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성리학의 선악관와이-와이(y-Y)의 사고 양태

동양철학연구
약어 : -
2007 no.50, pp.287 - 324
DOI : 10.17299/tsep..50.200705.287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동양철학연구회
177 회 열람

성리학의 유기체 우주론은 인간의 도덕 문제도 형이상학적으로 정초하였는데, 그것이 ‘천리-성선-성즉리’의 본체론으로 나타났다. 이 우주론은 이 세계에 악은 불가피하지만 그것은 ‘절대악’이 아니고, 선의 결핍으로서 곧 소멸되는 것으로 본다. 여기서는 인간 도덕의 근거인 형이상학적 원리에 대해 절대적 신뢰를 가지고, 그것을 도덕준칙으로 삼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성리학의 현실적 도덕 실천의 장에서는 가치 판단이 불가피하므로 선악을 대립시키고 입론 형식도 대립적이다. 그러한 대립 입론의 형식에는 천리-인욕, 인심-도심, 사단-칠정 등이 있는데, 여기에는 선악의 일반적 평가어를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우주형이상학에 사용된 리-기라는 개념을 가지고 사단-칠정을 설명함으로써 선-악 평가 때와는 다른 문제가 파생된다. 조선조에 와서 주자학을 둘러싼 논쟁을 할 때 이 사단칠정리기 문제가 중요한 테마가 되었는데, 이때 한층 선악 문제와 연관된 복잡한 관점이 대두됨으로써 논쟁이 계속되었다. 동시에 인심-도심 문제도 이 논쟁에 포함되었는데, 이때 선악을 대립시키면서 악을 절대악으로 보지 않으려는 논리적 모순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요약하면 성리학에는 도덕의 근거로서의 형이상학적 원리를 절대적 도덕준칙으로 선택하는 관점과 도덕 실천의 장에서 가치 판단을 위하여 선-악을 대립시키는 관점이 공존하고 있다. 전자는 영어의 소문자 ‘와이(y)’로 나타내어 ‘성선’, ‘성즉리’를 강조하면서 악을 그 선의 결핍으로 보려는 사고방식의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다면, 후자는 영어의 대문자 ‘와이(Y)’라고 나타내어 ‘가치 대립적’이라는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소문자 ‘와이(y)’는 善(긴 선)이 주가 되고 惡(짧은 선)이 곁가지로 종속이 되는- 악을 절대악으로 보지 않는- 이미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두개의 ‘사고 양태(mode of thought)’, 즉 두 개의 ‘와이’가 병존하고 있는 셈이다. 전자는 선-악을 존재론적으로 고찰한 것이고, 후자는 도덕적인 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성리학은 일종의 자연법 사상 체계(天人合一)이므로 이와 같이 두 사고 양태가 병행하고 있는 특성이 있는 것이다.

性理學的整體宇宙論凸顯了把人間道德問題也定礎爲形而上學的結果, 就是說展示了天理-性善-性卽理的本體論. 這種宇宙論說明, 雖然惡是世界里不能避免的存在, 但是它不是絶對惡, 而是可以被快消滅的善的缺乏. 在這里, 對于作爲人間道德的根據的形而上學原理完全相信, 而不能不把它作爲道德準則. 但是性理學說明人必須在現實的道德實踐上下價値判斷, 因此, 而在立論形式上要求形成爲善惡的對立架構. 那樣的對立的立論形式表現爲天理-人欲, 人心-道心, 四端-七情, 從這里可以使用對善惡的評價語. 但是把作爲宇宙形而上學範疇的理-氣槪念說明四端-七情的時候, 發生了和評價善惡時的別的問題. 槪括地說, 朝鮮性理學者圍繞朱子學而論爭的時候, 這四端七情問題成爲了重要的論題, 擡頭了這種和善惡問題關聯的更複雜的觀點而不斷地論爭. 同時, 對于人心-道心的問題也被包含于這論爭, 這時, 表出了把善惡看做對立的關係而不把惡看做絶對惡的邏輯的矛盾. 性理學把作爲道德根據的形而上學的原理看做爲道德準則的觀點和爲了在道德實踐上的價値判斷把善惡對立起來的觀點竝行一起, 前者是以英文小文字(y)表示, 强調‘性善’,‘性卽理,’ 而可以揭發把惡看做善的缺乏的思考方式, 則後者以英文大文字揭發價値對立的印象的. 小文字(y)表示以善(張的善)爲主,而以惡爲旁支-不把惡看做爲絶對惡的印象. 這樣, 兩個的思考形態(mode of thought), 卽,兩個‘Y'竝存了. 前者是對于善-惡的存在論的考察, 後者是在道德上考察的. 性理學是一種自然法思想體系(天人合一), 因此,具有兩思考形態竝行的特性.

善惡, 天理, 性善, 性卽理, 人心道心, 四端七情, 理氣, 有機體的宇宙論, 道德形而上學, (y-Y) 思考方式, 自然法 思想, 朱子, 退溪, 栗谷

  • 1. [단행본] 강영안 / 1992 / 악에 대한 형이상학적 성찰(악이란 무엇인가) / 창
  • 2. [단행본] 곽신환 / 1992 / 악에 대한 유가철학적 이해(악이란 무엇인가) / 창
  • 3. [단행본] 류기종 / 1988 / 화이트헤드의 종교론 / 종로서적
  • 4. [학술지] 송현주 / 1991 / 과정사상과 화엄사상에서 ‘악’의 문제 / 한국종교연구회회보 (3)
  • 5. [단행본] 마사오, 아베 / 1996 / 기독교와 불교에서의 악의 문제(선과 현대신학) / 대원정사
  • 6. [학술지] 이동희 / 1989 / 나흠순의 리기혼일의 철학과 이율곡의 리기지묘 철학과의 비교 연구 / 한국학논집
  • 7. [학술지] 이동희 / 2001 / 주희의 형이상학과 그 현대적 의미 / 동양철학
  • 8. [학술지] 이동희 / 2004 / 화이트헤드의 형이상학적 神觀에서 본 퇴계의 독특한 리 관념, ‘尊理說’ / 퇴계학보 (116) : 107 ~ 116 kci
  • 9. [단행본] 싱어, 조나단 / 2004 / 자연과학자의 인문학적 이성 죽이기 / 다른 세상
  • 10. [단행본] 니담, 죠셉 / 1988 / 중국의 과학과 문명 2권 3권 / 을유문화사
  • 11. [단행본] 陳來 / 2006 / 주희의 철학 / 예문서원
  • 12. [단행본] 칸트 / 1984 /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 서울:이화여대 출판부
  • 13. [단행본] 한국종교연구회 / 1999 / 선과 악은 둘인가 하나인가(종교읽기의 자유) / 청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