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천태종의 정혜쌍수(定慧雙修)의 방법

동서철학연구
약어 : S.P.E.W
2010 no.55, pp.289 - 308
DOI : 10.15841/kspew..55.201003.289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동서철학회
253 회 열람

천태종의 중심 문제는 ‘어떻게 실상을 깨닫느냐’하는 것이고, 그의 방법은 지관․일심삼관 등이다. 깨달음의 대상은 마음을 포함한 삼천대천세계의 실상이지만, 오히려 문제의 중심은 깨달음의 주체에 있다. 그런 깨달음의 주체는 일심이지만, 그 작용으로 보면 공관․가관․중관의 삼관이 있다. 일심은 지관을 통해 모든 존재의 공․가․중에 대한 삼제(三諦)를 원만하게 깨달을 수 있고, 그렇게 삼제가 원융(圓融)하게 될 때 마음을 포함한 삼천대천세계 그 자체를 실상으로 보는 여실지견(如實知見)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이처럼 천태종의 중심 문제는 제법실상을 깨닫는 것이다. 우리가 열린 마음으로 사물의 실상을 여실지견하는 방법은 바로 지관․일심삼관 등을 포괄하는 정혜쌍수(定慧雙修)이다. 정혜쌍수를 주장하는 이론 기초는 삼승귀일승․권실불이 등이다. 그것의 주요 의의는 다양한 교학의 방법 속에서 근본을 잃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현실에는 수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다양한 해결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런 구체적 방편론은 실용적이다. 천태종의 모든 방법은 최고 목적인 제법실상을 깨닫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을 분석해 보면 중심 문제는 깨달음의 대상인 제법의 실상이 아니라, 깨달음의 주체인 마음을 일심삼관이나 일념삼천처럼 무한․보편․평등하게 열어놓는 것이다. 정혜쌍수는 우리의 마음을 일심삼관이나 일념삼천으로 열어 놓고 제법을 여실지견하게 하는 원돈지관의 방법이 된 것이다.

天台宗之中心問題, 就是如何覺悟到諸法實相, 而其方法就是止觀與一心三觀. 雖然天台宗說覺悟的對象就是包括一心的三千大千世界之實相, 但事實上問題之中心却是在認識主體本身上. 其覺悟的主體卽是一心, 但在作用上看則有三觀, 卽是如空觀․假觀․中觀. 此一心由止觀而圓滿得到對於諸法之空․假․中諦的覺悟. 得了三諦圓融時, 才可以如實知見對三千大千世界之實相. 如此天台宗之中心問題, 就是以開放心來照見諸法實相. 我們以開放心來照見的方法, 就是定慧雙修. 因爲定慧雙修能包括止觀․一心三觀等的方法. 定慧雙修之理論基礎, 就是會三歸一․泯權歸實等. 這會三歸一․泯權歸實等的主要意義, 就在多樣的敎學方法中必須不失其根本上. 因爲在現實上多樣的問題常常發生, 所以我們常常需要多樣的解決方法. 具體的方法在現實上有具體的實用的價値. 天台宗的所有方法之最高目的, 就在覺悟諸法實相上. 可是把它分析看則其主要問題, 不是在諸法之實相上的, 而是在覺悟的主體心本身上的. 天台宗以定慧雙修方法來打開衆生心, 而成爲無限普遍平等的世界觀. 這就是在一心三觀․一念三千等的圓頓止觀上的.

제법실상(諸法實相), 지관, 일심삼관, 정혜쌍수(定慧雙修), 여실지견(如實知見)
諸法實相, 止觀, 一心三觀, 定慧雙修, 如實知見

  • 1. [단행본] 김응관 / 1990 / 불교학대사전 3판 / 불서출판 홍법원
  • 2. [단행본] / 1927 / 大正新修大藏經 / 大正一切經刊行會
  • 3. [단행본] 鳩摩羅什 / 건륭대장경32책
  • 4. [단행본] 이재호 / 1997 / 묘법연화경 / 민족사
  • 5. [단행본] 대한불교법화종종전편찬위원회 / 1968 / 법화종종요 / 대한불교법화종총무원
  • 6. [단행본] 천태지의 / 2007 / 천태소지관 / 대각
  • 7. [단행본] 이병욱 / 2000 / 천태사상연구 / 경서원
  • 8. [단행본] 이병욱 / 2005 / 천태사상 / 태학사
  • 9. [단행본] 오지연 / 1999 / 천태지관이란 무엇인가 / 연기사
  • 10. [단행본] 이영자 / 1988 / 천태사교의 / 경서원
  • 11. [단행본] 이영자 / 2002 / 법화 천태사상연구 / 동국대출판부
  • 12. [단행본] 이영자 / 2006 / 천태불교 / 불지사
  • 13. [단행본] 이영자 / 2001 / 천태불교학 / 불지사
  • 14. [단행본] 지창규 / 2008 / 천태사상론 / 법화학림
  • 15. [단행본] 타무라 쇼루 / 1989 / 천태법화의 사상 / 민족사
  • 16. [단행본] / 2003 / 「총설편」 11 / 불함문화사
  • 17. [단행본] / 2004 / 天台學과 諦觀, 義通 114 / 불함문화사
  • 18. [단행본] 대한불교천태종 천태불교문화연구원 / 1998 / 천태학연구
  • 19. [단행본] 牟 融 / 1996 / 牟子理惑論 in 臺灣高雄 / 佛光山宗務委員會
  • 20. [단행본] 정세근 / 2008 / 윤회와 반윤회 / 도서출판 개신(충북대 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