin-Yang and the Nature of Correlative Thinking / The Institute of East Asian Philosophies
  • 18. [학술지] 김영건 / 2011 / 상관적 사유와 심미적 질서 / 철학논집 / 26 : 165 ~ kci
  • 19. [학술지] 이기백 / 2005 / 고대 헬라스에서 철학과 의학의 관계 / 의사학 / 14 (1) : 32 ~ 1 kci
  • 20. [학술지] 홍성기 / 2004 / 緣起說의 관계론적 해석에 기반한 陰陽五行論의 재구성 / 한국불교학 (37) : 289 ~ 37 kci
  • 21. [학술지] 문재곤 / 1990 / 음양오행론의 전개에 관한 연구(1) / 철학연구 / 14
  • 22. [학술지] 박동인 / 2009 / 鄒衍의 五行相勝說과 相生說의 구조와 함의 / 철학연구 / 84 (84) : 83 ~ 84 kci
  • 23. [학술지] 정우진 / 2010 / 상관적 사유의 비판적 고찰 / 범한철학 / 58 (3) : 1 ~ 3 kci
  • 24. [학위논문] 정우진 / 2010 / 『황제내경』의 형성배경에 관한 철학적 연구 : 유비적 사유의 전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