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은 주희의 자연관을 인설, 권농문, 기우제문이라는 세 가지 문장을 가지고 주희의 자연관을 살펴보고자 한다. 주자학의 자연관은 기본적으로 자연에 순응하는 사고이다. 춘하추동에 따라 인간의 도덕규범도 같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춘하추동의 이미지는 인의예지라는 규범과 이미지상으로 상응하는데 그것은 인의예지가 자연의 질서와 마찬가지로 하늘의 마음이 구체화된 것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자연과 도덕을 일치시키는 사고를 뜻한다. 그것은 또한 유기체적인 사고이다. 자연을 물질로 보는 것이 아니라 생명의 세계로 보는 사고이다. 그것이 생생지덕인 인으로 표현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주희는 자연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려는 사고를 갖는다. 지방관으로서 농업생산을 증강하려면 자연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려는 사고가 있어야 한다. 순응하면서 이용하려는 사고가 있어야 자연에 대한 균형적인 사고라고 생각한다. 아울러 주희는 예견하지 못한 홍수나 가뭄 등에 대한 자연재해에 대해서도 인정을 하고, 그것을 도덕적으로 해결하려는 정신을 가지고 있었다. 주희는 모든 사회구성원들이 자신들의 직무에 충실하고, 도덕적인 행위를 하는 것이야말로 가장 조화로운 세계라고 주장한다. 이런 관점에서 주희는 인간만이 아니라 자연까지도 포괄적으로 바라보는 태도를 보여준다. 인간 삶에 대한 올바른 관점으로 인간과 사회를 바람직한 상태로 두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자연을 포괄하려고 하였다. 이것이 주희의 理이고 주희의 자연관이다. 주희의 리는 비록 전근대적이지만 도덕과 윤리의 문제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키워드

주희, 권농문, 기우제, 리, 기, 인,

참고문헌(13)open

  1. [단행본] / 주희집

  2. [단행본] / 주자어류

  3. [단행본] / 조선왕조실록

  4. [단행본] 束景南 / 2001 / 朱熹年譜長篇 / 華東師範大學

  5. [단행본] 야다마게이지 / 1994 / 주자의 자연학 / 통나무

  6. [단행본] 김영식 / 2005 / 주희의 자연철학 / 예문서원

  7. [단행본] 김원열 / 2008 / 중국 철학의 인간 개념 연구-인식 방법의 전환을 중심으로- / 한국학술정보

  8. [단행본] 안은수 / 2009 / 주희의 자연관 형성의 두 원천 / 문사철

  9. [단행본] 조남호 / 2004 / 주희 중국철학의 중심 / 태학사

  10. [학술지] 박성규 / 2003 / 주자 귀신론에서 ‘괴이현상(怪)’의 문제 / 철학연구 61 : 25 ~ 48

  11. [학위논문] 王果 / 2006 / 誘捕衆神, 朱熹祈雨思想與實踐

  12. [학술지] 孫致文 / 2009 / 朱熹祭祀观管窥 / 當代儒學硏究 4

  13. [학술지] 黎康 / 2006 / 試論中國傳統農學對朱熹理學的影響 / 農業考古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