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내재주의인가 외재주의인가 - 스토아학파와 아카데미아 회의주의의 논쟁을 중심으로 -

Internalism or externalism? - as regards debates between the Stoics and the Academic sceptics -

동서철학연구
약어 : S.P.E.W
2010 no.58, pp.381 - 418
DOI : 10.15841/kspew..58.201012.381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동서철학회
258 회 열람

본 논문은 스토아학파와 아카데미아 회의주의의 논쟁을 현대 인식론의 내재주의-외재주의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다음 내용을 밝히고자 한다. 첫째, 스토아학파는 감각표상의 발생적 기원과 관련해서 외재론적 입장을 견지한다. 따라서 파악적 표상(kataleptike phantasia)이 참인 이유는 정상적인 인과적 연원을 통해 형성되었기 때문이며, 보통사람은 설령 파악적 표상을 소유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비정상적인 감각표상으로부터 식별하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스토아학파는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혹은 현자)에게는 파악적 표상의 인식정당성과 관련된 정보가 내성적으로 접근 가능하다고 주장함으로써 내재주의 인식론의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둘째, 아카데미아의 회의주의는 감각표상의 인과적 연원을 일일이 확인하는 일은 불가능하며, 우리에게 명확한 것은 오직 주어진 감각표상 뿐이라고 주장한다. 그런데 만일 외부대상의 본성이 인식불가능하다면, 현자는 오류를 피하기 위해 판단을 유보하거나, 또는 현자도 보통사람이나 다름없이 그럴듯한 억견(doxa)에 따라 살아야 한다. 이렇듯 회의주의 논변은 스토아 인식론의 난점을 지적하는 데 성공하고 있지만, 아카데미아 회의주의는 강경한 내재주의(정합주의) 관점을 택함으로써 고립의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셋째, 필론과 안티오코스는 위와 같은 아카데미아의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아카데미아의 철학 전통이 무엇인지 재해석하는 작업을 시도했다. 필론은 스토아 인식론 중 외재주의 요소만을 취해서 고립의 문제를 해결해 보고자 했다. 필론에 따르면 파악적 표상이 참인 것은 올바른 인과적 연원을 통해 형성되었기 때문이지만, 감각표상을 정당화하기 위한 정보가 인식주체에게 내성적으로 접근가능한 것은 아니며, 우리가 소유할 수 있는 앎은 오류불가능한 것이 아니라 대체로 옳다. 반면 안티오코스는 필론에 반발해서 사실상 스토아철학으로 전향했으나, 스토아 인식론의 내재주의 요소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형시켰다. 이렇듯 필론과 안티오코스는 스토아 인식론의 서로 다른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필론과 안티오코스의 논쟁은 스토아와 싸우는 스토아라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intends to show the following points, analyzing debates between the Stoics and the Academic Sceptics from the viewpoint of contemporary internalism and externalism. 1) The Stoics contend internalism as regards the origin of sense perception. Therefore, according to Stoics, kataleptike phantasia is true because it has a normal causal history, while ordinary people may not distinguish kataleptike phantasia from abnormal sense perceptions. Nevertheless the Stoics open the possibility of internalism, maintaining that informations for the justification of kataleptike phantasia is accessible introspectively to the professionals (i.e. the sages). 2) The Academic Sceptics asserted that we cannot trace thoroughly the causal history of sense perceptions and that all we have is sense perception. But if the nature of the object of sense perception is incognizable, the sage also has to withhold his opinion about anything or he can at best live on the basis of plausibility. The sceptic arguments were successful in pointing out the difficulties of Stoic epistemology. the Sceptics however faced the problem of isolation, accepting a strong internalism (i.e. coherentism). 3) Philo of Larissa and Antiochus tried to solve the problems of Academic Scepticism as well as to re-interpret the tradition of the Academy. Philo tried to solve the problem of isolation, accepting only the externalistic viewpoint of Stoic epistemology. According to Philo, kataleptike phantasia is true, because it is originated through normal causal history. But all the factors required for the justification of a belief are not accessible introspectively to the subject of sense perception and the knowledge we have is not infallible but fallible. On the other hand, Antiochus broke sharply with Philo and converted to Stoicism, rejecting Philo's innovations. Antiochus transformed the Stoic epistemology, emphasizing internalistic aspects. After all, the debates between Philo and Antiochus became "the Stoics fighting with the Stoics" in that both emphasize some aspects of Stoic epistemology.

스토아, 아카데미아 회의주의, 인식론, 내재주의, 외재주의
Stoics, Academic sceptics, epistemology, internalism, externalism

  • 1. [단행본] 김기현 / 1998 / 현대인식론 / 민음사
  • 2. [단행본] 김도식 / 2004 / 현대 영미인식론의 흐름 / 건국대학교출판부
  • 3. [기타] Bernecker, S / 2000 / Knowledge: readings in contemporary epistemology
  • 4. [단행본] Bernecker, S / 2006 / Reading epistemology / Blackwell
  • 5. [단행본] Bonjour, L / 2002a / Epistemology: classical problems and contemporary responses / Rowman & Littlefield
  • 6. [기타] Brittain, C / 2001 / Philo of Larissa, The last of the Academic Sceptics
  • 7. [기타] Brittain, C / 2006 / On academic scepticism (Cicero's Academica)
  • 8. [기타] Cicero / 1885 / Academica
  • 9. [단행본] Cicero / 1933 / Academica / The Loeb Classical Library
  • 10. [단행본] Hicks, R.D / 1970 / Diogenes Laertius: Lives of Eminent Philosophers 2Vols / The Loeb Classical Library
  • 11. [단행본] Edlow, R. E / 1977 / Galen on Language and Ambiguity / Leiden
  • 12. [단행본] Long, A. A / 1987 / The Hellenistic philosophers (LS.) 2vols
  • 13. [단행본] Henry, R / 1977 / Photius, Bibliotheca in Photius, Bibliothèque 8Vols / Les Belles Lettres
  • 14. [단행본] Bury R. G / 1967 / Against the Logicians / The Loeb Classical Library
  • 15. [단행본] Bury, R. G / 1976 / Outline of Pyrrhonism / The Loeb Classical Library
  • 16. [기타] Arnim, H / 1903 / Stoicorum veterum fragmenta (SVF.) 4vols
  • 17. [학술지] 강철웅 / 2009 / 기원전 1세기 아카데미의 플라톤주의 수용 -필론의 아카데미 혁신과 그것에 대한 안티오코스의 대응을 중심으로- / 서양고전학연구 (37) : 243 ~ 37 kci
  • 18. [기타] Bonjour, L / 2002b / Internalism and Externalism in The Oxford Handbook of Epistemology
  • 19. [기타] Frede,M / 1987 / Stoics and Skeptics on Clear and Distinct Impressions in Essays in Ancient Philosophy
  • 20. [단행본] Goldman, A / 2006 / What is justified belief? in Reading epistemology / Blackwell
  • 21. [단행본] Greco,J / 2005 / Justification is not internal in Contemporary debates in epistemology / Blackwell
  • 22. [학술지] Hadot, P / 1969 / Zur Vorgeschichte des Begriffs "Existenz" hyparchein bei den Stoikern / Arch. f. Begriffsgeschichte / 13
  • 23. [단행본] Striker, G / 1997 / Academics fighting Academics in Assent and Argument / Br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