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9.81.58
3.139.81.58
close menu
KCI 등재
볼프의 윤리학에서 자연법(Gesetz der Natur) 이론
Natural Law Theory in Wolff’s Ethics
김성훈 ( Kim Seong Hoon )
철학연구 61권 99-126(28pages)
DOI 10.26839/PS61.4
UCI I410-ECN-0102-2021-100-000907490

볼프의 자연법(Gesetz der Natur) 이론은 학문적인 방식으로 증명된 점에서 고대 법 전통에서 벗어나, 법을 하나의 학문(scientia)으로 완성시켰다. 그는 그로티우스 등의 당시 세속적 자연법 학자들의 입 장과 더불어 신을 전제하는 것 없이 인간 본성(natura humana)에 의거해 서 자연법을 증명하고자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입장은 그의 『독일어판 윤리학』에서의 자연법 연역에서 또렷하게 드러난다. 그러나 그가 견지하는 자연법에 대한 입장은 당시 그로티우스, 및 푸펜도르프 나 심지어 그의 철학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던 라이프니츠와 같은 학자 들과 동일한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이는 그의 자연법 이론이 하나의 체계형성을 위해 학문적인 방식을 취하고 있는 만큼, 그 자신의 고유한 형이상학적 개념들과 존재론적 개념들이 뒷받침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인다. 더 나아가 그는 자연법을 『자연권』이라는 학문을 통해 자세히 해명하기를 시도한다. 이러한 토대에서 그에게 인간 윤리학의 가능성은 인간 이성의 인식능력에 근거한다. 그러나 볼프가 처음부터 윤리학을 존재론적인 개념과 그것을 인식하는 인간 이성에 의해서 전개한 것은 아니었다. 그는 그의 박사학위논문(Dissertationschrift)에서 처벌에 대한 두려움을 의무의 근거로 놓는다. 주지하듯이 이 당시 그는 전적으로 그 의 선학인 푸펜도르프의 영향 아래에 놓여 있었다. 그러나 이후 그의 윤리학 저작 전반에서 이러한 의견이 전혀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그의 윤리학적 개념에 일종의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아마도 그의 실천철학 저서 전반에 거친 변화는 그의 박사학위논문과 그에 대 한 라이프니츠와의 서신교환에 의해 시작된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이에서 드러나는 그 자신의 의무개념에 대한 반성은 그가 신법과 이성 에 의거한 자연법을 종적으로 구분하게 된 실마리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모든 과정은 종국에 볼프의 자연법이 반성을 거친 견고 한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

In his theory of natural law (Gesetz der Natur), Wolff has transformed the traditional concept of law into law as a science, in a fully academic manner. Along Grotius and other secular scholars of natural law, Wolff had tried to prove natural law based on human nature, instead of presupposing God. This is made evident by the concept of natural law in German ethics. However Wolff’s idea of natural law does not appear to be the same as that of Grotius, Pufendorf, or even Leibniz, who had apparently given great influence to Wolff’s philosophy. This is because, as Wolff takes an academic manner in forming a system, his theory of natural law is supported by his own original metaphysical and existential concepts. Furthermore, he attempts to closely explain the natural law through the study of Jus naturae. However, Wolff had not from the first place developed ethics on the ground of existential concepts which are recognized by human reason. For instance, in his dissertation the fear for punishment is grounded by duty. As he also admits, at the time he was entirely under the influence of his preceptor, Pufendorf. Nonetheless, since then, none of the claims from his dissertation appear in any of his work of ethics. So I assume that there had been some sort of change in his ethical concepts. The letter exchanged between Wolff and Leibniz might have been the cause of the substantial changes made in Wolff’s practical philosophy. And reflection on his concept of duty can be understood as an implication of the special distinction that he made between the law of God and law based on reason. As thus, Wolff’s theory of natural law is composed of a system that had been hardened through reflection.

Ⅰ. 들어가며
Ⅱ. 『독일어판 윤리학』에서의 자연법 연역
Ⅲ. 자연권과 의무개념
Ⅳ. 볼프의 의무개념의 변천사
Ⅴ. 나가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