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논문은 4차 산업혁명이 주도하는 미래사회에 도덕교육이 더 필요하게 된다는 점을 밝히고 어떻게 하면 도덕교육을 발전시킬 수 있을지에 대해 몇 가지 점을 제안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먼저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핵심적 기술들을 분석하여 그 부작용들이 사회의 도덕적 문제의 형태로 나타날 가능성이 클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이후 그러한 도덕적 문제를 해결하려면 학교 도덕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도덕판단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도덕판단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첫째, 기존 도덕교육에서는 학생들이 스스로의 도덕원칙을 수립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어야 한다. 도덕판단의 기준이 도덕원칙이기 때문이다. 나열식 윤리사상 소개를 지양하고 대표적인 도덕원칙들을 명료하게 제시하여 학생들이 그것을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부여해야 한다. 둘째, 도덕교육의 새로운 시도로는 메타인지 능력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메타인지는 자신의 인지에 대한 인지로서 내가 어떤 것을 알고 있고 어떤 것을 개선해야 하는지를 아는 것이다. 이러한 메타인지 능력은 미래의 예측 못한 도덕적 문제들에 대해서도 학생들이 자신만의 탐구방법을 통해 주체적인 도덕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키워드

4차 산업혁명, 도덕문제, 도덕교육, 도덕판단능력, 도덕원칙, 메타인지

참고문헌(14)open

  1. [보고서] 박영숙 / 2017 / 2020 미래교육보고서

  2. [보고서] 박영숙 / 2017 / 세계미래보고서 2055

  3. [학술지] 이주은 / 2018 / ‘메타인지’의 뇌기제와 교육의 방향 및 방법 연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8 (8) : 443 ~ 450

  4. [학술지] Schoenfeld, Alan H. / 1983 / The Wild, Wild, Wild, Wild, Wild World of Problem Solving / (A Review of Sorts),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3 (3) : 40 ~ 47

  5. [인터넷자료] BBC뉴스기사 / 2050년까지 인류가 직면할 10가지 도전

  6. [단행본] C. 파델 / 2017 / 4차원 교육, 4차원 미래역량 / 새로온봄

  7. [단행본] D. 핑크 / 2016 / 새로운 미래가 온다 / 한국경제신문

  8. [학술지] Flavell, J. H. / 1979 / Metacognition and cognitive monitoring : A new area of cognitive developmental inquiry / American Psychologist 34 : 906 ~ 911

  9. [단행본] J. 콜빈 / 2016 / 인간은 과소평가 되었다 / 한스미디어

  10. [단행본] K. 슈밥 / 2018 /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 새로운현재

  11. [단행본] L. 메켈프 / 1992 / 가치교육 / 철학과현실사

  12. [학술지] Mohamed E. Osman / 1992 / Metacognition Research and Theory: Analysis and Implications for Instructional Design /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0 (2) : 83 ~ 99

  13. [학술지] Pekrun, R. / 2002 / Academic emotions i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A program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 Educational Psychology 37 (2) : 91 ~ 106

  14. [단행본] W. 커틴스 / 2004 /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