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번범어를 활용하는 데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많은 불전들의 음역어를 해결하는 데서도 그대로 적용해야 할 지침이 된다. 그 고려 사항을 다음과 같은 지침으로 변환할 수 있다. 첫째, 하나의 불전에서 구사된 음역어는 특히 이역본 또는 관련 기사가 있는 다른 불전의 용례와 대조하여 그 의미를 확정할 수 있다. 둘째, 특히 예외적인 음역어의 경우에는 필사 또는 판각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기의 가능성을 적용해 보아야 한다. 셋째, 동일한 원어의 음역 표기가 불전마다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상식으로 알고 적용해야 한다. 이는 역자와 시대에 따라 선호하는 음역 표기의 형태가 축역, 합역, 전역 등으로 다양하기 때문이다. 음역의 불일치는 동일 역자의 불전에서도 흔하게 발견된다. 넷째, 간혹 음역어에 역자가 병기한 의역을 전적으로 신뢰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특히 중국인 저작의 불전들 중에는 범어에 대한 부정확인 식견을 반영한 사례가 적지 않게 발견된다.

키워드

번범어, 일체경음의, 음역, 의역, 한역(漢譯), 음사어, 유시(有時)

참고문헌(9)open

  1. [단행본] Bapat,P.V. / 1970 / 善見毘婆沙 / Bhandarkar Oriental Research Institute.

  2. [단행본] Childers / 1875 / A Dictionary of the Pali Language / Rinsen Book

  3. [단행본] Edgerton,Franklin / 1985 / Buddhist Hybrid Sanskrit Grammar and Dictionary, Vol. Ⅱ / Rinsen Book Co

  4. [단행본] Malalasekera,G.P / 1974 / Dictionary of Pāli Proper Names / Pali Text Society

  5. [단행본] Monier-Williams / 1899 / Sanskrit-English Dictionary / Oxford University Press

  6. [단행본] Nanjio,Bunyiu / 1956 / Laṅkāvatāra Sūtra / The Otani University Press

  7. [단행본] 印順 / 1968 / 一切有部為主的論書與論師之研究 / 中華學術院佛學研究所

  8. [단행본] 荻原雲來 / 1986 / 漢譯對照 梵和大辭典 / 講談社

  9. [단행본] 榊亮三郞 / 1916 / 梵藏漢和譯對校 飜譯名義大集 / 眞言宗京都大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