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초등학교 다문화 인권교육의 방법 연구

A Study on Methods of the Multi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倫理硏究
약어 : -
2014 vol.1, no.94, pp.217 - 248
DOI : 10.15801/je.1.94.201403.217
발행기관 : 한국윤리학회
연구분야 : 학제간연구
Copyright © 한국윤리학회
286 회 열람

인종이나 국적 등에 관계없이 인간으로서 누려야 할 보편적인 권리를 지각하게 하고 반차별, 반편견 의식을 배양하는 것은 다문화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으로서 반드시 필요한 역량이기 때문에 학교에서의 다문화 인권교육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우리 사회의 다문화 현상을 고려할 때, 초등학교에서 다문화 인권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하면서도 실제로 다문화 인권교육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관심과 탐구는 미약했다. 본 연구는 그간 우리의 다문화 교육에서 다양성과 차이의 인정도 중요하지만 이를 넘어 보편적 인권의 실천이라는 측면에서 다문화 인권교육이 매우 필요함에도 잘 실천 되지 못했다는 점에 근거하여 초등학교에서 다문화 인권교육의 방안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인권, 인권교육, 다문화 인권교육에 대한 의미, 특성 및 내용을 파악하고 다문화교육과 다문화 인권교육의 관계에 대해서도 분석을 하였다. 이는 초등학교의 다문화 인권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은 무엇이고, 어떤 내용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 것인가를 도출하는데 토대가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도덕과 및 사회과의 교과교육 활동과 창의적 체험 활동에서 다문화 인권교육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을 구안했는데, 초등학생들이 자신의 생활 주변에서 경험할 수 있는 구체적인 다문화 인권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고 인권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와 행동을 기르는데 효과적일 수 있도록 다문화 인권을 주제로 한 동화와 공익광고를 활용한 접근에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 이를 도덕 및 사회의 교과활동 시간과 창의적 체험 활동 시간에 적용하여 최초 아이디어 수준에서 구안한 접근이 실제 다문화 인권교육에서 얼마나 효과가 있었는지를 보고,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수정 보완하여 최종 결과를 제시하였다. 특히,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공익광고를 활용한 다문화 인권교육의 방안은 실제로 수업을 해 본 결과 초등학생의 경험이나 발달 수준을 고려할 때 매우 효과적인 접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Because to recognize the universal right to cultivate anti-discrimination and awareness of anti-prejudice without regard to nationality or race are very important competencies required as citizens to live a multicultural society, the multi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 is essential in school. However, in view of the cultural phenomenon of our society, even while recognizing that multi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 is required in elementary school, there was a few inquiries about how to teach in multi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uggest some effective methods of multi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starting points are that even though it has been empathized the recognition of difference and diversity in multicultural education, we have failed the practice of universal human rights. In this paper, I firstly explored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human rights, human rights education and multi-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 and to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 And I also suggested two methods of multi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One is regarding to utilizing multicultural human rights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The other is the narrative approach using human rights textbooks or literatures.

다문화, 인권, 인권교육, 다문화 인권교육, 인권 감수성, 편견, 다양성, 창의적 체험활동
multiculture, human rights, human rights education, multicultural human right education, human right sensitivity, prejudice, diversity, creative-experience activity

  • 1. [단행본] 구정화 / 2004 / 교사를 위한 학교 인권교육의 이해 / 국가인권위원회
  • 2. [단행본] 구정화 / 2009 / 다문화교육의 이해 / 동문사
  • 3. [단행본] 국가인권위원회 / 2011 / 다르지만 평등한 이주민 인권 길라잡이 / ㈜정인출판사
  • 4. [단행본] 오병선 / 2011 / 인권의 해설 / 국가인권위원회
  • 5. [단행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 2000 / 인권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 도서출판 오름
  • 6. [보고서] 윤희원 / 2008 / 인권 관점에서 다문화교육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7. [보고서] 이종태 / 2005 / 인권교육 개념 및 방향 정립 모색 연구
  • 8. [단행본] 한국사회과교육학회 / 2013 / 인권교육탐구 / 교육과학사
  • 9. [보고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2011 / 초․중․고등학교 인권교육 실태 조사
  • 10. [단행본] Bennett, C. I. / 2003 /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 Allyn and Bacon
  • 11. [학술지] 강진구 / 2012 / 한국사회의 반다문화 담론 고찰 -­ 인터넷 공간을 중심으로 ­ / 인문과학연구 (32) : 5 ~ 32 kci
  • 12. [학술대회] 김철홍 / 2009 / 다문화사회에서 다문화관련 인권교육의 방향 / 한국법과인권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문
  • 13. [학위논문] 박지원 / 2014 / 초등학교 다문화 인권교육을 위한 공익광고 활용방안 연구
  • 14. [학술지] 이인재 / 2010 / 다문화사회에서의 초등학교 반편견교육 / 윤리교육연구 (22) : 253 ~ 22 kci
  • 15. [학술지] 전제철 / 2011 / 사회과에서의 다문화 인권 교육 연구 / 시민교육연구 / 43 (3) : 143 ~ 3 kci
  • 16. [학술지] 전제철 / 2013 / 다문화 인권교육의 관점에서 본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 시민교육연구 / 45 (1) : 103 ~ 1 kci
  • 17. [학위논문] 지현아 / 2013 / 도덕과에서 배려 중심 다문화 인권교육의 적용 방안 연구
  • 18. [기타] / 2014 / 교육부 보도자료
  • 19. [인터넷자료] 국가인권위원회 / 2010년도 이주상황 실태조사 통계자료
  • 20. [기타] 여성가족부 / 제2차 다문화가족 정책 기본 계획 자료(2013-2017)
  • 21. [보고서] 여성가족부 / 2013 / 2012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통계 자료
  • 22. [기타] / 2014 / News1 2014년 3월 16일자 인터넷 신문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