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사회·정서적 능력 함양을 위한 인성교육의 통합적 방안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세우는 것에 있다. 본 연구는 초등교육의 핵심 목표 중의 하나인 초등학생들의 “바르고 선한 인성(character)”을 어떻게 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함양할 것인가?의 물음에 답하기 위해, 사회·정서적 학습(the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이하 SEL로 약칭) 이론에 근거하여 그 해답의 실마리를 찾고, 인성교육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궁극적으로 초등학생들의 사회·정서적 능력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초등현장에 적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본 논문에서는 정서 지능이 무엇이며, 정서 지능과 관련된 여러 이론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해 보았다. 왜냐하면 본 연구가 기반으로 삼고 있는 사회 정서적 학습은 바로 정서 지능에 대한 핵심 아이디어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이어 개인의 일상생활에서 비롯되는 사회적이고 정서적인 현상을 이해하고 조직하며 표현하는 능력으로서 사회 정서적 능력의 주요 구성 요소인 자기인식, 자기관리, 사회적 인식, 대인관계 기술, 책임있는 의사결정에 대해 살펴보았고, 미국에서 SEL 프로그램이 구체적으로 어떤 효과를 가져왔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다음으로 사회 정서적 학습과 정서 능력 혹은 정서 지능은 어떤 관계에 있는지, SEL과 인성교육은 어떤 관계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특히 SEL 프로그램의 활용에 있어 인성교육이 주는 시사점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SEL 프로그램을 우리의 초등학생을 위한 통합적 인성교육의 프로그램에 적용할 때 유의해야 할 일반적 원리에 대해 살펴보았다.

키워드

정서 지능, 사회 정서적 능력, 사회 정서적 학습, 인성부재, 인성교육, 통합적인 인성교육

참고문헌(20)open

  1. [단행본] 문용린 / 1998 / 정서지능의 연구의 성과와 전망 / 교육학연구

  2. [단행본] 심미혜 / 2008 / 3세부터 큰 인물로 키우는 글로벌 홈스쿨링 / 중앙북스

  3. [학술지] 이인재 / 2002 / 초등학생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열린 인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문화기술적 연구 / 윤리연구 50 (2) : 11 ~ 317

  4. [단행본] 정옥분 / 2006 / 정서발달과 정서지능 / 학지사

  5. [단행본] 한덕웅 / 1999 / 한국 유학의 심리학 In: 동양심리학 / 지식산업사

  6. [단행본] Bar-On, R. / 1997 / The emotional intelligence inventory(EQ-i):technical manual / Multi- ealth System

  7. [단행본] Elias, M. J. / 1997 / Promoting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guideline for educators /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8. [단행본] Elias, M. J. / 2006 / the educators's guide to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 Corwin Press

  9. [학술지] Elias, M. J. / 1990 / School-Based Social Competence Promotion as a Primary Prevention Strategy: A Tale of Two Projects / Prevention in Human Services 7 : 1

  10. [단행본] Goleman, D. / 1995 / Emotional Intelligence / Bantam Books

  11. [단행본] Goleman, D. / 2008 / EQ감성지능 / 웅진 지식하우스

  12. [단행본] Goleman, D. / 2001 / An EI-based theory of performance In: The Emotionally Intelligent workplace. How to select for measure and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in individuals groups and organizations / Jossey-Bass

  13. [학술지] Greenberg, M. T. / 2003 / Enhancing School-based prevention and youth development through coordinated social and emotional and academic learning / American Psychologist 58

  14. [단행본] Greenberg, M. T. / 1993 / Promoting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in Deaf Children: The PATHS Project /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5. [단행본] Mayer, J. D. / 1997 /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implication / Basic books

  16. [학술지] Mayer, J. D. / 2008 / Emotional Intelligence: Theory, Findings and implications / Psychological Inquiry 60

  17. [단행본] Payton, J. W. / 2000 /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a framework for promoting mental health and reducing risk behavior in children and youth / Journal of School Health

  18. [학술지] Salovey, P. / 1990 / Emotional Intelligence /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 (3)

  19. [학술지] Zeidner, M. / 2004 /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Workplace: A Critical Review /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20. [단행본] Zins, ,J. E. / 2004 / Building Academic Success on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What does the research say? / Teachers College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