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지눌의 돈오는 해오로서 이지적인 성격을 지닌다. 그러나 그것은 단순히 문자적 이해에서 그치지 않으며 본성에 대한 깨달음 자체를 의미한다. 그러한 돈오란 사실상 증오와 동일한 내용이라고 할 수 있지만 개인적인 성향과 습기가 남아있는 한에서 증오와 구분될 뿐이다. 지눌에게서 돈오와 점수는 논리적으로는 선후의 관계에 놓이지만 시간적으로는 동시적 관계라고 할 수 있다. 돈오 이후에 별개의 점수를 닦는 것이 아니라, 돈오 자체로써 곧바로 새로운 차원의 닦음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본고의 논지는 바른 견해 혹은 바른 깨달음이 전제될 때 비로소 참된 닦음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고는 이것의 전형을 지눌의 돈오점수에서 찾았고, 또한 초기불교의 팔정도와 사성제 등에도 이것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조명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한국불교와 초기불교 수행론 사이의 소통에 기여하는 측면이 있을 것이며, 또한 각자의 교리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데에서도 나름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돈오점수, 초기불교, 한국불교, 위빠사나, 팔정도, 사성제

참고문헌(24)open

  1. [기타] AN Aṅguttaranikāya / PTS(M. Morris and E. Hardy), Vols. Ⅰ-Ⅳ Rep. 1955-1961

  2. [기타] DN Dīghānikāya / PTS(T.W. Rhys Davids and J.E. Carpenter), Vols. Ⅰ-Ⅲ Rep. 1966-1976

  3. [기타] MN Majjhimanikāya / PTS(V. Trenckner and R. Chelmers) Vols. Ⅰ-Ⅳ Rep. 1888-1925

  4. [기타] SN Saṁyuttanikāya / PTS(M.L. Feer) Vols. Ⅰ-Ⅳ Rep. 1960-1976

  5. [학술지] 각묵스님 / 2004 / 간화선과 위빠사나는 다른가 / 불교평론

  6. [단행본] 강건기 / 2001 / 절요사기를 통해서 본 지눌의 사상, In 목우자 지눌 연구 / 부처님 세상

  7. [단행본] 강건기 / 1992 / 보조사상에 있어서 닦음의 의미, In 깨달음, 돈오점수인가 돈오돈수인가 / 민족사

  8. [단행본] 강건기 / 1992 / 깨달음, 돈오점수인가 돈오돈수인가 / 민족사

  9. [학술지] 길희성 / 1990 / Chinul's Alternative Vision of Knahwa Son ans its Implication for Sudden Awakening/Sudden Cultivation에 대한 논평 / 보조사상 4

  10. [단행본] 길희성 / 2001 / 지눌의 선사상 / 소나무

  11. [단행본] 김방룡 / 2006 / 보조지눌의 사상과 영향 / 보고사

  12. [학술지] 김호귀 / 2004 / 위빠사나와 간화선의 비교 / 석림 38

  13. [단행본] 김호성 / 1992 / 돈오돈수적 점수설의 문제점, In 깨달음, 돈오점수인가 돈오돈수인가 / 민족사

  14. [학술지] 류제동 / 2007 / 성철 사상의 근본주의적 특성에 대한 검토: 보조 지눌과의 비교를 통하여 / 한국종교연구 9

  15. [단행본] 박성배 / 1992 / 성철스님의 돈오점수설 비판에 대하여, In 깨달음, 돈오점수인가 돈오돈수인가 / 민족사

  16. [학술지] 服部弘端 / 1997 / 原始佛敎に於ける八正道と涅槃の問題 / 印度學佛敎學硏究 46 (1)

  17. [단행본] 지눌 / 1989 / 보조전서 / 불일출판사

  18. [단행본] 宇井伯壽 / 1926 / 印度哲學硏究 3 / 甲子社書房

  19. [학술지] 임승택 / 2008 / 초기경전에 나타나는 궁극 목표에 관한 고찰 / 불교학연구 19 : 49 ~ 80

  20. [학술지] 임승택 / 2011 / 위빠사나(vipassanā)에 비추어 본 보조 지눌의 수행체계 / 보조사상 35 : 581 ~ 637

  21. [단행본] Bhikkhu Bodhi / 2009 / 팔정도 / 고요한 소리

  22. [단행본] 田中敎照 / 1993 / 初期佛敎の修行道論 / 山喜房佛書林

  23. [단행본] 전해주 / 1992 / 징관과 종밀의 돈점관 비교, In 깨달음, 돈오점수인가 돈오돈수인가 / 민족사

  24. [단행본] 中村元 / 1978 / 原始佛敎の生活倫理 / 春秋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