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키르케고르의 실존주의 예술관과 이념으로서의 ‘美學的 實在’

Kierkegaard’s existential viewpoint on art and idea of ‘aesthetic reality

동서철학연구
약어 : S.P.E.W
2014 no.73, pp.295 - 318
DOI : 10.15841/kspew..73.201409.295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동서철학회
365 회 열람

실존주의자인 키르케고르에게 예술이란 본질적으로 실존적인 그 무엇이다. 따라서 고전예술에서 불멸의 무엇으로 고려되고 있는 ‘주제’는 사실상 예술에 있어서는 비-본질적인 것으로 간주하며, 본질적인 것은 오히려 ‘심미적인 것’이다. 그에게 있어서 일체의 자연에 대한 언어적 해석은 무용한 것이며, 자연이 인간에게 제공하는 것은 순수하게 심미적인 그 무엇이다. 이러한 사유가 가능한 것은 중세 이후 감성이 이성에 대립하는 하나의 독자적인 원리로 자리 잡았다고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감성의 독자적인 원리는 ‘감성에 대한 학’이라는 미학(Aesthetica)의 이념과도 일치하며, 또한 ‘美學的 實在’라는 개념을 형성하게 하는 단초가 된다. 미학적 실재는 예술가의 실존이 대상과 가지는 교감에서 주어지는 창조된 것으로 작품을 작품답게 하는 그 무엇이다. 이는 모든 예술이 지향하는 ‘이념’으로 이해된다. 키르케고르의 예술론에서 중요한 점은 모든 진정한 예술은 그 자체 ‘특정 종류의 영원성’을 내포하고 있는데, 이는 ‘시간의 한 중간에 입회하고 있는 영원성’으로서 심미적 차원에서 현존하고 있는 ‘존재자체’ 혹은 ‘절대자의 현존’이라고 할 수 있다. 예술의 의미가 가장 심오하게 나타나는 곳이 바로 이러한 심미적 지평에서 마주하는 ‘절대적 현존’이다. 특히 인상주의 화가들의 삶에서 가장 부각되고 있는 이러한 절대적 대면은 예술가로 하여금 ‘진정한 삶’을 마주한다는 실존적인 느낌을 주는 것으로서 ‘피안을 위한 예술’의 정의에 부합하는 것이다. 비록 심미적 실존의 지평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영원성이 잠정적이고 한시적인 영원성이기는 하지만 ‘구원된 느낌’을 가질 수 있다는 의미에서 진정한 영혼의 휴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키르케고르의 예술관이 가지는 의의는 심미적 실존의 지평에서도 예술이라는 형식을 통해서 거의 종교적인 지평의 차원에로 도약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는 것이다.

Kierkegaard’s existential viewpoint on art and idea of ‘aesthetic reality

심미적 실존, 감성의 독자성, 미학적 실재, 영원성, 피안을 위한 예술.
aesthetic existence, identity of sensibility, aesthetic reality, eternality, art for the sake of the kingdom of Heaven.

  • 1. [단행본] 레싱 / 2008 / 회화와 시의 경계에 관하여 / 나남
  • 2. [단행본] 김정아 / 2008 / 눈과 마음 / 마음산책
  • 3. [단행본] 빈센트 반 고흐 / 2005 / 영혼의 편지 / 예담
  • 4. [단행본] 빙켈만 / 1995 / 그리스 미술 모방론 / 이론과 실천
  • 5. [단행본] 서동은 / 2009 / 하이데거와 가다머의 예술이해 / 누멘
  • 6. [단행본] 어윈 에드만 / 1993 / 예술과 인간 / 문예출판사
  • 7. [단행본] 이단 / 1997 / 20세기 예술문화 / 시공사
  • 8. [단행본] 이지훈 / 2008 / 존재의 미학 / 이학사
  • 9. [단행본] 존 버거 / 1984 / 피카소의 성공과 실패 / 미진사
  • 10. [단행본] 제임스 H. 루빈 / 1998 / 인상주의 / 한길아트 : 371
  • 11. [단행본] 케빈 / 1992 / 예술철학: 고전적 원리의 관점에서 본 예술의 본질 / 민음사
  • 12. [단행본] 키르케고르 / 2012 / 이것이냐 저것이냐 / 도서출판 치우
  • 13. [단행본] 키르케고르 / 2011 / 임춘갑 옮김 / 도서출판 치우
  • 14. [기타] 키르케고르 / 2011 / 직접적이며 에로틱한 단계들 또는 음악적이고 에로틱한 것 / 지식을만드는지식
  • 15. [단행본] 키르케고르 / 1980 / 들의 백합 공중의 새 / 종로서적
  • 16. [단행본] 허버트 리드 / 1996 / 현대미술의 원리 / 열화당
  • 17. [단행본] Monique Deschaussées / 1990 / Musique et spiritualité / Dervy
  • 18. [학술지] Russ J / 1991 / Dictionnaire de philosophie / Bordas
  • 19. [학술지] Thomae Aquinatis / 1952 / Summa Theologiae / marietti Editori
  • 20. [학술지] 송재우 / 2009 / 키에르케고르적 개인적 체험의 학문적 정초 가능성 -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방법을 통하여 - / 철학논총 / 1 (55) : 187 ~ 55 kci
  • 21. [학술지] 이명곤 / 2011 / 근대 프랑스 미술문화에 나타나는 ‘자유의 이념’ - 세잔, 고흐, 피카소를 중심으로 / 유럽사회문화 / 1 : 121 ~ k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