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현장(玄奘)의 음역어, 마게타(摩揭陀)에 관한 고찰

A Study of Mo jie tuo(摩揭陀) Transliterated into Chinese by Xuan Zang

인도철학
약어 : KJIP
2011 no.31, pp.131 - 150
DOI : 10.32761/kjip.2011..31.006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인도철학회
인용한 논문 수 :   -  
124 회 열람

본론은 중국에 불교가 전해진 초기 시대부터 후대까지 번역 경전에서 광범위하게 유통되고 있었던 ‘magadha’에 대한 음역어들(摩竭提, 摩伽陀 등)과 이 기존 음역어들을 와전으로 규정하고 자신의 음역어인 摩揭陀가 올바른 음역임을 주장하는 현장의 음역어를 비교하여 고찰한다. 구역 음역어의 사용 폭과 사용 시기, 사용자들의 특징들을 고찰하여 그 특징들을 파악한 후, 이들 구역 음역어들이 가지고 있었던 역경상의 중요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구역 음역어들이 magadha에 대한 음역에서 신, 구역을 통틀어 가장 보편적으로 다수의 역경승들에 의해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구역 음역어의 영향력은 현장의 신역 음역어인 摩揭陀가 등장한 이후에도 현장과 그의 제자 그룹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역경가들에 의해 지속되었다. 그리고 현장의 신역 음역어 사용자들 상호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과 현장 이후에 구역 음역어인 摩竭提, 摩伽陀의 사용 용례를 통해 신, 구역 음역어의 역경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신역 음역어 사용과 관련해서는, 大唐西域記와 續高僧傳을 통해 새로운 경전 번역과 음역어 사용에 대한 현장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The present essay is aimed at exploring the word, Magadha, transliterated from Sanskrit and Pali into Chinese by Xuan Zang. This translated word started to be used by Chinese monks, Xuan Zang, who intended to circulate his own Chinese transliteration for 'magadha' for which there were the words which have already been universally used to translate Buddhist canon. The words translated from before Xuan Zang have been called as the Old Translation, and among a lot of translated words for Magadha, the most significant words are Mo jie ti(摩竭提) and Mo jie tuo(摩伽陀). These two words have been used from Hou Han period and they were used even in the period of Tang dynasty after Xuan Zang's pass away. The words are Mo jie ti(摩竭提) and Mo jie tuo(摩伽陀). And these words were comprehensively used for translating Buddhist canon which were introduced from India. On the other hands, new transliterated word which started to be circulated from Tang dynasty by Xuan Zang. Xuan Zang looked down upon the words under the influence of the Old transliteration, and he tried to prohibit reading Buddhist canon which belonged to the tradition of the Old translation of Buddhist literature. The intention of Xuan Zang who tried to circulate his own translated Buddhist canon and words failed in two aspects. One is that even his times, the word of transliteration by him was used by solely himself and his disciples and the two words of Old Translation had continued to be used even in Tang dynasty.

마게타, 마가타, 마갈제, 현장(玄奘), 음역어, 구역, 신역
magadha, Xuan zang(玄奘), Transliteration, New Translation, Old Translation

  • 1. [기타] / 過去現在因果經
  • 2. [기타] / 佛說大乘聖吉祥持世陀羅尼經
  • 3. [기타] / 續高僧傳
  • 4. [기타] / 經律異相
  • 5. [기타] / 觀彌勒菩薩上兜率天經
  • 6. [기타] / 觀虛空藏菩薩經
  • 7. [기타] / 根本薩婆多部律攝
  • 8. [기타] / 根本說一切有部尼陀那
  • 9. [기타] / 根本說一切有部百一羯磨
  • 10. [기타] / 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
  • 11. [기타] / 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頌
  • 12. [기타] / 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藥事
  • 13. [기타] / 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雜事
  • 14. [기타] / 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出家事
  • 15. [학술지] / 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破僧事
  • 16. [기타] / 根本說一切有部苾芻尼毘奈耶
  • 17. [기타] / 起世經
  • 18. [기타] / 金剛光焰止風雨陀羅尼經
  • 19. [기타] / 金光明最勝王經
  • 20. [기타] / 金光明最勝王經疏
  • 21. [기타] / 南海寄歸內法傳
  • 22. [기타] / 大唐大慈恩寺三藏法師傳
  • 23. [기타] / 大唐西域記
  • 24. [기타] / 大般若波羅蜜多經
  • 25. [기타] / 大般涅槃經
  • 26. [기타] / 大般涅槃經後分
  • 27. [기타] / 大方廣菩薩藏文殊師利根本儀軌經
  • 28. [기타] / 大方廣佛華嚴經
  • 29. [기타] / 大方廣佛華嚴經不思議佛境界分
  • 30. [기타] / 大寶積經
  • 31. [기타] / 大乘義章
  • 32. [기타] / 大乘二十二問本
  • 33. [기타] / 大乘入楞伽經
  • 34. [기타] / 翻梵語
  • 35. [기타] / 法苑珠林
  • 36. [기타] / 菩薩戒羯磨文
  • 37. [기타] / 菩薩瓔珞經
  • 38. [기타] / 菩薩處胎經
  • 39. [기타] / 北山錄
  • 40. [기타] / 佛本行集經
  • 41. [기타] / 佛說救面然餓鬼陀羅尼神呪經
  • 42. [기타] / 佛說大乘流轉諸有經
  • 43. [기타] / 佛說羅摩伽經
  • 44. [기타] / 佛說未曾有正法經
  • 45. [기타] / 佛說十力經大唐貞元新譯十地等經記
  • 46. [기타] / 佛說人仙經
  • 47. [기타] / 佛說自誓三昧經
  • 48. [기타] / 佛說長阿含經
  • 49. [기타] / 佛說太子瑞應本起經
  • 50. [기타] / 佛所行讚
  • 51. [기타] / 佛阿毘曇經出家相品
  • 52. [기타] / 佛祖統紀
  • 53. [기타] / 鼻奈耶
  • 54. [기타] / 四分律
  • 55. [기타] / 薩婆多部毘尼摩得勒伽
  • 56. [기타] / 三彌勒經疏
  • 57. [기타] / 小品般若波羅蜜經
  • 58. [기타] / 續一切經音義
  • 59. [기타] / 續傳燈錄
  • 60. [기타] / 守護國界主陀羅尼經
  • 61. [기타] / 僧伽羅剎所集經
  • 62. [기타] / 神僧傳
  • 63. [기타] / 新華嚴經論
  • 64. [기타] / 十誦律
  • 65. [기타] / 阿毘達磨俱舍論
  • 66. [기타] / 阿毘達磨俱舍論略釋記
  • 67. [기타] / 阿毘達磨大毘婆沙論
  • 68. [기타] / 阿毘達磨發智論
  • 69. [기타] / 阿毘達磨順正理論
  • 70. [기타] / 阿育王經
  • 71. [기타] / 阿育王傳
  • 72. [기타] / 五分律
  • 73. [기타] / 維摩經義
  • 74. [기타] / 維摩義記
  • 75. [기타] / 仁王般若經疏
  • 76. [기타] / 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疏
  • 77. [기타] / 一切經音義
  • 78. [기타] / 一切智光明仙人慈心因緣不食肉經
  • 79. [기타] / 雜阿含經
  • 80. [기타] / 寂照神變三摩地經
  • 81. [기타] / 傳法正宗記
  • 82. [기타] / 貞元新定釋教目錄
  • 83. [기타] / 注維摩詰經
  • 84. [기타] / 中阿含經
  • 85. [기타] / 出曜經
  • 86. [기타] / 顯無邊佛土功德經
  • 87. [기타] / 華嚴一乘教義分齊章
  • 88. [기타] / 華嚴一乘教義分齊章
  • 89. [학술지] 김미숙 / 2010 / 동음이의 음역어의 난맥상 분석 : 가라를 중심으로 / 인도철학 (29) : 67 ~ 29 kci
  • 90. [학술지] 정승석 / 2009 / 삼국유사에 구사된 범어 음역의 원류 / 인도철학 (26) : 305 ~ 26 kci
  • 91. [학술지] 정승석 / 2010 / 翻梵語의 원어 착란 사례 / 인도철학 (29) : 5 ~ 29 k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