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노자 『도덕경』을 통한 사회복지사의 역할 재조명: 수양론과 성인론을 중심으로

A Contemplation of Roles of Social Workers with Lao-Tzu’s Tao Te Ching

동양철학연구
약어 : -
2014 no.77, pp.7 - 41
DOI : 10.17299/tsep..77.201402.7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동양철학연구회
276 회 열람

최근 현대 사회의 대표적 휴먼서비스전문직인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둘러싸고 이념적, 이론적, 실천적 차원에서 모더니즘과 이를 비판하는 포스트모더니즘 간 논쟁이 접점을 찾지 못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동양철학 고전인 『도덕경』, 특히 그 중에서도 실천론에 해당하는 수양론과 성인론은 구체적 실천을 통해 개인과 사회의 변화를 지향하며 일반 백성의 수양을 견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관련하여 대안적 담론을 제시해 줄 가능성이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덕경』의 수양론과 성인론의 분석을 통해 성인의 역할 구조를 유위적 삶에 대한 진단과 문제제기, 무위적 실천의 제공, 도의 수양주체로서의 모범 제시로 도출하고 이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실천적 역할을 구체적으로 탐색해 보았다. 그 결과 사회복지사의 실천적 역할로는 첫째 유위적 구조와 구분에 대한 비판과 성찰, 둘째 물과 같은 사회복지사로서 무심무사의 자세 유지하기, 구분 짓지 않고 포용하기, 자기를 내세우지 않고 스스로 낮추기, 셋째 인격수양과 솔선수범 및 이를 가능하게 하는 환경조성 등으로 분석하였다. 이렇게 『도덕경』의 원리에 의거한 사회복지사는 모더니즘적 규범과 성과를 중시하는 전문가의 모습이나 모든 개인의 자의적 판단의 상대성을 인정하는 구성주의적 입장과도 차별화되는 공존과 상생의 역할을 수행한다. 『도덕경』에 의한 사회복지사 역할에 대한 논의는 기존의 이항대립적 구도를 극복하고 한국적 실천 모색에 의미를 부여하며 현대문명의 비판이론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다.

This study is an explorative contemplation to envisage social workers’ roles sympathizing the thought of Tao Te Ching, one of the most well-known eastern classic of philosophical wisdoms. The initial position of the study is that the thoughts of self-cultivation and the wise, the essential aspects consisting of the systems of Lao-Tzu’s worldview, are able to break through the perplexed deadlock regarding an adequate roles of social worker needed in the late modern society. Being besieged with the conflict between modern and postmodern discourses of worker’s role, social work academic camp and practical site as well have urgently called for an alternative paradigm for them. Lao-Tzu’s Tao Te Ching shows an ideal example of professionals requested in current society. Especially, the wise who realized the Tao(the truth) can be an ideal model for social workers from following point of view. Firstly, the wise still maintains the modern ideas of emancipation of people by criticizing the distortion contaminated with human desire and manipulations. Secondly, they keep enough patency to recognize and respect the differences of peoples, which includes the main cannons of postmodernism. Thirdly and most importantly, Lao-Tzu typed social workers, symbolized with the metaphorical word of water, can plays an ideal role of inclusion and reconciliation in these fragmented societies. In fine, the study has clearly proved that Tao Te Ching can be an endless ‘waters’ of wisdom providing social workers with not only theoretical but practical implications.

노자 『도덕경』, 수양론, 성인론, 사회복지사 역할, 물과 같은 사회복지사, 상관적 사유
Lao-Tzu's Tao Te Ching, Self-Cultivation, The wise, Social Worker’s roles, Social Worker like Water, Co-relational thinking

  • 1. [단행본] 양소남 / 2012 / 해결지향 사회복지실천: 강점기반 통합적 접근 / 학지사
  • 2. [단행본] 김기덕 / 2002 / 사회복지윤리학 / 나눔의 집
  • 3. [단행본] 김시천 / 2013 / 노자의 칼/장자의 방패 / 책세상
  • 4. [단행본] 김융일 / 2001 / 사회복지실천론 / 나남
  • 5. [단행본] 김정탁 / 2010 / 현, 노장의 커뮤니케이션 / 커뮤니케이션북스
  • 6. [단행본] 김충렬 / 2004 / 노자강의 / 예문서원
  • 7. [단행본] 사회복지정보원 / 2011 / 복지심서-한문고전의 복지 寶鑑 / 원광문화사
  • 8. [단행본] 오강남 / 2012 / 도덕경 : 노자원전 오강남 풀이 / 현암사
  • 9. [단행본] 이부영 / 2012 / 노자와 융 : 도덕경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 한길사
  • 10. [단행본] 잔 푹 / 2007 / 급진사회복지실천 / 학지사
  • 11. [단행본] 馮友蘭 / 1983 / 中國哲學史新編I / 人民出版社
  • 12. [학술지] 강철희 / 2007 / 사회복지사와 타분야 원조전문직 간 대중이미지 비교연구 / 한국사회복지학 / 59 (1) : 171 ~ 1 kci
  • 13. [학술지] 김기덕 / 2011 / 문화적 역량 비판 담론에 관한 사회철학적 분석 / 한국사회복지학 / 63 (3) : 239 ~ 3 kci
  • 14. [학술지] 김기덕 / 2006 / 하버마스 비판이론의 사회복지 실천에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의사소통행위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 / 58 (4) : 119 ~ 4 kci
  • 15. [학술지] 김기덕 / 2003 / 사회복지지식의 인식론적 기초 / 상황과 복지 / 15
  • 16. [학술지] 김기덕 / 2008 /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에 관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실천 경험에 대한 연구 / 사회복지연구 (39) : 83 ~ 39 kci
  • 17. [학술지] 김동국 / 2008 / 동양적 패러다임에 입각한 한국 사회복지의 성격 전환 / 한국민족문화 (32) : 425 ~ 32 kci
  • 18. [학술지] 김도현 / 2012 / 장애인 당사자주의의 비판적 이해를 위하여 / 진보평론 / 52
  • 19. [학술지] 김백희 / 2004 / 노자사상의 체계 / 인문학지 / 28
  • 20. [학술지] 김성동 / 2008 / 도가철학의 대안적 인식 -모더니즘의 대안으로서의 『도덕경』의 성인지도- / 중국학연구 (44) : 263 ~ 44 kci
  • 21. [학술대회] 김성천 / 2005 / 한국사회복지실천의 현실진단과 과제에 대한 토론 / 한국사회복지학 학술대회 자료집4
  • 22. [학술지] 김수동 / 2006 / 배려의 관점에서 이해한 자연의 교육적 개념 - 노자의 도덕경을 중심으로 /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IJACE) / 9 (4) : 201 ~ 4 kci
  • 23. [학술지] 김진근 / 1991 / 老子의 本體論硏究-哲學史的意義와 理論分析을 中心으로 / 역사와 사회 / 5
  • 24. [학술지] 박원재 / 2004 / 성인과 백성-노자 수양론의 두 측면 / 중국철학
  • 25. [학술지] 박희택 / 2004 / 사회복지의 개념구성에 관한 동양학적 고찰 / 진각사회복지 / 1
  • 26. [학술지] 안재호 / 2008 / 『노자』철학체계 분석 / 중국학보 (57) : 325 ~ 57 kci
  • 27. [학술지] 오상무 / 2005 / 『老子』의 有, 無, 道의 관계 再論 / 동서철학연구 (36) : 245 ~ 36 kci
  • 28. [학술지] 오열근 / 2010 / 포스트모던조직론과 노자의 「道德經」 : 解体(差延)를 중심으로 / 한국행정사학지 (26) : 107 ~ 26 kci
  • 29. [학술지] 유동철 / 2003 / 장애운동의 깃발 : 당사자주의인가, 인권론인가 / 시민과 세계 / 4
  • 30. [학위논문] 유성애 / 2004 / 노자의 『도덕경』과 로저스의 인간 중심 상담 이론의 비교
  • 31. [학술지] 이부영 / 2008 / 노자 도덕경에서 본 치유의 의미: 분석심리학의 입장에서 / 심성연구 / 23
  • 32. [학술지] 이유정 / 2012 / 노자 『도덕경』에 나타난 성인(聖人)의 인격교화론 / 인격교육 / 6 (1) : 85 ~ 1 kci
  • 33. [학술지] 장백기 / 2001 / 노자 도덕경의 건축학의 정의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12
  • 34. [학술지] 전동진 / 1999 / 하이데거의 존재와 노자의 도 / 해석학 연구 / 5
  • 35. [학술지] 조순영 / 2011 / 노자 『도덕경』의 유아교육적 의미 / 유아교육연구 / 31 (5) : 137 ~ 5 kci
  • 36. [학술대회] 최명민 / 2011 / 사회복지실천을 둘러싼 전문가-이용자 관계의 전근대적 측면과 대안적 실천의 모색 / 한국사회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 37. [학술지] 최명민 / 2013 / 기든스(Giddens)의 성찰성 이론을 통한 임파워먼트의 재해석 -통합적 사회복지실천 패러다임에 대한 탐색- / 한국사회복지학 / 65 (2) : 103 ~ 2 kci
  • 38. [학술대회] 최명민 / 2013 / 노자 도덕경을 통한 사회복지 실천관계론의 재조명 / 한국사회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자료집
  • 39. [단행본] Jan Fook / 1993 / Radical casework ; A Theory and Practice / Allen & Unwin
  • 40. [단행본] Perlman, H. H / 1957 / Social Casework : A problem solving process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41. [단행본] Specht, H / 1994 / Unfaithful Angels : how social work has abandoned its mission / The Free Press
  • 42. [단행본] Smith, R / 2008 / Social Work and Power / Palgrave Macmillan
  • 43. [단행본] Thompson, N / 2005 / Understanding Social Work : preparing for practice / Palgrave
  • 44. [학술지] Dietz, C / 2004 / Rethinking Boundaries : Ethical Dilemmas in the Social Worker-Client Relationship / Journal of Progressive Human Services / 15 (2)
  • 45. [학술지] Dominelli, L / 1997 / Men power and caring relationship / Sociological Review
  • 46. [학술지] Fall, K. A / 2000 / The public perception of mental profession: An empirical examination /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 22
  • 47. [학술지] LeCroy, C. W / 2004 / The public's perception of social work: Is it what we think it is? / Social Work / 49
  • 48. [단행본] Lena Dominelli / 2002 / Anti-Oppressive Social Work Practice and Practice / Palgrave Macmillan
  • 49. [학술지] Rothman, J / 1996 / Client Self-determination and Professional Intervention: Striking a Balance / Social Work (41)
  • 50. [인터넷자료] / http://www.prospects.ac.uk/socialwor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