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주자의 역학에 나타난 형(亨)에 관하여

동양철학
약어 : -
2008 no.29, pp.279 - 299
DOI : 10.19065/japk..29.200807.279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동양철학회
인용한 논문 수 :   -  
87 회 열람

『주역』에서 형(亨)은 군자가 추구해야 할 삶의 목표로 제시된다. 아울러 역이 군자를 위해 지어졌다는 역(易)의 제작의도와도 맞물려 있다. 그래서 『주역』에서 형(亨)은 군자와 관련하여 ‘뜻을 펼친다’ 혹은 ‘도움을 받는다’ 혹은 ‘일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간다’ 등등으로 이해된다. 형(亨)은 고대에는 ‘요리하다’나 ‘제사 지낸다’는 개념으로 이해되었다. 후대에 형(亨)은 불주(不住), 통(通)등으로 이해되고, 두 번째 계절인 여름을 상징하고, 그에 따라 예(禮)로 이해되었다. 상수 역학적으로 형(亨)은 양(陽)과 관련이 있고, 진괘(震卦)와 관련이 있다. 아울러 형(亨)은 괘변을 통해 양으로 간다, 응(應)을 통해 음양이 호응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형(亨)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형(亨)은 아름다운 곳, 아름다움이 모여 있는 곳, 각정성명(各正性命)이다. 철학적으로 형(亨)은 사심이 없는 것, 나라를 안정시키는 것, 위험에 처해도 상처받지 않는 것, 마음에 사심이 없는 것, 지식의 소통 등으로 이해할 수 있다.

在周易, “亨”是君子所追求的人生的目標. 這和制作易的目的有關係. 因此, 在周易, “亨”和君子有關係, 理解爲“得到幇助”, 或者“事情變化的方向是肯定的”. “亨”這一個字, 在古代社會中, 意味著“烹條”, “祭祀”的槪念. 後來, 理解爲“不住”, “通”等. 象徵爲夏天, 因此, 理解爲“禮”. 按照象數易學的理解, “亨”和“陽”有關, 也是和“震卦”有關. “亨”是通過“卦變”向往“陽”. 通過“應”, 理解爲陰陽互應. “亨”的意思, 是“美好的”, “嘉之會”, “各正性命”等. 在哲學思想上, “亨”是沒有私心, 安定國家, 陰陽相應等.

亨, 禮, 通, 震卦, 德, 嘉之會, 各正性命

  • 1. [단행본] 王夫之 / 1996 / 船山全書 / 嶽麓書社
  • 2. [단행본] 黎靖德 / 1986 / 朱子語類 / 中華書局
  • 3. [단행본] 吳汝倫 / 1971 / 周易大義 / 中華書局
  • 4. [단행본] 李學勤 / 1999 / 春秋左傳正義 / 北京大學出版社
  • 5. [단행본] 丁若庸 / 1986 / 與猶堂全書 / 여강출판사
  • 6. [단행본] 張載 / 1991 / 正蒙 / 명문당
  • 7. [학술지] 張載 / 1988 / 橫渠易說 / 文淵閣四庫全書 / 8
  • 8. [단행본] 朱熹 / 1985 / 朱子大全 / 中華書局
  • 9. [단행본] 朱熹 / 1999 / 周易本義 / 여강출판사
  • 10. [단행본] 程? / 1976 / 二程全書 / 中華書局
  • 11. [단행본] 程? / 1987 / 易程傳 / 文津出版社
  • 12. [단행본] 陳來 / 1987 / 朱熹哲學硏究 / 中國社會科學出版社
  • 13. [단행본] 陳榮捷 / 1982 / 朱學論集 / 學生書局
  • 14. [단행본] Chan, Wing-tsit / 1986 / Neo-Confu / University of Hawaii Press
  • 15. [단행본] Chan,Wing-tsit / 1981 / Neo-Confusian Orthodoxy and the Learning of the Mind-and-Heart / Columbia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