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어떤 세계관을 가지느냐에 따라 경험의 해석이 달라지고 삶과 세계에 대한 해석이 달라진다. 동일 경험이 환상으로 치부될 수도 있고 구원의 길목이 될 수도 있다. 삶이 속히 종식 시켜버려야 할 고통의 연속일 수도 있고 축복받은 환희의 순간들일 수도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세계관으로 자연주의 세계관과 이에 맞서는 초자연주의 세계관을 대비한다. 우리는 전자의 전형을 프로이드의 “과학적 세계관”에서, 그리고 후자의 전형을 루이스의 기독교적 세계관에서 찾아 볼 수 있게 된다. 논자는 이들 상반된 세계관을 갖게 하는 인식론적 근거를 묻는다. 그리하여 쥴리안 제인스의 “의식”과 앙리 베르그송의 “지성” 개념을 통해 과학적 세계관에는 시각적-공간적 사유의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고 양인의 “양원적 정신”과 “직관” 개념을 통해 초자연적 세계관에는 청각적 사유의 패턴이 있음을 확인한다. 그리하여 이들 상반된 세계관은 각기 “눈의 세계관”과 “귀의 세계관”으로 부를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키워드

자연주의(세계관), 초자연주의(세계관), 과학적 세계관, (영적)기독교적 세계관, 눈의 세계관, 귀의 세계관

참고문헌(13)open

  1. [단행본] C. S. Lewis / 1960 / Miracles / Macmillan

  2. [단행본] 베르그송 / 1988 / 시간과 자유의지 / 삼성출판사

  3. [단행본] 베르그송 / 1998 /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 서광사

  4. [단행본] 제인스 / 2006 / 의식의 기원 / 한길사

  5. [단행본] Ludwig Feuerbach / 1984 / 기독교의 본질 / 종로서적

  6. [단행본] 한스 마르틴 자스 / 1993 / 루드비히 포이에르바하 / 주영문화사

  7. [단행본] N.R.Hanson / 1958 / Patterns of Discover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단행본] Ronald Nash / 2003 / 신앙과 이성 / 살림

  9. [단행본] Sigmund Freud / 1973 /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 The Hogarth Press

  10. [단행본] Sigmund Freud / 1973 / The Future of an Illusion, in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 The Hogarth Press

  11. [단행본] Wilhelm Dilthey / 1976 / The Types of World-view and their Development in the Metaphysical Systems in Dilthey Selected Writing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단행본] 아맨드 니콜라이 / 2004 / 루이스 vs 프로이드 / 홍성사

  13. [단행본] 임철규 / 2004 / 눈의 역사 눈의 미학 / 한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