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한국 서원의 교육 내용과 방식은 주자가 제시한 교육 내용 및 방식과 대부분 유사하지만, 학파에 따라 다소 다른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돈암서원의 초기 원장으로 재임한 이들은 모두 김장생의 문인이었던 김집⋅송준길⋅송시열 등이다. 돈암서원은 같은 노론계 서원이었던 화양서원⋅석실서원이 기호 지역의 중심 서원으로 성장하면서 서원의 위상과 강학 활동도 약화되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돈암서원 설립 초기의 학규는 전하지 않는다. 돈암서원의 운영 방식은 돈암서원 운영 전반에 관하여 17세기 후반 원장으로 재임하던 송준길에게 문의한 윤증의 서신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이 서신을 통해 볼 때, 돈암서원의 학규는 이이의 <은병정사학규>와 유사하였다고 추정된다. 18세기 이후 돈암서원의 역대 원장은 노론의 낙론계 학자들로서 권상하 계열보다 김창협 계열의 원장이 많았다. 돈암서원 원장은 화양서원, 석실서원의 원장이 겸임하거나 전후로 재임했을 가능성이 많다. 돈암서원에서 행한 강학 활동은 서원 설립 초기에는 김장생-송시열의 교학체계에 따라 소학→가례→심경→근사록 등 성리서를 우선하고 다음에 사서⋅오경을 가르쳤다. 점차 노론계 낙론 서원인 석실서원 출신의 학자들이 원장으로 부임하면서 소학→사서→오경을 먼저 가르치고 다음에 성리서를 가르치는 이이의 교학체계를 시행하였으리라 추정된다. 이러한 강학 순서는 김창협 계열의 학자들이 설립하고 운영했던 석실서원의 강학 내용과 순서이다. 돈암서원의 입학 자격은 신분은 중시하지 않았으며, 학문과 인품을 중시했다. 서원에서 과거 공부는 허용되지 않았다. 원생들은 서원에서 거재(居齋)하면서 강학에 참여하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점차 서원의 재정이나 운영이 어려워지면서 자기 집에 거가(居家)하면서 삭망에 행하는 강회에 참여하는 형태로 변화되었다.

키워드

돈암서원, 노론계 서원, 서원 강학, 서원 운영, 서원 교육과정.

참고문헌(27)open

  1. [기타] / 退溪集

  2. [기타] / 栗谷先生全書

  3. [기타] / 沙溪全書

  4. [기타] / 東春堂全集

  5. [기타] / 宋子大全

  6. [기타] / 草廬集

  7. [기타] / 龍西集

  8. [기타] / 渼湖集

  9. [기타] / 性潭集

  10. [기타] / 南溪先生朴文純公續集

  11. [기타] / 寒水齋先生文集

  12. [기타] / 陶菴先生集

  13. [기타] / 錦谷先生文集

  14. [기타] / 厚齋集

  15. [기타] / 直菴集

  16. [기타] / 明齋遺稿

  17. [기타] / 樂齋集

  18. [기타] / 遯巖書院誌

  19. [기타] / 魯岡書院誌

  20. [기타] / 華陽誌

  21. [학술지] 김대식 / 2001 / 조선 서원 강학 활동의 성격-회강(會講)과 강회(講會)를 중심으로 / 교육사학연구 11

  22. [학술지] 최성환 / 2001 / 조선후기 이재의 학문과 한천정사의 문인교육 / 역사교육 77

  23. [학술지] 박종배 / 2009 / 학규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의 서원 강회 / 교육사학연구 19 (2) : 59 ~ 83

  24. [학술지] 김대식 / 2011 / 화서(華西) 문인공동체(門人共同體) 강회(講會)의 실제 / 교육사학연구 21 (1) : 39 ~ 64

  25. [학술지] 김인규 / 2012 / 김원행의 학문과 석실서원에서의 강학활동 / 동방학 (22) : 175 ~ 204

  26. [학술대회] 김자운 / 2012 / 서원 강학 관련 자료의 유형과 특징 / 한국의 서원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제3차 워크샾,『서원의 교육(강학)과 제향의례』

  27. [학술지] 윤경호 / 2013 / 석실서원의 건립과 교육방법 / 퇴계학논총 (22) : 163 ~ 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