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일반적으로 육경(六經)은 공자(孔子)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경전이라고 일컬어지지만, 구체적인 관계의 양상에 대해서는 명확한 정론이 없는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육경이 공자의 저작이라는 캉유웨이(康有爲) 주장의 실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육경은 모두 공자가 지은 것[六經皆孔子所作]’이라는 말은 캉유웨이가 일관되게 주장하는 명제이다. 공자와 육경의 관계는 공자의 유교 창립으로부터 사상 통일로 진행되는 일련의 유교 학술사에서 중간 매개체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캉유웨이가 특히 주목하는 부분이다. 만약 공자와 육경의 관계가 단절되어 버린다면, 공자가 창립한 유교는 단지 공자 문하에서 구전된 한 학파의 학설에 지나지 않게 되고, 경전을 통해 완성한 한대(漢代) 유교의 사상 통일도 유교의 성과라고 주장할 만한 근거가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캉유웨이의 입장에서 본다면, 육경은 반드시 공자가 창립한 유교의 핵심 사상을 담은 경전이자 사상 통일의 토대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력을 다해 육경이 공자의 작품임을 밝히려고 시도한 것이다.

키워드

康有爲, 『孔子改制考』, 章學誠, 六經.

참고문헌(13)open

  1. [단행본] 康有爲 / 1958 / 孔子改制考 / 中華書局

  2. [단행본] 姜義華 / 2007 / 康有爲全集 / 中國人民大學出版社

  3. [단행본] 임형석 / 2011 / 문사통의교주 / 소명출판

  4. [단행본] 梁啓超 / 1990 / 淸代學術槪論, In 飮氷室合集8 / 中華書局

  5. [단행본] 蕭公權 / 2005 / 康有爲思想硏究 / 新星出版社

  6. [단행본] 蕭公權 / 1998 / 中國政治思想史 / 서울대학교출판부

  7. [단행본] 顧頡剛 / 1970 / 春秋時的孔子和漢代的孔子, In 古史辨 第2冊 / 明倫出版社

  8. [단행본] 林存光 / 2004 / 歷史上的孔子形象 / 濟南:齊魯書社

  9. [학술지] 김종 / 2004 / 六經皆史와 戰國之文 / 중국문화연구 3

  10. [학술지] 全容萬 / 1983 / 章學誠歷史觀에 대한 一考 / 동양사학연구 18

  11. [학술지] 최병수 / 1987 / 章學誠史學上「述而不作」에 관하여 / 충북사학 1

  12. [학술지] 최병수 / 2006 / 章學誠의 <史意>를 통한 歷史意味 / 역사와 담론 (43) : 179 ~ 224

  13. [학술지] 김동민 / 2013 / 孔子의 儒敎 創立에 관한 康有爲의 관점 - 康有爲의 『孔子改制考』를 중심으로 / 유교사상문화연구 (51) : 117 ~ 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