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는 墨色美에 관하여 철학적 배경을 탐구하였다 儒ㆍ道ㆍ禪은 묵색미를 위하여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으며, 역대 서화가들은 이러한 묵색미의 신성한 정신을 굳게 지켜왔다. 동양의 色彩觀은 과학이 아닌 철학적 색채관이다. 동양인들이 생각하는 색채의 상징적 의미는 우주적 질서와 관련이 깊다. 五德ㆍ陰陽ㆍ五行에 근거한 색채는 靑ㆍ赤ㆍ黃ㆍ白ㆍ黑의 五色이다. 五色은 五行의 표현이며, 五色과 五行 간에는 대응관계가 있다. 水는 黑, 火는 赤, 木은 靑, 金은 白, 土는 黃이다. 五色은 자연계와 인간사회를 상징한다. 이들 五行, 五方, 五德은 五色과 서로 관련성을 갖는다. 墨色은 着色하지 않는 것으로 그것은 ‘無’의 세계이다. 이는 無形의 힘이 서화가들에게 묵색으로 美를 삼는 관념을 강화시킨다. 근ㆍ현대 상품경제와 시민의 취미에 영향을 받아 着色畵는 화단의 주류를 이루어왔다. 서예의 경우 묵색의 활용은 지금까지 변경된 적이 없었다. 묵색미는 『老子』의 玄妙ㆍ守靜 등과 관련이 있으면서, 離相, 虛靜, 無形, 遠, 空, 無限 등을 상징한다. 총괄하면, ‘黑’으로 출발하는 묵색미는 ‘玄’, 虛, ‘靜’, ‘無’ 등과 같이 철학적 명제였으며, 동양의 역사적 전통 하에 예술로 전환되면서 오늘날 서화가들은 부득이 淡墨로 그 심오함을 표현한다.

키워드

墨色美, 陰陽五行, 玄妙, 虛靜, 離相, 意境.

참고문헌(33)open

  1. [기타] / 管子

  2. [기타] / 國語

  3. [기타] / 老子

  4. [기타] / 論語

  5. [기타] / 明史

  6. [기타] / 尙書

  7. [기타] / 荀子

  8. [기타] / 呂氏春秋

  9. [기타] / 莊子

  10. [기타] / 左傳

  11. [기타] / 周易

  12. [기타] / 抱朴子

  13. [단행본] / 1997 / 歷代書法論文選 / 上海書畵出版社

  14. [단행본] 許愼 / 1983 / 說文解字注 / 天工書局

  15. [단행본] 葛兆光著 / 1995 / 中國禪思想史 / 北京大學出版社

  16. [단행본] 顧頡剛 / 1998 / 秦漢的方士與儒生 / 上海古籍出版社

  17. [단행본] 김응학 / 2006 / 서예미학과 예술정신 / 도서출판 古輪

  18. [단행본] 萬志全 / 2008 / 揚雄美學思想硏究 /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 [단행본] 敏澤 / 2004 / 中國美學思想史 1권 / 湖南敎育出版社

  20. [단행본] 王伯敏 / 2002 / 畵學集成 明ㆍ淸 / 河北美術出版社

  21. [단행본] 劉勰 / 1996 / 文心雕龍譯注 / 齊魯書社

  22. [단행본] 李澤厚 / 1984 / 中國美學史 第1卷 / 安徽文藝出版社

  23. [단행본] 張立文 / 2004 / 기의 철학 / 예문서원

  24. [단행본] 宗白華 / 1994 / 宗白華全集 2卷 / 安徽敎育出版社

  25. [단행본] 朱良志 / 1995 / 中國藝術的生命精神 / 安徽敎育出版社

  26. [단행본] 朱仁夫 / 1992 / 中國古代書法史 / 北京大學出版社

  27. [단행본] 陳德禮 / 1998 / 人生境界與生命美學 / 長春出版社

  28. [단행본] 崔樹强 / 2006 / 中國書法審美文化 / 安徽文藝出版社

  29. [단행본] 彭修銀 / 2012 / 中國畵美學探驪 / 北京大學出版社

  30. [단행본] 慧能 / 2012 / 壇經校釋 / 中華書局

  31. [학술지] 毛萬寶 / 1985 / 試論書法藝術的共同美 / 書法硏究 (2)

  32. [학술지] 김응학 / 2012 / 石濤 회화창작 ‘三法’論의 藝術境界 / 동양철학연구 (71) : 209 ~ 232

  33. [학술지] 김응학 / 2012 / ‘餘白’의 生命美學에 관한 고찰 / 동양예술 (19) : 287 ~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