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조선시대 노자 주석은 현재까지 5종이 발굴되어 연구되고 있다. 노자의 주석은 조선시대를 관통하면서 다양한 이해의 폭을 보여준다. 주석자 자신만의 철학적 이해를 보여주기도 하고, 주석자가 활동한 시대적 상황과 철학적 입장들이 하나의 흐름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고 평가된다. 조선시대 다양한 노자 주석서를 이해하는 현대학자들의 방식은 첫째, ‘闢異端論’이 있다. 벽이단론은 유학의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단을 공격하는 논리로 『노자』 주석이 진행되었다는 입장이다. 이 입장은 유학을 정통의 학문으로 정립하기 위해 노장을 거짓학문으로 규정하는 과정에서 사상적 투쟁의 성격이 강한 주석이라고 본다. ‘벽이단론’을 통해 유학은 자신들의 이론을 보완하거나 회통하는 시도로서 노장을 해석하는 경향, 즉 ‘以儒釋老’의 관점으로 전환된다고 본다. 이것이 둘째, ‘以儒釋老’의 관점이다. ‘이유석노’라는 관점은 중국학자인 嚴靈峰에 의해 제기되고, 한국에서는 金吉煥에 의해 도입되었다. 이 관점은 한국에서 노장을 연구하는 학자들의 주류 관점이 되어 노자와 장자에 대한 다양한 주석자들의 입장과 철학적 사유를 재단하는 기준으로 작동한다. 한국 역사에서 유독 조선에서 『노자』 주석서가 탄생하고 있는 점에 비추어 본다면, 이들 주석서는 주자학의 관점에서 ‘이유석로’의 입장을 취한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입장을 취하면 주석자의 사유를 일방적으로 재단하거나 그의 철학적 시각을 사상(捨象)하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입장과 달리 셋째, ‘탈주자학적 관점’에서 노자 주석서를 이해하려는 시각이 있다. 이 시각 역시 주자학이 기준이다. 주석자가 주자학적 사유를 견지하느냐 벗어났느냐는 사실만으로, 그의 노자의 주석을 탈주자학적 관점에서 주석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하지만 이러한 관점은 사상사의 흐름과 노자이해의 흐름을 일치시켜 판단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도 사상사적 판단이 아니라, 단지 주석자가 주자학적 사유를 벗어났다는 이유만으로 탈주자학적 노자이해라고 재단하는 문제가 있다. 마지막의 관점은 넷째, ‘사상사적 흐름’으로 보려는 시도이다. 이는 시대적 흐름에서 주류 사상을 특정하고 이에 따른 노자 이해를 하나의 사상사로 정리하려는 시도이다. 몇몇 학자들에 의해 시도된 이러한 연구는 시대의 흐름을 사상사적으로 특정하는 선행연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한국사상사의 흐름에서 노자의 이해를 어떻게 바라볼지에 대한 세밀한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는 점에서 아직 부족한 점이 보인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노자 주석서들을 연구하는 입장들을 정리하고, 이들 연구방법에서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해명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의 문제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정리하고자 노자 주석서들의 연구경향들을 따로 정리했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노자 연구의 전망들을 제시하면서 새로운 시각들과 입장들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키워드

노자주석서, 이단, 성리학, 이유석로, 사상사, 타자, 탈주자학

참고문헌(46)open

  1. [기타] / 정노

  2. [기타] / 초원담로

  3. [기타] / 도덕지귀

  4. [기타] / 신주도덕경

  5. [기타] / 순언

  6. [기타] / 동문선

  7. [단행본] / 경서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8. [단행본] / 한국문집총간5 / 민족문화추진회

  9. [단행본] 한국철학사상연구회 / 1995 / 강좌 한국철학 / 예문서원

  10. [단행본] 금장태 / 2006 / 한국유학의『노자』이해 / 서울대출판부

  11. [단행본] 송항룡 / 1978 / 한국도교철학사 / 성대 대동문화연구원

  12. [단행본] 유성태 / 1991 / 한국사상사 / 원광대학교 출판국

  13. [단행본] 이광세 / 2005 / 이강수 읽기를 통해 본 노장철학연구의 현주소 / 예문서원

  14. [단행본] 조민환 / 1996 / 유학자들이 보는 노장철학 / 예문서원

  15. [학술지] 김경수 / 2003 / 道德指歸를 통해 본 서명응의 도덕경 이해 / 한국사상과 문화

  16. [학술지] 김시천 / 2012 / 이이(李珥)의 『순언』(醇言)과 이단의 문제-조선조 유가 지식인의 내면 풍경에 대한 한 가지 고찰- / 시대와 철학 23 (1) : 107 ~ 145

  17. [학술지] 김윤경 / 2008 / 이충익의『椒園談老』에 드러난 有無觀- 왕필 『老子注』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 도교문화연구 (28) : 243 ~ 266

  18. [학위논문] 김윤경 / 2010 / 하곡학파 『노자』 해석에 관한 연구 : '유무론'과 '선악론'을 중심으로

  19. [학술지] 김학목 / 2003 / 淵泉 洪奭周가 『道德經』을 주석한 목적 ―사상사적인 관점 아래 『醇言』과 『新註道德經』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철학연구 60 : 5 ~ 24

  20. [학술지] 김학목 / 2003 / 이충익의 초원담로연구 / 인천학연구 2 (2)

  21. [학술지] 김학목 / 2004 / 강화학파의 [도덕경]주석에 관한 고찰 / 동서철학연구 (34) : 277 ~ 299

  22. [학술지] 김형석 / 2011 / 이충익의 『초원담로』에 나타난 형이상학 구조에 관한 연구 - 송명대 노자학의 맥락을 중심으로 - / 양명학 (30) : 189 ~ 218

  23. [학술지] 김형석 / 2013 / 이충익 『초원담로』의 수양론 체계에 관한 연구 / 仙道文化 14 : 537 ~ 565

  24. [학술지] 민홍석 / 2009 / 李忠翊의 『椒園談老』에 나타난 老子觀 一考 - 유·무의 문제를 중심으로 - / 양명학 (22) : 285 ~ 311

  25. [학술지] 송항룡 / 1982 / 서계 박세당의 노장연구와 도가철학사상 / 대동문화연구 16

  26. [단행본] 송항룡 / 1981 / 율곡 이이의 노자연구와 도가철학이해 (현담 유정동 박사 화갑기념논총)

  27. [학술대회] 윤천근 / 1990 / 이이의『순언』에 나타난 철학사상 / 3회 한국철학자 연합학술대회대회보

  28. [학술지] 이강수 / 1989 / 서명응의 노자이해 / 동방학지 62

  29. [학술지] 이강수 / 2006 / 율곡의 『순언』과 조선조의 도가연구 / 율곡사상연구 13

  30. [학술지] 이봉호 / 2003 / 서명응의 道德指歸에 나타난 易理와 內丹思想의 一致 / 한국사상과 문화

  31. [학술지] 이봉호 / 2005 / 保晩齋 徐命膺의 先天學 體系와《老子》이해 / 도교문화연구 (22) : 134 ~ 163

  32. [학술지] 이선경 / 2006 / 修養의 관점에서 본 栗谷의 『순언』이해 / 한국철학논집 (18) : 71 ~ 91

  33. [학술지] 이종성 / 1996 / 서계 박세당의 『신주도덕경』에 있어서 노자관 / 동양철학연구 16

  34. [학술지] 이희재 / 2002 / 박세당의 『新註道德經』연구 / 서지학연구 23 : 65 ~ 86

  35. [학술지] 정륜 / 2002 / 醇言(순언) 의 체용론적 구조 / 범한철학 (27) : 229 ~ 250

  36. [학술지] 조남호 / 2008 / 이충익의 양명학적 사고 / 양명학 (21) : 173 ~ 203

  37. [학술지] 조남호 / 2009 / 이충익의 노자이해 / 인문학연구

  38. [학술지] 조민환 / 2004 / 洪奭周『訂老』에 나타난 道論 / 동양철학연구 38 : 323 ~ 351

  39. [학술지] 조민환 / 1996 / 홍석주의 노자사상이해 / 시철논단

  40. [학술지] 조민환 / 2002 / 서명응의 『도덕지귀』에 관한 연구 / 동양철학 16

  41. [학술지] 조민환 / 1996 / 서계 박세당의『장자』이해1 / 철학 47

  42. [학술지] 조민환 / 1997 / 박세당의 『노자』이해1 / 철학 50

  43. [학술지] 조한석 / 2005 / 道家思想의 儒家的 變容을 위한 朴世堂의『莊子』 읽기 / 도교문화연구 (23) : 87 ~ 113

  44. [학술지] 조한석 / 2005 / 박세당 {장자} 해석의 사상사적 의미-[제물론] 해석의 정치적 활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 한국사상사학 25 : 103 ~ 132

  45. [학술지] 최일범 / 1994 / 박세당의 유무론 / 도교학연구 (13)

  46. [학술지] 최일범 / 1997 / 한국 도가철학의 현실대응 방향과 그 사상사적 영향 / 국민윤리연구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