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은 『荀子』에 나타난 ‘자연적 情은 禮에 반하는 것이다’라는 언설과 ‘禮는 인간의 자연적 情에 기반한다’고 하는 두 가지 언설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荀子의 ‘情’은 기본적으로는 가치중립적인 개념이지만 ‘性惡’ 논증에 있어서는 부정적인 뉘앙스를 갖는 것으로 이야기 된다. 한편,『荀子』「禮論」편에서는 ‘復情’에 관해 논의되고 있고, 또 의례와 관련해 情이 禮의 근거로 서술되고 있다. 이러한 情과 禮의 연속성과 상보적 관계는 기존 연구에서 거의 주목받지 못하거나 荀子 사상의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분석되지 못하였다. 일견 모순되어 보이는 情에 대한 이러한 양가적 태도는 荀子 禮論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며, 또한 전국시대 및 한대 이후의 유가의 人性論 및 禮論 속에도 숨쉬고 있는 것이다. 情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荀子』의 性情論을 재고찰해 보는 일은 荀子의 性惡說이나 禮論의 성격을 좀 더 분명히 드러내 줄 것이며, 나아가 중국 고대 인성론사를 조망하는데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荀子, 禮, 情, 性惡, 復情

참고문헌(28)open

  1. [단행본] / 荀子集解 (光緒十七年長沙王氏刊本)

  2. [단행본] / 1988 / 荀子集解

  3. [단행본] / 荀子, In 古逸叢書

  4. [단행본] / 1976 / 荀子 / 北京文物出版社

  5. [단행본] / 1990 / 音點大字荀子句解 / 臺北國立故宮博物院

  6. [단행본] / 1977 / 纂圖互註荀子, In 無求備齋荀子集成 / 成文出版社 : 8

  7. [단행본] / 荀子 (明世德堂刊本)

  8. [단행본] / 荀子, In 抱經堂叢書

  9. [단행본] / 2007 / 荀子考異, In 周秦諸子斠注十 / 北京圖書館

  10. [단행본] / 2007 / 孟子注疏, In 十三經注疏 / 藝文印書館

  11. [단행본] / 1983 / 孟子集注, In 四書章句集注

  12. [단행본] / 王注老子道德經 (日本江戶明和七年宇佐美灊水校刊王弼注本)

  13. [단행본] / 1980 / 王弼集校釋

  14. [단행본] / 1983 / 莊子, In 續古逸叢書 / 江蘇廣陵古籍

  15. [단행본] / 1988 / 莊子集釋

  16. [단행본] / 2002 / 呂氏春秋新校釋 / 上海古籍出版社

  17. [단행본] / 1982 / 史記

  18. [단행본] / 2007 / 禮記注疏, In 十三經注疏 / 藝文印書館

  19. [단행본] / 1998 / 大戴禮記解詁

  20. [단행본] / 1998 / 郭店楚墓竹簡 / 文物出版社

  21. [단행본] / 2000 / 讀書雜志 / 江蘇古籍出版社

  22. [단행본] / 皇王大紀 (明萬曆三十九年陳邦瞻刻本)

  23. [단행본] 高正 / 1992 / 荀子 版本源流考 / 社會科學出版社

  24. [단행본] 內山俊彦 / 1976 / 荀子:古代思想家の肖像 / 評論社

  25. [학술지] 이장희 / 2001 / 荀子心性論에관한小考—心의자율성을중심으로 / 공자학 8

  26. [단행본] 津田左右吉 / 1925 / 太一について, In 󰡔白鳥博士還曆記念東洋史論叢󰡕 / 岩波書店

  27. [학술지] 菅本大二 / 1992 / 󰡔荀子󰡕 「禮論篇」における大一と楊倞 / 筑波中國文化論叢 12

  28. [학술지] 鄭宰相 / 2008 / 荀子 大一考 / 中國古代史論叢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