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王陽明은 자신의 독창적 心學을 근거로 朱子의 理學 체계 전반을 비판한 반면, 退溪는 傳習錄論辯 등을 저술하여 양명학은 정주 리학에 위배될 뿐만 아니라 정주학에 해가 된다고 하여 양명학을 異端邪說로 비판배격하였다. 양명 심학을 비판한 퇴계의 학문 또한 심학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주자학과 다른 퇴계학의 독창성 여부와 중국주자학과 다른 한국성리학의 특성, 퇴계 문하에서 양명학을 이단으로 심하게 배척한 원인, 한국양명학의 특성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양명의 주자학 비판과 퇴계의 양명학 비판에 나타난 양명학과 퇴계학의 특성은 물론 퇴계학을 심학이라고 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양명 심학과 퇴계 심학의 차이점을 밝히는 비교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양명의 주자학 비판과 퇴계의 양명학 비판은 창조를 위한 발판으로서, 이들은 비판과 창조를 통해 유학의 생명력을 유지시켜 나갔다. 퇴계가 비록 양명학을 비판하고 주자학을 옹호하였다고하지만, 퇴계학은 주자학의 묵수나 답습이 아닌 理動說과 理發說을 통한 理의 철저화는 물론 心學이라 불리만큼 마음에 대한 중시를 통해 주자학이 안고 있는 인간 주체성과 실천성의 약화라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등 주자학과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인간과 심성론 중심의 퇴계학은 이후 한국성리학의 특성으로 자리 잡게 된다. 다만 퇴계가 주자에 비해 마음을 중시하고 도덕적 실천성을 강조하였다 하더라도 양명 심학과 같이 심을 최고 원리와 우주 본체로 하는 좁은 의미의 심학이라고 할 수는 없다. 양명학에서는 본체가 마음이며 마음이 실천 조리로서의 理를 창출한다는 의미의 ‘心→理’의 ‘心=理’로서 窮理가 부정되고 知行이 본체론적인 합일이다. 그러나 퇴계학에서는 본체는 理로서, 心은 ‘理’를 완벽하게 구비하고(具衆理) 운용한다는 ‘理→心’의 ‘心=理’로서 居敬窮理를 무엇보다 중시한다. 理를 본체로 한 퇴계학을 계승한 퇴계학파 또한 窮理를 부정하고 心을 본체로 한 양명 심학을 이단사문난적으로 배척한다.

키워드

양명학, 퇴계학, 주자학, 심학, 심즉리설, 지행설, 친민.신민

참고문헌(37)open

  1. [단행본] / 大學

  2. [단행본] / 中庸

  3. [단행본] / 尙書

  4. [단행본] / 朱子語類

  5. [단행본] / 朱子文集

  6. [단행본] / 朱子大全

  7. [단행본] / 四書集註

  8. [단행본] / 大學或問

  9. [단행본] / 王陽明全集

  10. [단행본] / 傳習錄

  11. [단행본] / 退溪全書

  12. [단행본] 유교사전편찬위원회 / 1990 / 儒敎大事典 / 박영사

  13. [단행본] 경북대 퇴계학연구소 / 1997 / 퇴계학 연구논총, 제1권 철학사상(上);퇴계학 연구논총, 제2권 철학사상(中); 퇴계학 연구논총, 제3권 철학사상(下)

  14. [단행본] 금장태 / 2003 / 퇴계의 삶과 사상 / 서울대출판부

  15. [단행본] 김길환 / 1980 / 朝鮮朝儒學思想硏究 / 一志社

  16. [단행본] 김세정 / 2006 / 왕양명의 생명철학 / 청계

  17. [단행본] 김종석 / 2001 / 퇴계학의 이해 / 일송미디어

  18. [단행본] 陳來 / 1997 / 송명성리학 / 예문서원

  19. [단행본] 守本順一郞 / 1985 / 東洋政治思想史硏究 / 동녘

  20. [단행본] 李福登 / 1977 / 王陽明的政治思想 / 臺灣 私立臺南家政專科學校

  21. [학술지] 금장태 / 1998 / 退溪門下의 陽明學 이해와 비판 / 陽明學 (2)

  22. [학술지] 김기주 / 2005 / 朱熹와 王守仁의 비교를 통해서 본 '퇴계심학'의 가능성 / 철학연구 94 : 1 ~ 26

  23. [학술지] / 2005 / 心學, 退溪心學 그리고 심경부주 / 동양철학연구 41

  24. [학술지] 김세정 / 1999 / 王陽明의 親民說에 대한 생태론적 접근 / 東洋哲學 11

  25. [학술지] / 2001 / 王陽明의 知行合一說 연구 / 동서철학연구 (21)

  26. [학술지] / 2001 / 왕양명의 생명 중심의 일원론적 中庸 해석 / 동서철학연구 (22)

  27. [학술지] / 2005 / 양명 심학과 퇴계 심학 비교의 새로운 지평 / 陽明學 (13)

  28. [학술지] / 2005 / 「傳習錄論辯」을 통해 본 양명심학과 퇴계리학 / 退溪學報 118

  29. [학술지] 신규수 / 1995 / 朝鮮時代 陽明學의 流入과 排斥에 관한 一考察―性理學의 이단배척을 중심으로― / 정신개벽 14

  30. [학술지] 안병주 / 1987 / 퇴계의 학문관-心經後論을 중심으로- / 퇴계학연구 (1)

  31. [학술지] 이동희 / 1993 / 退溪學의 心學的 특성과 理의 의미 / 現代와 宗敎 (16)

  32. [학술지] 정순목 / 1973 / 退溪心學論 / 홍대논총 (5)

  33. [학술지] 최재목 / 2003 / 退溪의 陽明學觀에 대하여 / 退溪學報 113

  34. [학술지] 홍원식 / 2001 / 퇴계학, 그 존재를 묻는다 / 오늘의 동양사상 (4)

  35. [단행본] 도힐러, 마티나 / 1997 / 조선 초기의 異端 배척과 退溪․栗谷의 이단론(퇴계학 연구총서 9권) / 경북대 퇴계학연구소

  36. [학술지] 周月琴 / 1998 / 性理文化에 대한 退溪心學의 思想的 寄與 / 退溪學報 100

  37. [학위논문] / 2000 / 心經附註가 退溪心學 形成에 미친 影響에 관한 硏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