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조선 시대의 재지사족은 핵심적인 지배집단이었다. 그들은 전국적으로 분포한 중소 규모의 지주였으며, 유교적 소양을 보유한 지식인 집단이었다. 17세기 이후로는 곳곳에 동성마을을 형성하고, 顯祖를 내세우면서 지역 사회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 결과 지역에서의 실질적 주도권을 재지사족이 행사하는 예가 많았다. 이런 면에서 제천 지역의 黃江⋅新洞에 정착한 안동 권씨 花川君派 문중은 대표적인 재지사족이었다. 이 집단은 1675년에 이뤄진 권상하 형제가 이주하면서 형성되었다. 노론 정파의 지도자였던 송시열의 수제자인 권상하는 과거를 외면하고 황강에서 강학에 힘썼으며, 결국은 山林으로 초빙되어 좌의정으로 제수되기까지 하였다. 권상하의 사후에 그가 가르치던 곳에는 황강서원을 비롯한 기념 시설과 제사 공간이 설치되었다. 이러한 시설들은 권상하가 중시했던 삶의 가치를 후손들이 받아들이는데 이바지했고, 지역 사회에 崇明義理에 토대를 둔 斥邪的인 정서가 자리 잡도록 하는데 이바지했다. 화천군파가 제천 지역에서 재지사족으로 성장하는 과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은 또 다른 인물은 권상하의 조카인 權燮이었다. 그는 권상하를 위한 여러 기념시설을 건립하고, 문중의 발전을 위하여 여러 규칙을 제정하였다. 아울러 황강을 넘어서 제천의 신동에 새로운 거주공간을 확보하고, 청풍·단양·문경 등지에 別墅를 장만하며 거주공간을 넓혀 나갔다. 각각의 공간에는 조상을 모시기 위한 제사 시설도 설치했다. 그 결과 권상하와 권섭의 자손들은 제천 일대에서 대표적인 성씨 집단으로 수백 년간 위세를 누릴 수 있었다. 비록 그들은 서울에 남았던 이들에 비하여 많은 엘리트 관료를 배출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재지사족의 성장은 지역 사회의 문화적 성장, 나아가 전 조선 사회의 발전을 가능하게 했다.

키워드

권상하, 권섭, 안동권씨, 황강서원, 재지사족.

참고문헌(25)open

  1. [기타] / 朝鮮王朝實錄

  2. [기타] / 국역 한수재집

  3. [기타] / 輿地圖書

  4. [기타] / 司馬榜目

  5. [단행본] / 2002 / 安東權氏花川君派世譜 / 회상사

  6. [단행본] / 淸風府邑誌 / 아세아문화사

  7. [기타] / 淸風元恒定

  8. [단행본] 권섭 / 玉所集

  9. [단행본] 이의현 / 陶谷集

  10. [단행본] 이희조 / 芝村先生文集

  11. [단행본] 정호 / 丈巖集

  12. [단행본] 오희상 / 老洲集

  13. [단행본] 유중교 / 省齋先生文集

  14. [단행본] 황현 / 1985 / 東學亂: 東匪紀略草藁 / 을유문화

  15. [단행본] 우인수 / 1999 / 조선후기 산림세력 연구 / 일조각

  16. [단행본] 유봉학 / 1998 / 조선후기 학계와 지식인 / 신구문화사

  17. [학술지] 구완회 / 2008 / 문헌을 통해 본 조선시기의 청풍 고을 / 지역문화연구 7

  18. [학술지] 김문준 / 2008 / 遂庵 權尙夏의 春秋精神과 道學思想 / 한국철학논집 (23) : 155 ~ 180

  19. [학술지] 김의환 / 2007 / 충북 지역 유교 문화와 문화권 / 충북학 (9)

  20. [학술지] 오항녕 / 2008 / 尤菴 宋時烈 문집의 편찬과 간행 / 韓國史學報 (33) : 281 ~ 311

  21. [학술지] 이경구 / 1996 / 김창흡의 학풍과 호락논쟁 / 한국사론 (36)

  22. [학술지] 장승구 / 2002 / 수암의 황강학파와 그 사상 / 지역문화연구 (1)

  23. [학술지] 전용우 / 1988 / 수암 권상하와 호서사림 / 호서사학 (16)

  24. [학술지] 조성산 / 2007 / 玉所 權燮(1671~1759)의 學風과 現實觀 / 동양학 (41) : 125 ~ 146

  25. [학술지] 차용주 / 1996 / 권상하 연구 / 호서문화논총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