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대학의 교양교육 강화라는 패러다임 전환 속에서 교양철학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필요하다. 교양철학은 단순한 철학적 지식의 전달과 학습이 아닌 개인의 정체성과 삶의 문제를 풀어 나가는 단초를 제공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어야 한다. ‘2011 교양철학 수강생 인식조사’에서 학생들의 철학에 대한 관심과 학습욕구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강생 스스로 학습자 중심의 수업모델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 중심의 수업모델은 문제중심형, 토론중심형, 프로젝트 수업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수업모델에서 교수역량지표와 학습자의 수업준비와 필요로 하는 역량이 다르다. 소위 ‘살아 있는 교양철학 교육’을 위해 교양철학 교육방향, 교육콘텐츠 및 수업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관련 워크샵이 진행되어야 한다. 영상세대에 다가가기 위해 교수자의 매체활용 능력이 요구된다. 제도적 측면에서 수강신청 인원제한, 강좌 개설의 유연성 확보, 다학문과정과의 연계시켜야 한다. ‘살아 있는 교양철학 교육’을 위해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이해와 교수자의 역량 및 콘텐츠 개발, 교양교육 정책과의 의미 있는 ‘상호 작용행위’가 필요한 시점이다.

키워드

학습자중심 철학교육, 문제중심형 수업, 토론형 철학교육, 프로젝트형 철학교육, 교육콘텐츠, 학습자 인식조사

참고문헌(16)open

  1. [학술지] 이윤옥 / 2003 / 문제중심학습에 관한 연구 검토 및 실행요소 분석 / 교육문제연구 (19) : 6 ~ 156

  2. [단행본] 이종하 / 2008 / 삶․일상․윤리 / 문음사

  3.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 2010 /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Ⅰ)

  4. [단행본] 화이트헤드 / 2004 / 교육의 목적 / 궁리

  5. [학술지] 강순전 / 2006 / 독일의 신교과 실천철학 / 철학윤리교육연구 (36)

  6. [학술지] 구양미 / 2006 / 대학의 혼합형 학습 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의 유형에 대한 분석 -실존적, 사회적 자기주도학습의 가능성 / 교육공학연구 22 (1) : 161 ~ 193

  7. [단행본] 다니엘 벨 / 1994 / 교양교육의 개혁 / 민음사

  8. [학술지] 박명희 / 2005 / 대학의 교수학습 개발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Ⅱ / 한국교육문제연구 17

  9. [학술지] 손철성 / 2007 / 논술을 위한 토론 수업의 운영 방안 - 도덕.윤리 교과 수업을 중심으로 / 윤리교육연구 (13) : 241 ~ 260

  10. [학술지] 안경화 / 2009 / 효율적인 토론 수업의 설계: 내용과 방법을 중심으로 / 언어와 문화 5 (1) : 149 ~ 169

  11. [학술지] 유승희 / 2003 / 프로젝트 수업의 개발과 적용 / 열린교육연구 11 (2) : 261 ~ 280

  12. [학술지] 정명화 / 2004 / 프로젝트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적 사고, 창의적 성향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교육심리연구 18 (3) : 287 ~ 301

  13. [학술지] 조일현 / 2010 / 대학 프로젝트 수업 환경에서 분업화, 상호작용, 공유정신모형이 팀 수행성과와 개인 학습에 미치는 영향 / 교육공학연구 26 (3) : 1 ~ 20

  14. [학술지] 황경식 / 1990 / 현실의 철학적 요구에 부응하는 교양철학교육 / 철학과 현실 (여름)

  15. [인터넷자료] / http://blog.daum.net/ronghua/43

  16. [인터넷자료] / http://www.unn.net/news/detail.asp?nscode=706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