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은 제주의 孝규범에 대해 윤리문화적 접근을 시도하는 시론적 연구이다. 문화란 계열체적 집합(문화문법)과 결합체적 사슬이 서로 얽혀서 존재하는 잡종이고, 그러한 잡종의 문화가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지점이 생활문화이다. 생활문화란 개인들이 매일의 일상생활을 통해 살아가는 방식이고, 여기에 도덕과 관련한 생활문화가 윤리문화이다. 따라서 윤리문화 연구는 세 차원을 고려해야 한다. 생활문화로서의 윤리문화, 결합체적 사슬로서의 윤리문화, 계열체적 집합으로서의 윤리문화가 그것이다. 孝와 관련한 도덕적 문화문법은 우리민족에서 일찍부터 있어왔던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조선조 이후 유교라는 강력한 결합체가 장기간에 걸쳐 접목과 상감을 이루면서 조선조적 孝규범의 윤리문화가 전통으로 자리 잡았다. 부모봉양, 조상숭배, 가장의 권위존중, 형제애, 큰아들중심의 재산 및 제사상속, 혈연중시(족보, 문중조직) 문화 등 부계친 중심의 孝규범이 그것이다. 그러나 같은 시기에 육지부의 유교윤리가 결합체적 사슬로 작용했지만, 제주의 孝규범은 조선조적 윤리문화로 다 설명할 수 없는 특징적인 측면들이 있다. 장남분가, 재산균등상속, 제사분할, 부부중심의 가족관계, 부인의 자율성과 적극적 사회참여, 친가·외가·처가를 두루 포함하는 친족관계로 나타나고, 孝규범도 이러한 제도를 통하여 실현될 수 있는 성격의 것이었다. 부모가 자식들에게 봉양 받을 것을 기대하는 강요된 효가 아니라, 아들 특히 장자중심, 부계친 중심의 孝규범의 문화가 아니라 서로 독립된 살림을 유지하면서도 장남과 차남, 아들과 딸을 가리지 않고, 친가·외가·처가를 가리지 않은 효행을 자연스럽게 실천할 수 있었다. 이처럼, 육지부와 제주 간에 孝규범의 윤리문화적 전통에서 차이를 낳은 것은 생활문화, 결합체적 사슬, 계열체적 집합이라는 세 차원의 윤리문화간의 상호작용, 즉 영향관계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읽을 수 있다. 육지부는 긴 세월동안 강력한 결합체로서의 유교윤리가 큰 작용을 하였지만, 제주의 경우는 자연 환경적 조건, 무속신화 등의 문화문법을 낳은 조건적 요소들이 유교윤리와 결이 맞지 않은 부분이 있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그래서 제주에서는 고유의 문화문법과 유교적 윤리문화가 최적의 공존논리를 찾으면서 독특한 孝규범의 윤리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

키워드

윤리문화, 계열체적 집합(문화문법), 결합체적 사슬, 생활문화, 五倫的 孝, 三綱的 孝, 조선조적 孝규범, 제주의 孝규범

참고문헌(35)open

  1. [단행본] 강봉수 / 1994 / 북한에서 전통적 도덕규범의 지속과 변동: 유교적 효규범을 중심으로 in:北韓

  2. [학술지] 강봉수 / 2003 / 제주무속신화에 나타난 도덕질서: 일반신본풀이의 갈등양상을 중심으로 / 제주도연구

  3. [학술지] 강봉수 / 2007 / 통일교육의 생활문화적 접근 모색 / 윤리교육연구

  4. [단행본] 강봉수 / 2001 / 유교도덕교육론 / 원미사

  5. [단행본] 강봉수 / 2006 / 한국유교도덕교육론 / 한국학술정보[주]

  6. [단행본] 김두헌 / 1949 / 조선가족제도연구 / 을유문화사

  7. [단행본] 김항원 / 1996 / 제주인의 의식과 제주정신 정립 / 한국방송공사 제주방송총국·제주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8. [단행본] 김형효 / 1994 / 한국문화의 생리와 병리에 대한 철학적 담론 in:한국문화의 진단과 21세기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9. [단행본] 김형효 / 1985 / 한국정신사의 현재적 인식 / 고려원

  10. [단행본] 문무병 / 2001 / 제주도 큰굿자료 / 제주도·제주전통문화연구소

  11. [단행본] 문정봉 / 1994 / 풍속무음(상·하) / 제주대 탐라문화연구소

  12. [학술지] 박장호 / 2003 / 도덕적 특수주의와 도덕교육 / 국민윤리연구 (54)

  13. [학술지] 박종훈 / 2000 / 공동체윤리문화와 시민사회윤리문화 / 국민윤리연구 (45)

  14. [학술지] 박종훈 / 1997 / 윤리문화연구 시론 / 국민윤리연구 (37)

  15. [학술지] 박종훈 / 2000 / 윤리문화와 이데올로기 / 국민윤리연구 (43)

  16. [학술지] 박종훈 / 2006 / 윤리문화의 유형 / 국민윤리연구 (62)

  17. [단행본] 반찬구 / 2006 / 개념과 주제로 본 우리들의 윤리학 / 서광사

  18. [단행본] 손봉호 / 1995 / 효사상과 정의 문제:효사상과 미래사회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 [단행본] 송영배 / 1987 / 중국사회사상사 / 한길사

  20. [단행본] 신인철 / 1992 / 한국의 사회구조: 미분화 사회에서 부계사회로 / 문덕사

  21. [단행본] 이기춘 / 2001 / 북한의 가정생활문화 / 서울대학교출판부

  22. [학위논문] 이영춘 / 1994 / 조선후기 왕위계승의 정통성논쟁 연구

  23. [단행본] 이창기 / 1995 / 제주도 가족제도의 특징 in:제주사회론 / 한울아카데미

  24. [학술지] 이창기 / 1992 / 제주도의 사회문화적 특징과 환경; 도전·적응·초월의 메커니즘 / 제주도연구 9

  25. [단행본] 전경수 / 1994 / 문화의 이해 / 일지사

  26. [단행본] 진성기 / 2002 / 제주도 무가본풀이사전 / 민속원

  27. [단행본] 최재석 / 1983 / 한국가족제도사연구 / 일지사

  28. [학술대회] 한국국민윤리학회 / 1993 / 한국민족정신 탐구 / 93년도 하계 전국대학 교수세미나

  29. [학술지] 한삼인 / 1999 / 제주지역의 가족관습 / 판례연구

  30. [단행본] 허흥식 / 1991 / 고려시대의 사회와 사상 in:한국사상사대계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1. [단행본] 현용준 / 1992 / 무속신화와 문헌신화 / 집문당

  32. [단행본] 현용준 / 1980 / 제주도무속자료사전 / 신구문화사

  33. [단행본] A. Pieper / 1999 / 현대윤리학 입문 / 철학과 현실사

  34. [단행본] Cliford Geertz / 1973 /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 / Basic Books

  35. [단행본] Samuel Fleischaker / 1994 / The Ethics of Culture / Cornell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