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규기는 그의 저서 『장중추요』에서 상견동종별종론에 이어 삼류경론을 전개하고 있다. 상견동종별종론은 상분의 종자와 견분의 종자가 같은가 다른가를 다루는 논의이고, 삼류경론은 이 논의의 성과를 기초로 해서 세 가지 대상의 규정을 다루는 논의이다. 삼류경론은 상견동종별종론을 기초로 해서 전개되지만, 상견동종별종론이 식소변의 문제와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데 반해, 삼류경론은 대상의 유형들을 규정하는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 상견동종별종론에 의거해서 볼 때 상분의 종자가 견분의 종자와 같다면 독영경이고, 다르다면 성경이고, 같기도 하고 다르기도 하다면 대질경이다. 규기는 현장의 가타를 해석하면서 성류와 계계를 끌어들여 대상을 더 명료하게 규정할 수 있었다. 여기서 더 나아가 또 삼류경 상호간을 결합해서 또는 성류와 계계와 종자 상호간을 결합해서 대상을 더 명료하게 규정할 수 있었고, 대상과 대상 간의 관계를 더 명료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는 기본적으로 상견동종별종론에 기초해서 삼류경을 해석하는 작업을 진행했기 때문에 상분을 중심으로 해서 대상의 유형들을 파악할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한 대상 내의 다양한 대상들의 차이를 파악할 수 없었다. 이로부터 대상의 다양한 유형들을 온전하게 파악하려면 다양한 견분들 및 이 견분들 간의 관계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알게 되었다.

키워드

성경, 독영경, 대질경, 성류, 계계, 종자

참고문헌(15)open

  1. [기타] 窺基 / 成唯識論述記, In 大正新脩大藏經 第43卷

  2. [기타] 窺基 / 成唯識論掌中樞要, In 大正新脩大藏經 第43卷

  3. [기타] 善珠 / 唯識義燈增明記, In 大正新脩大藏經 第65卷

  4. [기타] 良算 / 唯識論同學鈔, In 大正新脩大藏經 第66卷

  5. [기타] 惠沼 / 成唯識論了義燈, In 大正新脩大藏經 第43卷

  6. [기타] 護法等 / 成唯識論, In 大正新脩大藏經 第31卷

  7. [단행본] 保坂玉泉 / 1976 / 唯識根本敎理 / 鴻盟社

  8. [단행본] 富貴原章信 / 1988 / 唯識の硏究 / 国書刊行会

  9. [단행본] 深浦正文 / 1934 / 唯識論解說 / 龍谷大學出版部

  10. [단행본] 深浦正文 / 1972 / 唯識學硏究, 上, 下 / 永田文昌堂

  11. [단행본] 定胤 / 1928 / 唯識三類境義本質私記 / 法隆寺勸學院同窓會

  12. [단행본] Dan Zahavi / 2003 / Husserl's Phenomenology / StanfordUniversity Press

  13. [단행본] Francis H. Cook / 1999 / Three Texts on Consciousness Only / Numata Center for Buddhist Translation andResearch

  14. [학술지] Iso Kern / 1988 / The Strcture of Consciousness according toXuanzang / Journal of the British Society forPhenomenology 19 (3)

  15. [단행본] Shaun Gallagher / 2008 / The PhenomenologicalMind - An Introduction to Philosophy of Mind andCognitive Science /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