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연속과 불연속의 관점에서 본 아비담마의 마음과 프로이드의 무의식

Abhidhamma’s Mind and Freud’s Unconsciousness in terms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동서철학연구
약어 : S.P.E.W
2014 no.71, pp.223 - 248
DOI : 10.15841/kspew..71.201403.223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동서철학회
341 회 열람

마음과 무의식은 불교심리학과 서양심리학을 정초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아비담마의 心意識과 프로이드의 무의식을 연속과 불연속의 관점에서 비교하고자 한다. 아비담마에서 心은 識과 意를 포함한다. 아비담마의 心은 86가지 識과 3가지 意로 이루어져 있다. 識은 현재 아는 마음이고, 意는 識을 돕는 세 가지 마음을 말한다. 또 다른 분류에 의하면 과보의 마음은 해로운 마음과 유익한 마음의 결과이면서도 업과는 관련이 없는 이중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마음이다. 과보의 마음은 경험되기 전까지 찰나생멸하는 운동과 인과법칙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활동한다. 바왕가는 존재를 지속하는 마음이면서 일반적인 인식과정의 전후에 위치한다. 프로이드에서 무의식은 의식과의 연속성의 정도에 따라서 서술적, 역동적, 체계적 의미로 구분가능하다. 특히 체계적 무의식은 의식의 특징인 갈등, 충돌, 부정, 의심, 확신, 시간성으로부터 벗어나고, 유동적이고, 자신의 법칙을 따른다. 이런 측면에서 의식과 불연속적인 반면, 의식과의 의사소통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는 측면에서 의식과 연속적이다. 프로이드의 의식과 무의식은 연속과 불연속의 가능성을 동시에 가진다. 이러한 의식과 무의식의 연속과 불연속의 문제는 무의식의 존재를 증명하는 과정에서부터 출현한다. 프로이드의 세 가지 의미의 무의식에 배대할 수 있는 아비담마의 개념을 意, 과보의 마음, 바왕가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意, 과보의 마음, 바왕가는 인식가능하다는 점에서 의식과 연속적이면서, 의식인 識의 전후에 위치하면서 識과는 구별되는 자신의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의식과 불연속적이라고 할 수 있다.

Citta in abhidhamma comprises 86 kinds of viññāṇa and 3 kinds of mano. Viññāṇa is the knowing mind in presence, mano is three mind which assists viññāṇa. Resultant mind is the result of unwholesome and wholesome mind and is regardless of kamma. Resultant mind is moving continuously before experiencing itself and acts with law of cause and effect. Bhavaṇga is life-continuum mind and positions before and after the general cognition process. Proofing the existence of the unconscious, problem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occurs. According to degree of dependence of the conscious, the unconscious is classified into three: descriptive, dynamic, and systematic. Specially in systematic Unconscious are there the characteristics which are exemption from mutual contradiction, primary process, timelessness, and replacement of external by psychical reality. In this respect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is discontinuous, yet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are they also continuous. We can find three types of the unconscious in three kinds of mind in abhidhamma: mano, resultant mind, bhavaṇga. Three kinds of mind are continuous in that they can be cognizable, and also discontinuous in that they have their own specific characteristics locating before and after the viññāṇa.

意, 과보의 마음, 바왕가, 의식, 무의식, 연속성, 불연속성
mano, resultant mind, bhavaṇga, the unconscious, the conscious, continuity, discontinuity

  • 1. [단행본] アアルボムッレ / 2009 / 心の生滅の分析 / サンガ
  • 2. [단행본] 각묵스님 / 2010 / 초기불교이해 / 초기불전연구원
  • 3. [학술지] 강명희 / 1996 / 初期經典에 나타난 識에 관한 硏究 / 회당학보 / 4 : 171 ~
  • 4. [학술지] 김석 / 2013 / 쾌락자아와 현실자아 -역동적 무의식의 두 원천- / 철학과 현상학 연구 (57) : 27 ~ 57 kci
  • 5. [학술지] 김성철 / 2012 / 불교의 구사학으로 풀어 본 무의식과 명상 / 불교와심리 (5) : 6 ~ 5
  • 6. [학술지] 박찬부 / 2013 / 무의식과 라깡의 실재 개념 /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 15 (1) : 97 ~ 1 kci
  • 7. [단행본] 박찬부 / 2007 / 주체, 욕망 - 정신분석학과 텍스트의 문제 / 창비
  • 8. [학술지] 배우순 / 2008 / S. 프로이트의 심층 심리적 무의식에 대해서 - E. 후설의 “현상학적 무의식”에 연관해서 - / 철학논총 / 4 (54) : 309 ~ 54 kci
  • 9. [학술지] 배우순 / 2009 / S. 프로이트의 인격이론 / 철학연구 / 112 : 53 ~ kci
  • 10. [단행본] 水野弘元 / 1978 / パ-リ佛敎を中心とした佛敎の心識論 / ピタカ
  • 11. [단행본] 장 라플랑슈 / 2005 / 정신분석사전 / 열린책들
  • 12. [단행본] 지그문트 프로이트 / 2003 / 무의식에 관하여 / : 155 ~
  • 13. [단행본] 지그문트 프로이트 / 2003 / 정신분석학의 근본개념 / : 23 ~
  • 14. [학술지] 村上眞完 / 1989 / 諸行考 (Ⅲ): 原始佛敎の身心觀 / 佛敎硏究 (18) : 43 ~ 18
  • 15. [단행본] 최봉수 / 1991 / 伽山學報 創刊號 / 가산불교문화진흥원 : 265 ~
  • 16. [단행본] Anuruddha / 2002 / 아비담마 길라잡이 / 초기불전연구원
  • 17. [단행본] Bhikkhu Bodhi / 1999 /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the abhidhammattha sangaha of acariya anuruddha, Kandy /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 18. [단행본] Buddhagosa / 2004 / 청정도론1, 2, 3 / 초기불전연구원
  • 19. [단행본] Freud Sigmund, Strachey, J. / 1914 /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 of Sigmund Freud Vol.ⅩⅣ : 159 ~
  • 20. [단행본] Gardner, S / 1991 / The Cambridge Companion to Freud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136 ~
  • 21. [단행본] Gethin, R. / 1994 / The Buddhist Forum, Vol.Ⅲ / SOAS : 11 ~
  • 22. [단행본] Johansson / 1965 / University of Ceylon Review Vol.ⅩⅩⅢ / Nos. 1 & 2 : 165 ~
  • 23. [단행본] T. W. Rhys Davids / 1921 / The Pali Text Society’s Pali-English Dictionary / The Pali Text Society
  • 24. [단행본] Whitney, W. D / 1983 / The Roots, Verb-Forms and Primary Derivatives ofSanskrit Language / Montilal Banarsid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