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과 교육과정의 성격에 맞는 역량 개념을 고찰한 뒤,『생활과 윤리』과목을 통해 학생의 도덕적 역량을 효과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토론 수업 모형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다.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이하 2015 도덕과 교육과정)에서는 ‘도덕적인 인간’과 ‘정의로운 시민’이라는 중첩된 인간상을 구현한 학생을 기르고자 한다. 도덕적인 인간이자 정의로운 시민은 경쟁에서의 우위나 창의성 보다는 협력과 공존, 품격 있는 삶과 사회를 더욱 중요시 한다. 그런데 역량(力量)개념을 표현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competency는 가치중립적이고, 경쟁력과 생존력의 정도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아 자칫 도덕과의 성격과 상충할 여지가 있다. 반면에 센과 누스바움의 역량 개념인 capability는 가치 지향적이며 정의로운 사회, 삶의 질, 인간다운 삶의 정도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역량은 센과 누스바움의 capability 성격을 반영한 moral competency 개념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고등학교『생활과 윤리』과목은 응용윤리학을 기반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과목의 성격을 고려했을 때,『생활과 윤리』수업 시간에는 학생들이 쟁점토론 활동 등을 통해 다양한 입장을 살펴보며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런데 쟁점토론 수업은 자칫 시합 형태의 활동으로 변질되어, 찬반 학생 간에 갈등을 야기하고 경쟁적인 성향만 길러줄 수 있다. 따라서 토론을 하면서도 공존과 협력의 요소를 기를 수 있는 ‘협력적 쟁점토론 수업 모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경기창조고등학교 3학년 인문사회과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를 보면, 협력적 쟁점토론 수업은 학생들이 쟁점과 관련한 다양한 근거들을 탐구하며 ‘도덕적 판단’과 관련된 도덕적 역량을 기르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학생들이 토론 과정에서 쟁점에 대한 상반된 입장 차이를 어떻게 더 효과적으로 좁혀나갈 수 있을지에 대한 대책, 전문성이 부족할 수 있는 학생의 발표 수준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 등은 후속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모색될 필요가 있다.

키워드

도덕적 역량, 생활과 윤리, 협력적 쟁점토론 모형, 찬반 토론(pro-con) 모형,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참고문헌(34)open

  1. [단행본] 강두호 / 2009 / 도덕교육의 교과교육학적 탐구 / 도서출판 역락

  2. [기타] 교육과학기술부 / 2009 /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도덕)

  3. [기타] 교육부 / 2015 /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4. [기타] 교육부 / 2015 /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6] 도덕과 교육과정

  5. [기타] 교육부 / 2017 /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고등학교)

  6. [단행본] 권낙원 / 2012 / 현장교사를 위한 토의수업의 이론과 실제 / 문음사

  7. [단행본] 권일남 / 2014 / 청소년 활동론–역량개발중심- / 학지사

  8. [단행본] 김국현 / 2013 / 도덕과 평가의 9가지 레시피 / 교육과학사

  9. [기타] 박병기 / 2015 /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Ⅰ-도덕과 교육과정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단행본] 박찬구 / 2016 / 생활 속의 응용윤리 –딜레마와 마주하다 - / 세창출판사

  11. [단행본] 백남진 / 2016 /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이해와 설계 / 교육아카데미

  12. [단행본] 손우정 / 2014 / 배움의 공동체 / 해냄출판사

  13. [단행본] 심성보 / 2014 / 민주시민을 위한 도덕교육 / 살림터

  14. [단행본] 정문성 / 2006 / 협동 학습의 이해와 실천 / 교육과학사

  15. [단행본] 정문성 / 2016 / 토의․토론 수업방법 56 / 교육과학사

  16. [단행본] Parsons, J. / 2012 / From Knowledge to action: shaping the future of curriculum development in Alberta / Alberta Education

  17. [단행본] Etzioni, Amitai / 2007 / 넥스트–좋은 사회로 가는 길 / 인간사랑

  18. [단행본] Katz, Michael S. / 2007 / 정의와 배려 / 인간사랑

  19. [단행본] Nussbaum, Martha C / 2015 / 역량의 창조 / 돌배게

  20. [단행본] Sen, Amartya / 2017 / 자유로서의 발전 / 갈라파고스

  21. [학술지] 고영준 / 2009 / 실천적 개념으로서의 역량 / 교육철학연구 (45) : 1 ~ 26

  22. [학술지] 목광수 / 2010 / 역량 중심 접근법과 인정의 문제 ― 개발 윤리와의 관련 하에서 고찰 ― / 철학 (104) : 215 ~ 239

  23. [학술지] 문경호 / 2015 / 『생활과 윤리』 교육과정 개정의 변화와 쟁점 / 윤리교육연구 (37) : 1 ~ 22

  24. [학술지] 박민정 / 2009 /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특징과 비판적 쟁점 분석:내재된 가능성과 딜레마를 중심으로 / 교육과정연구 27 (4) : 71 ~ 94

  25. [학술지] 소경희 / 2007 /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 교육과정연구 25 (3) : 1 ~ 22

  26. [학술지] 윤정일 / 2007 /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 역량의 특성과 차원 / 교육학연구 45 (3) : 233 ~ 260

  27. [학위논문] 이병기 / 2016 / 도덕과 교육에서 가치와 덕목의 관계에 대한 연구

  28. [학술지] 이윤복 / 2015 / 2015 개정 교육과정 내용 분석 및 그 시사점 탐구 / 중등교육연구 63 (4) : 435 ~ 464

  29. [학술지] 이지혜 / 2011 / 도덕성 발달 연구를 위한 역량중심 접근의 개념화 / 인간발달연구 18 (2) : 227 ~ 254

  30. [학술지] 진미석 / 2016 / 핵심역량은 교육의 오래된 질문에 대한 새로운 해답이 될 수 있는가? / 핵심역량교육연구 1 (1)

  31. [학술지] 허성범 / 2013 / 역량과 인권: 센과 누스바움 / 시민인문학 (25)

  32. [학술지] Johnson, David. W / 2000 / Constructive Controversy: The Educative Power of Intellectual Conflict / Abingdon:Change: The Magazine of Higher Learning 32 (1)

  33. [인터넷자료] Celine / Difference Between Capability and Competency

  34. [인터넷자료] / 인터넷 merriam-webster 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