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국제결혼을 통해 한국에 이주해 온 여성들은 가족, 친지, 동료 등의준거집단이 없는 채 일정 부분 강제적 성격을 띨 수밖에 없는 동화의 과정을 헤쳐 나가야 한다. 그리고 동화의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해도 한국사회에서이들의 성원권은 여전히 조건적이고 불완전하다. 언어소통의 문제 뿐 아니라 유교문화와 부계 혈통주의,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의 소비문화와 경쟁위주의 교육제도 등으로 결혼이주여성들은 지속적인 고립과 사회적 불안을 겪을 확률이 높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편으로는 상이한 국가에서 온 다른 이주 여성들과의 만남을 통해 ‘우리 이주 여성’이라는 집단적 정체성을 구성해나가고,다른 한편으로는 한국 활동가들과 시민 사회 의제를 논의하고 신념을 공유함으로써 ‘활동가’로서의 의식을 일깨우는 공간/장소는 이주여성들의 정체성 구성과한국사회로의 주체적 통합에 매우 중요하다. 이곳은 ‘이주여성’이나 ‘다문화 가정’이라는 기호의 해석을 독점하는 주류사회에 대항해 상징적ㆍ문화정치학적 투쟁이 벌어지는 공간이며, 구체적이고 물질적인 만남과 행위가 실천되는, 다시말해 다문화적 태도가 학습되고 체화되는 장소이다. 모든 이주여성공동체가 이런 공간/장소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의식의 지향성과 심리적 애착이 동시에 뿌리내릴 수 있는 이런 공간/장소로 기능하는 이주여성 공동체는 결혼이주여성을 비롯해 이주민의 인정 투쟁이 벌어지고 역량강화가 이루어지는 적합한 문화적ㆍ정치적 장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인천 여성의 전화가 추진하는“아시아 이주여성들의 다문화 마을”을 예로 들어 이주여성 공동체가 인정투쟁의다문화 공간/장소로 구성되는 가능성을 탐색한다.

키워드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공동체, 역량강화, 공간전환, 인정투쟁

참고문헌(29)open

  1. [학술지] 김영옥 / 2007 / 한국의 여성결혼이민자와 '다문화가족': 다문화주의 논의를 중심으로 / 아시아여성연구 46 (2) : 129 ~ 153

  2. [학술대회] 김정선 / 2010 / 나의 ‘home’은 어디인가? 필리핀 결혼이주 여성 공동체 형성과 의미 in: 유라시아 경계인들의 정체성 문제 /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주최 학술대회 : 21 ~ 50

  3. [단행본] 김현미 / 2008 / 생활세계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사례연구 및 적용방안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4. [학술지] 김현미 / 2008 / 이주자와 다문화주의 / 현대사회와 문화 26

  5. [학술지] 박배균 / 2009 / 초국가적 이주와 정착을 바라보는 공간적 관점에 대한 연구: 장소, 영역, 네트워크, 스케일의 4가지 공간적 차원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 (5) : 616 ~ 634

  6. [기타] 인천여성의전화 / 2009a / 아시아 이주여성 다문화 공동체 마을 활동백서

  7. [기타] 인천여성의전화 / 2009b / 문화생산자로 대한민국에 서다!

  8. [학술지] 정현주 / 2008 / 이주, 젠더, 스케일: 페미니스트 이주 연구의 새로운 지형과 쟁점 / 대한지리학회지 43 (6) : 894 ~ 913

  9. [학술지] 조현미 / 2009 / 일본의 ‘다문화공생’ 정책을 사례로 본 사회통합정책의 과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 (4) : 449 ~ 463

  10. [학술지] 최병두 / 2009 / 다문화공간과 지구-지방적 윤리: 초국적 자본주의의 문화공간에서 인정투쟁의 공간으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 (5) : 635 ~ 654

  11. [단행본] Agnew, John. A. / 1987 / Place and Politics: The Geographical Mediation of State and Society / Allen & Unwin

  12. [학술지] Ahmed, Sara / 1999 / Home and Away: Narratives of Migration and Estrangement /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Studies 2 (3) : 329 ~ 347

  13. [단행본] Ahmed, Sara / 2003 / Introduction: Uprootings/Regroundings: Questions of Home and Migration in Uprootings/Regroundings: Questions of Home and Migration / Berg Publishing : 1 ~ 19

  14. [기타] / 2008 / Chio Yadrung from Thailand

  15. [단행본] Crang, Mike / 2000 / Thinking Space / Routledge

  16. [단행본] Fraser, Nancy / 2003 / Redistribution or Recognition? / Verso

  17. [단행본] Fortier, Anne-Marie / 2000 / Migrant Belongings : Memory, Space, Identity / Berg

  18. [단행본] Gunew, Sneja / 2003 / The Home of Language: A Pedagogy of the Stammer in Uprootings/Regroundings: Questions of Home and Migration / Berg Publishing : 41 ~ 58

  19. [단행본] Hall, Stuart / 1996 / Who Needs 'Identity'? in Questions of Cultural Identity / Sage

  20. [단행본] Harvey, David / 1996 / Justice, Nature, and the Geography of Difference / Blackwell

  21. [학술지] Jessop, Brenner / 2002 / Time and space in the globalization of capital and their implications for state power / Rethinking Maxism 14 (1) : 97 ~ 117

  22. [학술지] Jessop, B. / 2008 / Theorizing Socio-Spatial Relations /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26 (3) : 389 ~ 401

  23. [단행본] Lefebvre, Henri / 1990 / The Production of Space / Blackwell

  24. [학술지] Portes, Alejandro / 1999 / Conclusion: Towards a New World: The Origins and Effects of Transnational Activities / Ethic and Racial Studies 22 (2) : 463 ~ 477

  25. [단행본] Smith, Michael Peter / 1998 / Transnationalism from Below / Transaction Publisher

  26. [학술지] Zizek, S. / 1997 / Multiculturalism, or, the cultural logic of multinational capitalism / New Left Review 225 : 28 ~ 51

  27. [인터넷자료] 야마다 다까꼬 / 한국인과 결혼 뒤 공부하려면 성적증명서 있어야? : [우리 다문화 가정 이야기 17] 다문화가정 젊은 엄마의 학업 가로막는 ‘증명서’

  28. [기타] 야마다 다까꼬 / 2009 / 이주여성들에게 친절했으면 좋겠다 [우리 다문화 가정 이야기16] 10년만에 찾은 ‘정부합동 고충상담회’

  29. [인터넷자료]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256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