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義理思想은 무엇보다도 正名論(名分論)을 주축으로 삼고 있다. 조선시대의 의리사상은 正名論을 기저로 삼아 禮義廉恥의 기풍을 조성하고, 出⋅處를 바르게 하며, 不正에 대한 비판과 저항정신을 발휘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조선시대의 의리사상은 종종 功利의 측면을 소홀히 한 점이 있으며, 종종 獨善的 태도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의리사상에 내재된 ‘復讐’와 ‘情義’에 대해서도 오늘날에는 재고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여러 학자들은 우리 사회에서 義理가 주로 ‘왕초-똘마니 집단의 의리’로 인식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는바, 이러한 의리는 과거의 ‘復讐’와 ‘情義’의 관념과도 일정한 연관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부정적 요소들을 비판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면, 과거의 의리사상은 오늘날에도 우리 사회를 淨化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는 ‘소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義理, 正名, 出⋅處, 禮義廉恥, 復讐, 情義.

참고문헌(20)open

  1. [기타] / 四書集註

  2. [기타] / 周易傳義大全

  3. [기타] / 書經

  4. [기타] / 禮記集說大全

  5. [기타] / 春秋公羊傳

  6. [기타] / 朱子語類

  7. [기타] / 小學

  8. [기타] / 通鑑節要

  9. [기타] / 靜菴集

  10. [기타] / 栗谷全書

  11. [기타] / 霽峰集

  12. [기타] / 與猶堂全書

  13. [기타] / 朝鮮王朝實錄

  14. [단행본] 김낙진 / 2004 / 의리의 윤리와 한국의 유교문화 / 집문당

  15. [단행본] 이동준 / 1997 / 유교의 인도주의와 한국사상 / 한울

  16. [단행본] 이상익 / 2004 / 儒敎傳統과 自由民主主義 / 심산

  17. [학술지] 이상익 / 2010 / 조선시대 王室·士大夫 文化와 한국의 民主主義 / 한글판 유교문화연구 1 (17) : 5 ~ 36

  18. [학술지] 이우성 / 1980 / 李朝 士大夫의 基本性格 / 민족문화연구총서 6

  19. [단행본] 정옥자 / 1998 / 조선후기 조선중화사상 연구 / 일지사

  20. [단행본] 롤즈 / 2000 / 만민법 / 이끌리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