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사회개혁의 배경이념으로서의 민족주의

Nationalism as an Ideological Background of Social Reforms

한국철학논집
약어 : 한철논집
2015 no.45, pp.301 - 329
DOI : 10.35504/kph.2015..45.011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철학사연구회
인용한 논문 수 :   -  
72 회 열람

오늘날 한국에서 민족주의는 회의와 기피의 대상이다. 그것은 한편으로 과거 권위주의 정권 시절 민족주의가 권위주의를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로 복무했던 데 따른 반발 때문이며, 다른 한편으로 최근 정부 정책에서 중시되는 다문화주의와 민족주의가 친화적이지 않다는 인식 때문이다. 그러나 민족주의는 강력한 사회 통합의 동력을 제공하며, 현대 민주주의 국가에서도 시민종교로서 기능할 가능성이 충분하다. 특히 시민혁명의 유산이나 공화주의 운동의 전통이 미비한 한국의 경우, 민족주의가 쇠퇴할 경우 각자의 사적 이익 추구에만 몰두하는 원자적 개인으로 시민사회가 파편화되며 공론장의 형성이 제한될 우려가 상당하다. 따라서 민족주의의 비합리적, 반민주주의적 가능성을 최소화하면서 그 통합 역량은 보존하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때 재조명되어야 할 역사적 시기는 ‘해방공간’으로, 이후의 역사 전개에 따라 반공주의와 권위주의에 속박되기 이전의 민족주의가 다양한 이념과 결합하며 강력한 사회개혁의 배경 이념으로 작옹하던 시기이다. 당시 극좌에서 극우에 이르는 거의 모든 이념 세력들이 민족주의를 존중하고 그에 따라 각자의 강령을 조정했으며, 민족주의를 근거로 사회개혁을 추진할 것을 주장했다. 이런 기억을 재생시키고 오늘날의 사회 통합, 민주주의 심화, 통일 의식 함양 등의 과제에 민족주의를 활용한다면 민족주의는 한국적 시민종교로서 21세기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Nationalism is loosing its supporters in Korea. Some critics detest its history as an ideological device for Korean authoritarian regimes. Others concern with its possibility of being incoherent with multiculturalistic ideas among recent government policies. But it could be used as an ideological engine for social integration. Nationalism, for its prudential supporters, can be a model of civil religion. After the fall of nationalism, Koreans, without legacies of civil revolutions and lasting republican movements, may be atomized as individuals indifferent to any public issues in fragmented civil society. Therefore, an alternative version of nationalism is wanted. This new nationalism should be constructed without irrational and anti-democratic elements, while with capability of society-integrating. For its constructing, we must revisit 'liberation space'. During 'post liberation era', in 'liberation space', nationalism could be respected by whole Koreans and infiltrated through near every socio-political movements. There was no exploitation of authoritarian regime. There was no bondage of anticommunism. In liberation space, Korean nationalism flourished to let itself be a reliable background of social reforms. Nowadays, Koreans face the heavy tasks of social integration, democracy deepening, unification consciousness improvement, and so on. With this new version of nationalism, properly constructed and controlled, the tasks would be less heavy.

민족주의, 대안적 민족주의, 시민종교, 사회개혁, 해방공간.
nationalism, alternative nationalism, civl religion, liberation space, social reform.

  • 1. [학술지] 강정인 / 2013 / 한국 현대정치의 이념적 지형: '민족주의의 신성화' / 한국과 국제정치 / 29 (4) : 1 ~ 4 kci
  • 2. [단행본] 강철구 / 2011 / 21세기 민족주의 / 통일뉴스
  • 3. [단행본] 권혁범 / 2009 / 민족주의는 죄악인가 / 생각의나무
  • 4. [단행본] 권혁범 / 2000 / 민족주의와 발전의 환상-개인 지향 에콜로지 정치의 모색 / 솔
  • 5. [단행본] 김동성 / 1995 / 한국 민족주의 연구 / 오름
  • 6. [학술지] 김동춘 / 1994 / '국제화'와 한국의 민족주의 / 역사비평 : 40 ~
  • 7. [학술지] 김봉규 / 2008 / ‘열린 민족주의’를 위한 이론적 모델은 가능한가? / 칸트연구 (22) : 95 ~ 22 kci
  • 8. [단행본] 김영명 / 2002 / 우리 눈으로 본 세계화와 민족주의 / 오름
  • 9. [단행본] 박찬승 / 2010 / 민족⋅민족주의 / 소화
  • 10. [단행본] 박찬승 / 2002 / 민족주의의 시대 : 일제하의 한국 민족주의 / 경인문화사
  • 11. [단행본] 백남운 / 2007 / 조선민족의 진로⋅재론 / 범우사
  • 12. [단행본] 백남운 / 1991 / 휘편 / 이론과실천
  • 13. [단행본] 신기욱 / 2009 / 한국 민족주의의 계보와 정치 / 창비
  • 14. [단행본] 안재홍 / 1981 / 민세안재홍선집 / 지식산업사
  • 15. [단행본] 안호상 / 1950 / 일민주의의 본바탕 / 일민주의연구원
  • 16. [학술지] 양계민 / 2009 / 국내 소수집단에 대한 청소년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 23 (2) : 59 ~ 2 kci
  • 17. [학술지] 양영자 / 2007 / 분단-다문화시대 교육 이념으로서의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의 양립가능성 모색 / 교육과정연구 / 25 (3) : 23 ~ 3 kci
  • 18. [단행본] 유영호 / 2011 / 21세기 민족주의 / 통일뉴스
  • 19. [학술지] 윤인진 / 2007 / 한국민족주의 담론의 전개와 대안적 민족주의의 모색 / 한국사회 / 8 (1) : 5 ~ 1
  • 20. [단행본] 이선민 / 2008 / 민족주의, 이제는 버려야 하나 / 삼성경제연구소
  • 21. [학술지] 이황직 / 2011 / 공화적 애국주의를 통한 한국 민족주의의 전유 / 사회이론 (40) : 31 ~ 40 kci
  • 22. [단행본] 임지현 / 1999 / 민족주의는 반역이다-신화와 허무의 민족주의 담론을 넘어서 / 소나무
  • 23. [단행본] 장문석 / 2011 / 민족주의 / 책세상
  • 24. [단행본] 전상봉 / 2011 / 21세기 민족주의 / 통일뉴스
  • 25. [학술지] 전형권 / 2014 / 다문화 시대 한국 학교 통일교육의 성찰과 이념적 지평: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의 융합모형 연구 / 한국동북아논총 / 19 (3) : 239 ~ 3 kci
  • 26. [단행본] 정수일 / 2011 / 21세기 민족주의 / 통일뉴스
  • 27. [단행본] 조소앙 / 1997 / 사료로 보는 20세기 한국사 / 가람기획
  • 28. [단행본] 조소앙 / 1982 / 한국근대사상가선집 6 : 조소앙 / 한길사
  • 29. [학술지] 최완규 / 1988 / 권위주의체제 성립의 정치경제학적 분석 :「유신」체제의경우 / 한국과 국제정치 / 7 (3) : 1 ~ 3
  • 30. [단행본] Anderson, Benedict / 2002 / 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성찰-상상의 공동체 / 나남출판
  • 31. [단행본] Gellner, Ernest / 2009 / 민족과 민족주의- 역사를 보는 새로운 관점 / 한반도국제대학원대학교
  • 32. [단행본] Hobsbawm, Eric / 1998 / 1780년 이후의 민족과 민족주의 / 창비
  • 33. [단행본] Kohn, Hans / 1974 / 민족주의 / 삼성출판사
  • 34. [단행본] Sacks, Jonathan / 2009 / 사회의 재창조 / 말글빛냄
  • 35. [단행본] Smith, Anthony / 1986 / The Ethnic Origins of Nations / Black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