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15세기의 조선에서는 과부의 개가를 둘러싼 두 차례의 대논쟁이 있었다. 성종 8년(1477)의 ‘개가 금지법 제정(制定)’을 둘러싼 1차 논쟁과 연산 3년(1497)의 ‘개가 금지법 개정(改定)’을 둘러싼 2차 논쟁이 그것이다. 과부 개가의 문제가 정치 현안으로 대두된 표면적인 이유는 유교 윤리에 입각한 풍속과 강상(綱常) 질서의 확립이었다. 총 46명의 학자 관료가 참여한 1차 논쟁은 10% 미만의 극소수의 주장으로 개가 금지법 제정으로 결론이 났다. 그것은 ‘재가녀자손금고법’으로 성종 16년(1485)에 공포된 『경국대전』에 등재되었다. 그 시행으로 복잡하고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야기되자 법 개정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총 29명이 참여한 2차 논쟁이 구성되었다. 이 글은 두 논쟁을 중심으로 개가를 규제한 예의 논리와 개가를 논죄한 형(刑)의 논리를 분석하여 유형화하고, 그 사상사적 의미를 모색한 것이다. 과부 개가에 대한 두 차례의 논쟁은 크게 금지론과 허용론으로 구성되는데, 전자가 원칙론과 의리론에 근거했다면 후자는 시의론(時宜論)과 인정론(人情論)에 근거했다. 한 쪽은 그 시대의 주요 가치인 절의(節義)의 원칙론에 충실했다면, 다른 한 쪽은 물질적 정신적 어려움에 직면한 과부의 현실에 주목했다. 각 주장은 가부장적 사유 구조와 유교 지식이라는 공통의 기반에 서 있지만 개가에 대한 이해와 그 접근 방식은 일률적이지 않았다. 이것은 가부장제 사회의 보편적 여성인식을 보여주는 동시에 15세기 조선사회가 구성하는 여성 형상의 특수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이 논쟁은 남성 엘리트 계층이 소외된 여성 계층을 어떻게 보고 어떻게 말하는가를 직접적이고 구체적으로 듣는 효과를 보여준다. 논쟁에서 드러난 사대부 남성들의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인식은 이 시기의 사상을 이해하는 하나의 자료가 된다. 즉 15세기의 두 논쟁은 과부의 고단한 현실을 진지하게 고민한 것이기보다는 상층부 지식인들의 이데올로기 논쟁의 성격이 짙다. 여기서 조선사회가 유교를 수용하여 전개시킨 방법 및 태도의 한 측면을 엿볼 수 있다.

키워드

여성재혼, 개가금지법, 논쟁사, 조선유학

참고문헌(22)open

  1. [기타] / 『태종실록』 『세종실록』 『문종실록』 『단종실록』 『세조실록』 『성종실록』 『연산군일기』 『중종실록』 『숙종실록』 http://sillok.history.go.kr

  2. [기타] / 春秋左傳

  3. [기타] / 詩經

  4. [기타] / 孟子

  5. [기타] / 禮記

  6. [기타] / 『朝鮮經國典』上

  7. [기타] / 經國大典

  8. [단행본] 宋時烈 / 宋子大全

  9. [단행본] 鄭道傳 / 三峰集

  10. [단행본] 洪大容 / 湛軒書

  11. [단행본] 이숙인 / 2003 / 여사서 / 도서출판 여이연

  12. [학술지] 李相佰 / 1936 / 朝鮮に於ける 婦女再嫁禁止習俗の由來について / 東洋思想硏究 : 149 ~ 192

  13. [학술지] 鶴山憲 / 1944 / 李朝社會に於ける 再嫁の禁制 / 朝鮮 348

  14. [단행본] 金斗憲 / 1949 / 朝鮮家族制度硏究 / 을유문화사 : 648 ~ 673

  15. [학술지] 강해경 / 1999 / 옛날 재혼여성은 이렇게 속썩이며 살았다 / 실천민속학 1

  16. [학술지] 김기형 / 1994 / 口碑說話에 나타난 寡婦의 형상과 의미 / 한국민속학 26

  17. [학술지] 이숙인 / 2008 / 조선 초기 유학의 여성인식-여성 범주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 정신문화연구 31 (2) : 193 ~ 221

  18. [학술지] 이숙인 / 2009 / 조선 유학에서 감성의 문제 / 국학연구 14 (14) : 391 ~ 412

  19. [학술지] 전미경 / 2001 / 개화기 과부개가 담론분석 /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 (3)

  20. [학술지] 정환국 / 2009 / 19세기 문학의 ‘불편함’에 대하여 - 그로테스크한 경향과 관련하여 / 한국문학연구 (36) : 253 ~ 287

  21. [단행본] 최재석 / 1983 / 한국가족제도사연구 / 일지사

  22. [학술지] 최재석 / 1977 / 濟州道의 離ㆍ再婚制度와 非儒敎的 傳統 / 진단학보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