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想爾注』 양생론 연구

The study of 想爾注 longevity technique theory

동양철학연구
약어 : -
2013 no.73, pp.285 - 315
DOI : 10.17299/tsep..73.201302.285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동양철학연구회
146 회 열람

五斗米道의 소의경전으로 1900년 돈황석굴에서 발굴된 『想爾注』에서는 후한대의 주류이념이었던 경학을 부정하고 양생론을 주장한다. 그러므로 『상이주』는 양생에 토대한 도교경전 혹은 양생서라고 규정할 수 있겠다. 그러나 『상이주』가 양생서라고 해서, 본래의 『도덕경』이 양생서라고 말해서는 안 된다. 『도덕경』에는 양생서로 해석될 적극적인 증거가 없다. 본래의 『도덕경』과『상이주』에는 얼마간의 간극이 존재한다. 『상이주』는 『도덕경』의 이념위에 후한대의 주된 양생론이었던 양심적 양생론을 받아들이고, 그 위에 다시 종교적 특성을 결합시켜 양생론의 이념적 토대를 닦은 후, 윤리적 덕목을 양생과 연결시켰다. 『상이주』의 기본관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精을 소모하면 수명이 준다. 2) 정을 소모하는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사정과 사려가 있다. 3) 마음이 동요하면 도가 떠나고 도가 떠나면 몸은 사기의 침입에 무방비로 노출된다. 4) 마음의 동요 즉, 志意를 놓아두면 대상을 사려하게 된다. 5) 대상을 사려하면 반드시 희노의 감정이 따른다. 6) 희노의 감정이 따르면 몸은 안에서부터 병든다. 7) 인격신화된 도가 선악에 따라 수명을 가감한다. 따라서 장수하기 위해서는, 희노의 감정을 중화시켜야 하고, 선을 행하고 악을 금해야 하며, 대를 잇기 위하여 사정해야 하지만, 방사는 조절해야 한다. 욕정의 대상을 사려해서는 안 되고, 마음을 청정하게 해야 한다는 양생의 원칙이 도출된다. 『상이주』의 양생론은 『도덕경』의 논리위에 ‘양심적 양생론’을 받아들이고 그 위에 양생윤리와 결합된 종교성을 더한 양생론으로, 개인적 차원의 양생론이 사회적 담론으로 발전해나간 초기의 예를 보여준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Xiang Er Zhu想爾注 was the bible of Wu Dou Mi Dao(五斗米道). It strongly criticize against jingxue(經學) and other nurturing life theory. It propose the theory of nurturing life(養生論). The basic thought told in this book is as follows. 1) losing essence(失精) is similar to losing life. 2) What cause the loss of essence are ejaculation and excess thinking. 3) Mind perturbation brings about tao(道)'s departure. 4) Zhi Yi(志意), that is, the mind perturbation tends to plan and desire the object. 5) Desire the object, then the emotion of joy and anger occur. 6) Then the body sick. 7) If you do right or wrong, 道 increase or decrease the life So, to get long life,1) Make the feeling peaceful. 2) Do good and Forbid bad. 3) To continue lineage, Must ejaculate. but must control it. 4) Not desire the object. 5) Make mind peaceful. First, The nurturing life theory of Xiang Er Zhu is based on the ideology, that is, make the mind peaceful. On this basis, It adapted medical knowledge. by this adaption, it developed the theory of traditional emotional theory into medical nurturing life theory(醫學養生論). But anything told above is not enough to be ideology that should be dedicated to society. So, the step of Xiang Er Zhu goes to Yang Sheng Lun Li養生倫理, ethics combined with nurturing life theory.

상이주, 양생, 양심적 양생론, 양생윤리.
Xiang Er Zhu, nurturing life, self cultivation, taoism ethics.

  • 1. [기타] / 黃帝內經
  • 2. [기타] / 管子
  • 3. [단행본] 한흥섭 / 2006 / 혜강집 / 소명 : 1 ~
  • 4. [단행본] 윤찬원 / 1998 / 도교철학의 이해 / 돌베개
  • 5. [학술지] 김윤경 / 2012 / 『老子想爾注』, ‘心’의 종교적 변모 / 동양철학 (37) : 185 ~ 37 kci
  • 6. [학술지] 김태용 / 2008 / 도교의 생명윤리 / 도교문화연구 (28) : 127 ~ 28 kci
  • 7. [단행본] 이진수 / 1990 / 조선양생사상의 성립에 관한 고찰, In 한국도교사상의 이해
  • 8. [학술지] 이봉호 / 2009 / 『老子想爾注』의 世間僞伎와 結精成神 / 도교문화연구 (30) : 138 ~ 30 kci
  • 9. [학술지] 이석명 / 1999 / 노자의 양생론적 이해와 도교적 계기 / 동양철학
  • 10. [학술지] 이진용 / 2009 / 葛洪 『抱朴子內篇』의 생명윤리사상에 대한 이해 / 도교문화연구 (31) : 135 ~ 31 kci
  • 11. [학술지] 정우진 / 2010 / 養生과 한의학 :『黃帝內經』의 순환론을 중심으로 / 도교문화연구 (32) : 167 ~ 32 kci
  • 12. [학술지] 정우진 / 2011 / 養生의 기원에 관한 연구 / 범한철학 / 62 (3) : 61 ~ 3 kci
  • 13. [학술지] 정우진 / 2012 / 先秦시기 養心적 양생술의 전개에 관한 연구 — 『관자』사편, 『맹자』, 『순자』를 중심으로 — / 동양철학연구 (71) : 185 ~ 71 kci
  • 14. [단행본] 饒宗頤 / 1991 / 老子想爾注校證 / 上海古籍出版社
  • 15. [단행본] 黎志添 / 1999 / 道敎與民間宗敎硏究論集 / 學峰文化事業公司出版
  • 16. [단행본] 王明 / 1988 / 太平經合校 / 中華書局
  • 17. [단행본] 王卡 / 1993 / 老子道德經河上公章句 / 中華書局
  • 18. [단행본] 馬繼興 / 1992 / 馬王堆古醫書考釋 / 湖南科學出版社
  • 19. [단행본] 坂出祥伸 / 1992 / 道敎と養生思想 / ぺりかん社
  • 20. [단행본] 饒宗頤 / 1991 / 老子想爾注校證 / 上海古籍出版社
  • 21. [단행본] 姜生 / 2002 / 中國道敎科學技術史 / 科學出版社
  • 22. [단행본] 顧寶田 / 1997 / 新譯老子想爾注 / 三民書局印行
  • 23. [단행본] 砂山稔 / 1983 / 道敎と老子, In 道敎の展開 / 平河出版社
  • 24. [단행본] 論老子想爾注的養生思想 / 2005 / 論老子想爾注的養生思想, In 中國道敎
  • 25. [단행본] 李養正 / 1983 / 老子想爾注與五斗米道 / 道协会
  • 26. [단행본] 민병훈 / 2010 / 돈황의 역사와 문화 / 사계절
  • 27. [단행본] 酒井忠夫 / 1991 / 도교란 무엇인가 / 민족사
  • 28. [학위논문] 오상무 / 1996 / 老子河上公, 想爾, 王弼三家注比較硏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