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의 논지는 두 가지이다. 첫째 세 가지 기둥으로 이해하던 유식학을 인식목표와 인식과정이라는 두 가지 관점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고, 둘째 두 가지 관점 각각에 대해서 치유적 함의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첫 번째 기둥인 유식성과 세 번째 기둥 가운데 원성실성은 유식학의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승의적, 성인의 인식과정의 목표라면, 범부의 인식과정은 변계소집성으로 드러난다. 유식성에 의해서 유식학은 변화의 심리학이 되므로 유식성은 치유의 가능 근거로 성립한다. 범부의 인식과정에서 변계소집성은 원성실성 또는 유식성이라는 유식학의 목표로 나아가야 한다는 치유적 함의가 있다. 두 번째 기둥인 삼식에서 전육식은 자신의 고유한 감각기능을 가지고 팔식으로 저장되거나 육식에서 종합한 이후에 팔식으로 저장된다. 저장과 관련해서 육근청정이라는 치유적 함의를 가진다. 의(意)는 자신의 고유한 감각기능, 종합하는 기능, 나중심으로 종합하는 기능, 이숙식으로 기억하는 기능을 가진다. 의는 전육식, 육식, 칠식, 팔식에서 모두 기능을 한다. 팔식을 대상으로 칠식의 정보처리를 통해서 육식으로 드러나는 것이 범부의 인식과정이다. 범부의 인식과정에서 나중심으로 이러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칠식이라고 한다. 나중심이 아니라 연기중심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은 성인의 인식과정이다. 팔식이라는 정보를 나중심으로 처리할지, 연기중심으로 처리할지의 문제가 칠식의 치유적 함의가 된다. 팔식 가운데 기억된 정보 즉 이숙식은 새로운 선택가능성을 함축하고, 장식은 올바른 기억하기와 기억내기의 함축이 있고, 신체유지식은 심신연기적 치유가능성을 가지고, 유분식은 숙세와 원가족에 대한 함의를 가지고, 기세간식과 공업식에서 환경과 사회적 요소가 치유의 영역으로 들어오고, 종자식과 훈습식은 붓다의 명언종자를 심게하고, 훈습여부를 결정한다. 언어적, 영상적, 에너지적 저장방법 각각이 치유적 함의를 가진다. 인식목표와 인식과정에서 어떤 것을 선택할지를 결정하는 것은 심(心)이다. 전식득지, 변계에서 원성으로, 범부에서 성인으로, 세속에서 승의로, 나중심에서 연기중심으로의 선택은 팔식의 심의 작용이다.

키워드

유식, 삼식, 삼성, 인식목표, 인식과정, 육식, 칠식, 팔식

참고문헌(31)open

  1. [단행본] J. W. de Jong / 1997 / MMK = Nāgārjuna Mūlamadhyamakakārikāḥ / The Adyar Livrary and Research Centre

  2. [단행본] T. W. Rhys Davids / 1986 / PED = The Pali Text Society’s Pali-English Dictionary / The Pali Text Society

  3. [단행본] Anurudha / 2002 / 아비담마 길라잡이 / 초기불전연구원

  4. [학술지] 강명희 / 2014 / 마음과 자연환경과의 관계 -『유가사지론』종자설 중심으로- / 禪學(선학) (38) : 137 ~ 166

  5. [학술지] 강명희 / 2015 / 아뢰야식이 외부의 객관세계를 통섭하는 방식 - 유식논서에 나타난 기세간종자설을 중심으로 - / 동아시아불교문화 (22) : 469 ~ 499

  6. [학술지] 권오민 / 2010 / 알라야식의 연원에 관한 一考 ―上座 슈리라타의 18界 이해를 중심으로 / 불교학연구 26 : 79 ~ 140

  7. [학술지] 권오민 / 2014 / 上座 슈리라타의 ‘一心’과 알라야識 / 한국불교학 (70) : 193 ~ 223

  8. [학술지] 김성철 / 2006 / 한국유식학연구사 / 불교학리뷰 1 (1)

  9. [학술지] 김성철 / 2010 / 알라야식의 기원에 관한 최근의 논의 ─람버트 슈미트하우젠과 하르트무트 뷔셔를 중심으로 / 불교학연구 26 : 7 ~ 45

  10. [학술지] 김치온 / 2013 / 유식학의 연구현황과 연구과제 / 한국불교학 68 : 135 ~ 168

  11. [단행본] 나가오 가진 / 2005 / 중관과 유식 / 동국대학교출판부

  12. [단행본] 대림 스님 / 2012 / 맛지마니까야 1 / 초기불전연구원

  13. [학술지] 박재용 / 2015 / 유식불교와 심리치료 - 연구경향 분석과 과제 - / 불교학보 (71) : 251 ~ 280

  14. [학술지] 박재용 / 2015 / 유식불교의 심리치료적 특징 고찰 - 선행연구 분석과 연구방향 모색 - / 인도철학 (45) : 97 ~ 130

  15. [단행본] 아누룻다 / 2019 / 아비담마 종합 해설 / 불광출판사

  16. [단행본] 勝呂 / 1993 / 유식사상 / 경서원

  17. [단행본] 안성두 / 2005 / 수행법 연구 / 조계종출판사

  18. [학술지] 안성두 / 2005 / 유식문헌에서의 三性說의 유형과 그 해석 / 인도철학 (19) : 61 ~ 90

  19. [단행본] 龍樹菩薩 / 2001 / 中論 / 경서원

  20. [학술지] 윤희조 / 2017 / 불교심리학의 관점에서 보는 네 가지 차원의 마음 / 동서철학연구 (86) : 127 ~ 151

  21. [학술지] 윤희조 / 2018 / 영역과 정의의 관점에서 보는 번뇌의 심리학 / 동서철학연구 (89) : 215 ~ 243

  22. [학술지] 윤희조 / 2016 / 불교와 정신신경면역학: 생명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가능성에 대한 일고찰 / 동서철학연구 (82) : 197 ~ 230

  23. [학술지] 이지수 / 1998 / 安慧의 <釋>에 따른 唯識三十頌의 이해 / 불교학보 35

  24. [단행본] 이중표 / 2003 / 근본불교 / 민족사

  25. [학술지] 이필원 / 2017 / 명상상담 10년 연구사 검토 / 명상심리상담 17

  26. [학술지] 이혜경 / 2010 / 唯識性(vijñaptimātratā)의 定義에 대한 고찰 / 불교학연구 26 : 297 ~ 328

  27. [단행본] 이혜경 / 2015 / 유식과 의식의 전환 / 민족사

  28. [단행본] 인경 스님 / 2012 / 명상심리치료 / 명상상담연구원

  29. [학술지] 인경 / 2008 / 영상관법의 심리치료적 함의 / 명상치료연구 2

  30. [단행본] 전재성 / 2014 / 마하박가-울장대품 / 한국빠알리성전협회

  31. [단행본] 齊滕 明 / 2017 / 불교심리학사전 / 씨아이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