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플라톤의 대화편에 나타난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은 윤리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문답법에 의해서 발생되는 등장인물들의 감정 유발 문제 역시 윤리적인 맥락 속에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논문은 플라톤의 대화편에 나타난 문답법과 등장인물들의 감정 유발 문제를 집중적으로 탐구하는 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텍스트에 근거해 볼 때, 플라톤 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와 대화하는 사람들은 그의 문답법에 이끌려 다양한 감정을 표출한다. 이것을 통해 우리들은 대화상대자들의 감정 유발의 효과, 청자들 및 제3의 청중들의 감정 유발의 효과 그리고 전염병처럼 파급되는 소크라테스 문답법의 힘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이처럼 플라톤 대화편에 등장하는 감정의 문제는 윤리적 방법론으로서의 문답법을 통하여 조망될 때에만 그 궁극적 의미가 충분히 밝혀질 수 있다. 이것을 논증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다룬다. 첫째, 윤리적 방법론으로서의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은 대화상대자 및 청자 그리고 대화 현장에는 없었던 청중들의 감정을 어떻게 자극하는가? 그리고 그러한 감정적 자극을 통하여 사람들은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가? 둘째, 플라톤의 초기 대화편 중의 하나인『라케스』에서 소크라테스는 라케스와 니키아스의 감정을 왜 자극하는가? 그리고 그들은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가?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필자는 플라톤적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이 본질적으로 감정적, 설득적인 작업이며 이러한 작업은 플라톤 대화편의 주된 목표임을 밝힐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후기의『티마이오스』와『법률』을 제외한 플라톤의 모든 대화편에 등장하는 공통된 특징이며, 온전한 인간의 인격 형성을 꿈꾸는 플라톤 철학의 숨겨진 전략임을 보일 것이다.

키워드

플라톤, 소크라테스, 대화편, 문답법, 윤리학, 등장인물, 감정, 유발, 청자, 청중, 인격

참고문헌(42)open

  1. [학술지] Blank, David. L / 1993 / The Arousal of Emotion in Plato's Dialogues / The Classical Quarterly 43 (2)

  2. [학술지] Cooper,J.M / 1984 / Plato's Theory of Human Motivation / History of Philosophy Quarterly 1

  3. [단행본] Cooper, J. M / 1999 / Reason and Emotion: Essays on Ancient Moral Pshychology and Ethical Theory / Princeton University Press

  4. [학술지] Fussi, Alessandra / 2008 / The Desire for Recognition in Plato's Symposium / Arethusa 41

  5. [단행본] Irwin, T. H / 1995 / Plato's Ethics / Oxford University Press

  6. [학술지] Johansen, Thomas Kjeller / 2000 / Body,Soul and Tripartition in Plato's Timaeus / Oxford Studies in Ancient Philosophy XIX

  7. [학술지] Kahn,C.H / 1987 / Plato's Theory of Desire / Review of Metaphysics 41

  8. [학술지] Kahn,C.H / 1983 / Drama and Dialectic in Plato's Gorgias / Oxford Studies in Ancient Philosophy 1

  9. [학술지] Kahn,C.H / 1987 / Plato's Theory of Desire / Review of Metaphysics 41 (1)

  10. [단행본] Kahn, C. H / 1996 / Plato and The Socratic Dialogues: The philosophical use of a literary form / Cambridge Univ. Press

  11. [학술지] Mills, Michael J / 1985 / ‘phthonos’ and its Related ‘pathe’ in Plato and Aristotle / Phronesis 30

  12. [단행본] Nussbaum, M. C / 1986 / The Fragility of Goodness: Luck and Ethics in Greek Tragedy and Philosoph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단행본] Penner, T / 1971 / Thought and Desire in Plato in Plato: A Collection of Critical Essays, ii: Ethics, Politics, and Philosophy of art and Religion / Anchor Books

  14. [학술지] Robinson, R / 1971 / Plato's Separation of Reason from Desire / Phronesis 16

  15. [단행본] Robinson,R / 1980 / Plato's Earlier Dialectic / Clarendon Press

  16. [학술지] Robinson,T.M / 1995 / Plato's Psychology / Phoenix Supplementry 8

  17. [학술지] Rosen, Stanley / 1965 / The Role of Eros in Plato's Republic / Review of Metaphysics 18 (3)

  18. [단행본] Sandtas, G / 1988 / Plato and Freud: Two Theories of Love / Blackwell

  19. [학술대회] Woods, Michael / 1987 / Plato's Division of the Soul / British Academy LⅩⅩⅢ

  20. [학술지] 강성훈 / 2005 / 『국가』4권에서 영혼의 세 부분 / 서양고전학연구 (23) : 31 ~ 72

  21. [학술지] 강진영 / 2001 / 플라톤의 국가, 법률 그리고 필레보스에서의 감정 교육 / 교육연구 (9)

  22. [단행본] 김영균 / 2008 / 국가 / 살림출판사

  23. [학술지] 김영균 / 2004 / [국가] 편에서 혼의 조화와 이성의 지배에 대한 플라톤의 견해 / 철학 (79) : 82 ~ 105

  24. [학술지] 김혜경 / 1996 / 폴리테이아의 영혼분석 / 철학 (47)

  25. [학술지] 김혜경 / 1997 / 레온티우스의 분노-영혼 분석과 아크라시아- / 철학 (51)

  26. [학위논문] 김혜경 / 1999 / 욕구와 이성-플라톤의 영혼론 연구-

  27. [단행본] 박규철 / 2003 / 플라톤이 본 소크라테스의 도덕 정치철학 / 동과서

  28. [단행본] 박규철 / 2009 / 플라톤의 국가 / 삼성출판사

  29. [단행본] 플라톤 / 1997 / 국가․정체 / 서광사

  30. [단행본] 플라톤 / 2007 / 뤼시스 / 이제이북스

  31. [단행본] 플라톤 / 2008 / 메넥세노스 / 이제이북스

  32. [단행본] 플라톤 / 2009 / 메논 / 이제이북스

  33. [단행본] 플라톤 / 2009 / 법률 / 서광사

  34. [단행본] 플라톤 / 2000 / 소피스테스 / 한길사

  35. [단행본] 플라톤 / 2009 / 에우튀데모스 / 이제이북스

  36. [단행본] 플라톤 / 2004 / 에우티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 / 서광사

  37. [단행본] 플라톤 / 2000 / 티마이오스 / 서광사

  38. [단행본] 플라톤 / 2008 / 파이드로스 / 문예출판사

  39. [단행본] 플라톤 / 2004 / 필레보스 / 서광사

  40. [단행본] 플라톤 / 2010 / 향연 / 이제이북스

  41. [단행본] 플라톤 / 2003 / 향연 / 문학과 지성사

  42. [단행본] 아리스토텔레스 / 1999 / 소피스트 논박 / 한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