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미래 한국인에 필요한 역량과 도덕ㆍ윤리 교육

Morals and Ethics Education and Key Competencies that will be Required for Koreans in the Future Society

倫理硏究
약어 : -
2008 vol.1, no.68, pp.253 - 272
DOI : 10.15801/je.1.68.200803.253
발행기관 : 한국윤리학회
연구분야 : 학제간연구
Copyright © 한국윤리학회
261 회 열람

개인이 발전하고 사회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사회의 변화에 대한 예측을 하고 그 사회구성원에게 필요한 능력이 무엇인가를 찾아 교육을 하는 일이 중요하다. 이에 사회구성원에게 필요한 능력을 역량이라고 규정하고 그것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정하여 교육에 반영하는 노력이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하나로 미래 사회가 어떻게 변화할 것이며, 그 사회에서 한국인에게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가를 찾아 도덕윤리 교육과 관련시켜 보고자 한다. 먼저 미래 사회의 특징은 세계화의 확대, 과학기술의 진전, 탈산업사회, 네트워크 사회, 다원주의의 강화, 신자유주의의 심화, 친환경 사회, 통일로의 길, 평생 학습 사회로 진단할 수 있다. 그리고 미래 사회에서 한국인에게 필요한 역량은 갈등 조정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의사 소통 능력, 정보 처리 능력, 창의력, 시민 의식,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다문화 이해 능력, 삶의 향유 능력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핵심적인 역량의 대부분이 2007년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내용에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도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미래 한국인의 능력을 교과서와 교수 학습 상황에서 보다 더 반영하여 학생들의 능력을 키우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A study of social changes and the education of the key competencies required for Korean society are crucial for social maintenance and individual development. (Key) competence is defined as the abilities required for the members of society. The establishment of the content of the key competencies and its implementation into education systems has been applied world w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social changes in the future and relate key competencies to moral and ethical education in Korea. The dominant features of our society for the next thirty years are expected to be: the broadening of globalization, progress in scientific techniques, a deepening of post-industrial society and pluralism, the rapid development of network society, a rise in Neo-liberalism, the broadening of an environmentally friendly society,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 broadening of the lifelong education society. The key competencies required for Koreans in the projected future society are: a competence in controlling conflicts, a competence for problem sol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competence in information processing, a creative competence, an ethical citizenship, a competence in self-centered learning, a competence in multi-cultural appreciation, a competence for enjoying one's life.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se key competencies are contained in the characteristics, objectives, and content of the 2007 Revised National Moral Curriculum. It is suggested that the key competencies required for Koreans that areoutlined in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be more strongly emphasized in order to foster students' ability with respect to the relevant competencies.

미래 사회, 역량, 핵심 역량, 교육, 도덕윤리 교육, 도덕과 교육과정
future society, key competencies, 2007 Revised National Moral Curriculum, Moral Education

  • 1. [단행본] 강순희 / 2003 / 지식 경제와 핵심 역량 / 한국노동연구원
  • 2. [단행본] 곽병선 / 2006 / 미래사회의 도전:한국교육,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 학제 개편 토론회 자료집
  • 3. [단행본] 공병호 / 2006 / 10년 후 세계 / 해냄출판사
  • 4. [단행본] 공병호 / 2005 / 10년 후 한국 / 해냄 출판사
  • 5. [기타] 김안나 / 2003 / 국가 수준의 생애 능력 표준 설정 및 학습체제 질관리 방안 연구(Ⅱ).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6. [기타] 김영철 / 1996 / 한국교육 비전 2020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7. [학술대회] 소경희 / 학교교육에서 ‘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시사 / 한국교육학회 2006년 추계 학술 대회 발표 자료집
  • 8. [단행본] 이주헌 / 2006 / 메가트렌드로 읽는 한국의 미래(2020 미래한국) / 한길사
  • 9. [단행본] 유현숙 / 2004 / 국가 수준의 생애 능력 표준 설정 및 학습 체제 질관리 방안 연구(Ⅲ) / 한국교육개발원
  • 10. [단행본] 윤현진 / 2007 /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Ⅰ)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11. [단행본] 이정표 / 2004 / 성인의 직업 기초능력 프로그램 실태조사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12. [단행본] 이주헌 / 2005 / 2020 미래한국:창조적 상상으로 그려내는 내일의 모습 / 한길사
  • 13. [단행본] 이홍민 / 2003 / 핵심역량 핵심인재-인적 자원 핵심역량 모델의 개발과 역량 평가 / 리드 출판
  • 14. [단행본] 하인호 / 2005 / 한국인의 선택적 미래 2020 / 학지사
  • 15. [단행본] 조세미 / 2005 / 세계는 지금 이런 인재를 원한다 / 해냄
  • 16. [기타] 주은옥 / 2001 / 집단 의사 결정 수업 모형에 관한 연구 시민교육 연구 33(1)
  • 17. [단행본] 허경철 / 2000 / 지식기반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연구(Ⅰ)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18. [단행본] Attali, J / 2007 / Une Breve Histoire De L'avenir. Librairie Artheme Fayard / 위즈덤하우스
  • 19. [단행본] Daniel, B. / 2006 / 탈산업사회의 도래 / 아카넷
  • 20. [단행본] Daniel, B. / 2002 / 정보화 사회의 사회적 구조 / 한울
  • 21. [단행본] Daniel, B. / 1995 / 사라진 제국 다가올 제국: 다니엘 벨의 21세기 / 조선일보사
  • 22. [학술지] Hamel, G / 1990 / The Core Competence of the Corpor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 68 (3) : 79 ~ 3
  • 23. [단행본] Horx, M / 2004 / 미래는 ‘불면증에 걸리 좀비’들 세상이다 / 서울:청림 출판
  • 24. [단행본] Morin, E. / 2006 / 미래의 교육에 반드시 필요한 7가지 원칙 / 당대
  • 25. [단행본] OECD / 2003 /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DeSeCo) / OECD Press
  • 26. [기타] Rychen, D. S / 2004 / Key Competencies for all: an overarching conceptual frame of reference.(http://www.unal.edu.co/diracad/competencias/Key Competences.pdf)
  • 27. [단행본] Rychen, D. S. / 2003 /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 / Cambridge: Hogrefe & Huber Publishers
  • 28. [기타] Steinle, A. / 2007 / Megatrends: Wissensgesellschaft, Frankfurt am Main: Zukunftsinstitut
  • 29. [기타] Ministry of Education / 2006 / The New Zealand Curriculm: Draft for Consul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