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一夫 金恒(1826-1898)은 周易을 대체하여 正易을 제시했다. 正易思想은 韓國에서 易이 완성되었다는 깊은 의미를 지닌다. 정역 사상의 핵심은 우주의 대변화와 함께 인간 세상의 대변화가 일어나, 머지않은 장래에 새세상(琉璃世上)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人格 完成의 중요성을 가르쳤다. 즉, 만민 평등의 새세상이 도래할 것이며, 새로운 세상을 대비하기 위하여 적극적인 심신 수양을 요구했다. 일부는 모든 종교가 인간을 존중하고 자연과 하나가 된다는 정신으로 歸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인간 완성의 가능성에 대한 확신과 인간 완성을 통한 인간 세상의 변혁을 기대했다. 정역사상을 통해 일부는 文王八卦의 舊秩序(先天)에서 正易八卦의 新秩序(後天)로 변화한다고 주장했다. 그러한 변화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人間事이다. 새세상이 도래하려면 人間 完成의 변화가 올 것이고, 인간 완성이 새세상을 만드는 必須不可缺한 條件이라고 주장했다. 그러한 세상은 ‘人心이 곧 天心’이 되는 세상이며, 새세상을 맞이하기 위해 聖人의 感化에 의한 세상 개혁을 기대했다. 일부는 자유방임, 폭력혁명, 신앙이 아니라 인간의 각성과 성숙으로 인한 이상 세계 건설을 기대했다. 인류 모두의 성숙만이 이 세상을 구원할 수 있으며, 구원은 자기의 인격수양에 달려 있다고 했다. 개개인은 진리와 더불어 살아가는 인생을 살아야 한다고 가르쳤다. 문명이나 국가도 개인과 마찬가지로 물질적 선진 뿐만 아니라 정신문화의 선진이 되기를 촉구했다. 그러한 새로운 세상은 모든 사람이 진리와 더불어 살며, 누구나 평등하며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대하는 세상이다.

키워드

一夫 金恒, 正易, 琉璃世上, 先天, 後天, 人間 完成

참고문헌(15)open

  1. [단행본] 金恒 / 1996 / 正易 / 正經學會

  2. [단행본] 李正浩 / 1976 / 正易硏究 / 國際大學 人文社會科學硏究所

  3. [단행본] 李正浩 / 1980 / 周易正義 / 亞細亞文化社

  4. [단행본] 李正浩 / 1982 / 學易纂言: 韓國 易學의 새 方向 / 대한교과서주식회사

  5. [단행본] 李正浩 / 1985 / 正易과 一夫 / 亞細亞文化社

  6. [단행본] 李正浩 / 1992 / 第三의 易學 / 亞細亞文化社

  7. [단행본] 柳承國 / 1983 / 東洋哲學硏究 / 槿域書齋

  8. [단행본] 李東俊 / 1997 / 유교의 인도주의와 한국사상 / 한울아카데미

  9. [학술지] 柳南相 / 1884 / 易學의 曆數聖統原理에 關한 硏究-正易을 中心으로 / 인문과학연구 11

  10. [학술지] 양재학 / 2002 / 정역사상의 현대적 이해 / 동서철학연구 (24) : 17 ~ 52

  11. [학술지] 김필수 / 1998 / 정역사상의 근본문제와 선후천변화 원리에 관한 고찰에 대한 논평 / 종교교육학연구 7

  12. [학술지] 곽신환 / 2006 / 鶴山 李正浩의 易學 思想 / 동양철학 (26) : 56 ~ 78

  13. [단행본] 클라우스 슈밥 / 1995 / 21세기 예측 / 매일경제신문사

  14. [단행본] 헌팅턴 / 1996 / 문명의 충돌

  15. [단행본] 앨빈 토플러 / 2006 / 부의 미래 / 청림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