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한국학의 세계화는 궁극적으로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과 자긍심을 북돋워주는 한국학의 핵심 아젠다를 개발하고, 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예술 분야를 아우르는 새로운 한국학 분야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한국학의 세계화란 한국학을 중국학이나 일본학과 같이 하나의 독립된 문화학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그 학문적 위상을 높이고자 하는데 있다. 90년대에 이르러 한국학의 세계화에 대하여 여러 분과에서 학자들이 다양한 시각을 갖고 비판적으로 접근하고 있지만 세계화를 크게 외치는 것만큼 민족적이고, 지역적인 면모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본래 이러한 한국학의 세계화를 향한 움직임은 이미 ‘조선학’ 개념에 내재되어 있었다. 조선학에 대한 관심은 1930년대 주권을 강탈당한 민족으로서 3∙1운동을 통한 정치적 저항이 실패로 끝나면서 그 문화적 역량이 조선학 학술운동으로 전개되면서 나타났다. 조선학 운동은 민족학의 범주에서 머물지 않고 조선학에서 보편학문의 가능성을 탐구했다. 이 과정에서 학자들은 보편학으로서 조선학의 뿌리를 학문의 보편적 성격과 실증성을 지향하는 다산학에 두게 되었다. 실로 서학의 유입을 통하여 조선유학에 형이상학과 형이하학의 두 측면에 도전과 응전의 계기가 마련되었다. 조선의 심학전통은 서학의 형이상학을 해석하는 고유한 학적 바탕이 되었다. 본고는 근대 조선학문의 성격을 밝히고 조선서학이 문화학으로서 조선학으로 나아가는 유동적인 과정학으로서 보편적 요소를 갖추고 있음을 주목하고 있다. 또한 이로부터 한국학의 가능성과 의의를 밝히고 있다.

키워드

한국학, 조선서학, 조선학, 조선심학, 다산학, 과정학, 문화학.

참고문헌(28)open

  1. [기타] / 天主實義

  2. [기타] / 燕巖集

  3. [기타] / 遯窩西學辨

  4. [기타] / 星湖僿說

  5. [기타] / 與猶堂全書

  6. [기타] / 朱子語類

  7. [기타] / 湛軒書

  8. [단행본] 강재언 / 1990 / 茶山學의 探究 / 민음사

  9. [단행본] 마테오 리치 / 2007 / 천주실의 / 서울대학교

  10. [단행본] 徐宗澤 / 1958 / 明淸間耶蘇會士譯著提要 / 中華書局, 臺灣

  11. [단행본] 홍승직 / 2005 / 이탁오 평전 / 돌베개

  12. [단행본] 윤사순 / 1990 / 정약용 / 고려대 출판부

  13. [단행본] 이수광 / 2000 / 지봉유설 精選 / 현대실학사

  14. [단행본] 이용범 / 1988 / 중세 서양과학의 조선전래 / 동국대 출판부

  15. [단행본] 임형택 / 2000 / 실사구시의 한국학 / 창작과 비평사

  16. [단행본] 정수일 / 2005 / 한국 속의 세계 / 창비

  17. [단행본] 최석우 / 1982 / 한국천주교의 역사 / 한국교회사연구소

  18. [단행본] 프란츤 / 2001 / 세계교회사 / 분도출판사

  19. [단행본] 한우근 / 1980 / 星湖李瀷硏究 / 서울대출판부

  20. [단행본] Mungello, D.E / 1989 / Curious Land / Hawaii Uni. Pr

  21. [학술지] 곽호제 / 2004 / 朝鮮後期 德山地域 驪州李氏家의 學問的 性格 -西洋學問에 대한 對應을 중심으로- / 지방사와 지방문화 7 (1) : 47 ~ 77

  22. [학술지] 김용헌 / 1995 / 서양 과학에 대한 洪大容의 이해와 그 철학적 기반 / 철학 43

  23. [학술지] 백영서 / 2007 / 인문한국이 나아가야 할 길:이념과 제도 / 한국학연구 17

  24. [학술지] 야마무로 신이치 / 2009 / 서학(西學)에 의한 만국인식의 변용과 동아시아 국제질서 -사상연쇄(思想連鎖)의 시각에서- / 인간.환경.미래 (3) : 91 ~ 111

  25. [학술지] 정일균 / 2007 / 다산 정약용의 『심경(心經)』론*- 『심경밀험(心經密驗)』을 중심으로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73) : 337 ~ 384

  26. [단행본] 차기진 / 1994 / 18세기 기호남인의 척사론과 그 성격, In 창해박병국정년기념 사학논총

  27. [학술지] 한영우 / 1992 / 이수광의 학문과 사상 / 한국문집 13

  28. [학술지] 홍원식 / 2007 / 李滉과 그의 直傳 제자들의 心經附註 연구 / 퇴계학보 (121) : 67 ~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