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베다에서 성찰한 인격의 세 층위 중 aja는 베단타의 자아 개념과 더욱 부합하고, tanū는 상키야의 미세신과 더욱 부합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단타의 일원론에서는 영혼 개념에 물질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지만, 상키야의 이원론에서는 여기에 물질성을 고려한다. 그러나 자아에 관한 베단타와 상키야의 인식이 현저하게 다르다고는 말할 수 없다. 양측의 차이는 반영설에 의해 인식론 차원에서 희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반영설에 의해 베단타의 자아(Ātman)는 개아(영혼)인 양 활동할 수 있으며, 상키야에서 개아에 상당하는 Buddhi는 자아(Puruṣa)인 양 인식할 수 있다. 결국 베단타와 상키야 사이의 공유 관념으로 확연히 드러나는 것은 Buddhi이다. 이 Buddhi는 양측에서 활동성의 의식인 개체적 사이비 자아를 대변한다. 영혼의 역할을 담당하는 주체도 이것이며, 인식아와 내아와 명아 등도 이것의 별칭으로 간주할 수 있다. 여기서 자아와 영혼은 의식의 비활동성과 활동성으로 차별되므로 윤회(활동)하지 않는 영혼이 자아라면, 윤회(활동)하는 자아는 영혼이다. 한편 상키야의 미세신은 자아 개념에 관한 한 베단타와 차별할 수 있는 관념을 대변한다. 그러나 베단타 불이일원론을 적용하면, 미세신도 무지의 소산이요 자아의 upādhi일 뿐이다. 베단타에서 해탈은 이 upādhi를 자아로 착각하는 무지에서 벗어남으로써 실현된다. 상키야의 경우에는 Buddhi를 자아로 착각하는 무지에서 벗어남으로써 Puruṣa의 독존이라는 해탈을 실현한다. 베단타든 상키야든 해탈의 논리는 동일하다. 양측의 차별적 관념은 동일한 해탈의 논리로 회귀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차별 관념이 아무리 격렬할지라도 그 이면의 공유 관념으로 진화(鎭火)될 수 있는 것이 인도 철학의 자아 개념일 것이다.

키워드

개아, 미세신, 베단타, 상키야, 샹카라, 영혼, 이원론, 일원론, 자아, 최고아

참고문헌(34)open

  1. [단행본] Śaṅkara / Brahmasūtra-bhāṣya 또는 Vedāntasūtra-bhāṣya

  2. [기타] / Bṛhadāraṇyaka-upaniṣad

  3. [기타] / Chāndogya-upaniṣad

  4. [기타] / Kaṭha-upaniṣad

  5. [기타] / Māṭhara-vṛtti

  6. [기타] / Mahābhārata

  7. [단행본] Īśvarakṛṣṇa / Sāṁkhya-kārikā

  8. [단행본] Vijnānabhikṣu / Sāṃkhya-pravacana-bhāṣya

  9. [단행본] Aniruddha / Sāṃkhyasūtra-vṛtti

  10. [기타] / Śvetāśvatara-upaniṣad

  11. [단행본] Vācaspati Miśra / Tattva-kaumudī

  12. [단행본] Śaṅkara / Upadeśa-sāhasrī

  13. [기타] / Yukti-dīpikā

  14. [단행본] 宮元啓一 / 2007 / インドの一元論哲學を讀む:シャンカラウパデ-シャサ-ハスリ- 散文篇 / 春秋社

  15. [학술지] 鈴木孝典 / 2008 / インド論理學におけるupādhiの初期的槪念について:バァーチャスパティと佛敎論理學派の對論を中心に / 印度学仏教学研究 57 (1) : 276 ~ 269

  16. [단행본] 이종철 / 2006 / 천 가지 가르침 / 소명출판사

  17. [단행본] 前田惠學譯 / 1988 / ウパデ-シャ․サ-ハスリ-: 眞實の自己の探求 / 岩派書店

  18. [단행본] 정승석 / 1999 / 윤회의 자아와 무아 / 장경각

  19. [학술지] 정승석 / 2011 / 영혼에 관한 인도 철학의 세 가지 관점 / 가톨릭신학과사상 (67) : 164 ~ 196

  20. [단행본] 정승석 / 2011 / 진심식망(真心息妄)의 요가 철학적 성격 , 上月圓覺大祖師탄신100주년 기념 佛學論叢, 제2권, In 믿음과 수행 / 대한불교천태종 출판부 : 383 ~ 417

  21. [학술지] 村上真完 / 1977 / aṅguṣṭhamātra puruṣa(親指大のプルシャ)について / 印度学仏教学研究 25 (2) : 102 ~ 109

  22. [단행본] 村上真完 / 1978 / サ-ンクヤ哲學硏究: インド哲學における自我觀 / 春秋社

  23. [단행본] Chakravarti, Pulinbihari / 1975 /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Sāṃkhya System of Thought / OrientalBooks Reprint Corporation

  24. [단행본] Clements, Richa Pauranik / 2005 / Being a Witness:Cross-Examining the Notion of Self in Śaṅkara'aUpadeśasāhasrī, Īśvarakṛṣṇa's Sāṃkhyakārikā, andPatanjali's Yogasūtra, In Theory and Practice of Yoga:Essays in Honour of Gerald James Larson / Koninklijke Brill NV

  25. [단행본] Garbe, Richard / 1987 / Sāṃkhya Sutra & Sāṃkhya System:Aniruddha & Mahādeva's Commentaries, Second Edition / Trirup Prakashan

  26. [단행본] Halbfass, Wilhelm / 1991 / Tradition and Reflection: Explorations inIndian Thought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Press

  27. [단행본] Jagadānanda, Swāmi / 1949 / A Thousand Teachings: in TwoParts__Prose and Poetry, Second Edition / Madras, SriRamakrishna Math

  28. [단행본] Larson, Gerald James / 1979 / Classical SāṃkhyaAnInterpretation of its History and Meaning / Motilal Banarsidass

  29. [단행본] Mayeda, Sengaku / 1979 / A Thousand Teachings: TheUpadeśasāhasrī of Śaṅkara / University of TokyoPress

  30. [단행본] Potter, Karl / 1991 / Presuppositions of India's Philosophies / Motilal Banarsidass

  31. [단행본] Radhakrishnan, S. / 1929 / Indian Philosophy / G.Allen and Unwin

  32. [단행본] Radhakrishnan, S. / 1953 / The Principal Upaniṣads: Edited with Introduction,Text, Translation and Notes / G. Allen and Unwin

  33. [단행본] Rukmani, T. S. / 1989 / Saṃprajñāta Samādhi in the Pātañjala YogaSystem: Difference in Interpretation between VācaspatiMiśra and Vijñānabhikṣu /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Pvt. Ltd

  34. [학술지] Werner, Karel / 1978 / The Vedic Concept of Human Personalityand Its Destiny / Journal of Indian Phiosophy 5 (3) : 275 ~ 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