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키르케고르의 종교관과 주관성으로서의 진리

Religious View of Kierkegaard and Truth as Subjectivity

동서철학연구
약어 : S.P.E.W
2018 no.89, pp.267 - 292
DOI : 10.15841/kspew..89.201809.267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동서철학회
140 회 열람

키르케고르의 인간관은 ‘인간은 근원적으로 종교적인 존재’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인간은 애초에 초월적인 것 혹은 신성한 것과의 관계성 중에 있는 존재라는 것이다. 이러한 초월성에 대한 추구를 실존적인 정열로서 가진 사람이 곧 종교적인 사람이다. 키르케고르는 이러한 진리를 논함에 있어서 ‘소크라테스적인 무지’를 논의의 쟁점으로 끌어들이는데, 진리를 추구하는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을 일종의 ‘실존적인 파토스’로 이해하며 여기서 일반성과 보편성을 넘어서는 ‘주관성으로서의 진리’ 개념을 파악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크라테스적인 주관성이 왜 종교적 진리를 특징짓는 주관성으로서의 진리일 수 있는지를 삶의 궁극적인 목적으로서의 ‘에토스’ 개념을 통해 정립하고 있다. 이러한 ‘에토스’를 자신의 내면으로부터 발견한 사람이 ‘내면성’을 가진 사람이며, 그리고 이러한 내면성은 진정한 종교가 형성되기 위한 기반이 된다. 따라서 소크라테스는 최초로 자연종교를 형성한 상징적인 사람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 그리스도교는 소크라테스적인 내면성과 주관적인 진리를 그 전제조건처럼 가지면서 ‘한 개인이 개별자로서 절대자와의 절대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에서 형성된다. 이는 곧 ‘계시에 대한 수용’이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힘이 곧 부조리의 힘이다. 부조리의 힘에 의해 ‘절대자와의 관계성을 가지는 것’이 곧 역설로서의 믿음이다. 이러한 믿음은 시간성(역사성)과 상대적이고 일반성의 지평에 있는 사회와 문화(윤리성)를 넘어서는 것으로 그 자체 개별적이고 절대적인 주관성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믿음을 가진다는 것은 고차적인 자아를 가지는 것이고, 초월자와 자신에 대한 체득된 앎, 즉 실존적인 앎으로서의 주관적인 진리를 가지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Kierkegaard's view of humanity is that human beings are essentially religious beings. In other words, human beings are transcendent in the first place, or are in a relationship with the divine. The person with the existential passion to pursue this transcendence is a religious person. Kierkegaard brings “Socratic ignorance” to the discussion issue in discussing these truths. He understands Socrates's maieutic method practice of truth-seeking as a kind of “existential Patos”, and recognizes the concept of “truth as subjectivity” beyond generality and universality. In other words, the person who found the “ēthos” as the ultimate goal of life transcending the socio-cultural generalities and universality of reason is the one who discovered the truth from his inner self, and this person is a person with “internality.” And the possession of this internality is the basis for the formation of religion. Therefore, Socrates can be regarded as a symbolic person who formed the first natural religion. Christianity, on the other hand, is formed by having an absolute relationship with the Absolute as an individual, having the Socratic internality and subjective truth as preconditions. This is the acceptance of revelation, and the power that makes it possible is the strength of absurdity. It is the belief as a paradox that “having relationship with the Absolute” by the power of absurdity. This belief goes beyond the sociality and culture(ethics) in temporal(historical) and relative and generic horizons, and manifests itself as individual and absolute subjectivity. Therefore, having faith has a higher degree of self, and can be said to have learned knowledge of God and self, subjectivity as existential knowledge.

소크라테스적 무지, 키르케고르, 초월성과 내면성, 주관성으로서의 진리, 종교적 인간
Socratic ignorance, Kierkegaard, transcendence and internality, truth as subjectivity, religious person

  • 1. [단행본] 메를드 웨스트팔 / 2018 / 키르케고르 신앙의 개념 / 홍성사
  • 2. [단행본] 이명곤 / 2014 / 키르케고르 읽기 / 세창미디어
  • 3. [단행본] 장 라크르와 / 1985 / 현대 프랑스 사상의 파노라마 / 탐구당
  • 4. [단행본] 키르케고르 / 2011 / 공포와 전율 / 도서출판 치우
  • 5. [단행본] 키르케고르 / 2011 / 관점 / 도서출판 치우
  • 6. [단행본] 키르케고르 / 2011 / 불안의 개념 / 도서출판 치우
  • 7. [단행본] 키르케고르 / 2011 / 순간 / 도서출판 치우
  • 8. [단행본] 키르케고르 / 2012 / 철학적 조각들 / 집문당
  • 9. [단행본] 풀끼에 (P.) / 1990 / 실존주의 / 탐구당
  • 10. [단행본] André Lalande / 1926 / Vocabulaire technique et critique de la philosophie / Puf
  • 11. [단행본] Augustini (St.) / 1950 / Confessionum, Lib. 4, ch. 12 / Garnier Frères
  • 12. [단행본] Auroux Sylvain / 1990 / Religion / PUF
  • 13. [단행본] Cheun (M. D.) / 1959 / St. Thomas d’Aquin et la théologie / Seuil
  • 14. [단행본] Lavelle Louis / 2005 / L’erreur de Narcisse, Édition numérique, à Chicoutimi
  • 15. [단행본] Kierkegaard / 1992 / Concluding unscientific post-script to "Philosophical Fragments", 2Vols. / Princeton University Press
  • 16. [단행본] Kierkegaard / 1992 / Practice in Christianity / Princeton University Press
  • 17. [단행본] Kierkegaard / 2003 / Miettes Philosophiques / Gallimard
  • 18. [학술지] 김영철 / 2004 / 성 켄터버리 안셀무스의 `이성과 신앙(ratio et fides)` / 철학논총 / 2 (36) : 211 ~ 36 kci
  • 19. [학술지] 윤병운 / 1993 /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있어서 신앙과 이성의 관계 / 중앙철학연구
  • 20. [학술지] 이명곤 / 2009 / 중세철학에서 「내면성」의 의미-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과 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영혼론』을 중심으로- / 중세철학 (15) : 1 ~ 15 kci
  • 21. [학술지] 이명곤 / 2017 /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에서 ‘신학적인 것’과 ‘철학적인 것’의 구분과 통일성에 관한 고찰 / 동서인문 (8) : 5 ~ 8 kci
  • 22. [학술지] 장건익 / 2007 /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에 대한 앎 / 가톨릭철학 (9) : 291 ~ 9 kci
  • 23. [학술지] 정재걸 / 1984 / 키에르케고르의 주관적 지식과 교육 / 도덕교육연구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