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플라톤 철학의 기본 범주로서의 그림(그럴듯한 이야기:eikotes logoi)

Paintings as the basic category of Platonism (Plausible Story: eikotes logoi)

동서철학연구
약어 : S.P.E.W
2017 no.86, pp.279 - 318
DOI : 10.15841/kspew..86.201712.279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동서철학회
인용한 논문 수 :   -  
148 회 열람

플라톤(Plato, BC. 428~347)의 철학은 존재론이다. 그의 존재론의 시작에는 우주의 본성에 관한 탐구 활동이 포함된다. 그에 따르면 우리가 별들과 태양 그리고 하늘을 바라 볼 수 있는 것은 신이 우리들에게 눈을 준 혜택이며 이 혜택의 기능이 철학(Philosophia)을 할 수 있는 기능이 된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이 본다는 것의 상응은 무엇인가? 이것이 모상(eikon)이기에 앞선 설명들 즉, ‘그럴듯한 이야기’(eikotes logoi, wahrscheinlich)이다. ‘그럴듯한(είκώζ)’의 그리스어가 내포하고 있듯이 ‘είκώγ’는 ‘그림’을 뜻한다. 이런 유비(類比) 관계(analogia)를 통해 그는 최고의 선(善)을 ‘그림’에 대한 ‘선분(線分)의 비유’로 상승시켰다. 그에게 최고의 선(善)은 수(數)이며, 신이 우리에게 준 눈의 기능으로 우리는 수를 기하학을 통해 배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플라톤의 철학의 언어는 변증법의 언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그가 그림을 사용한다는 것은 철학의 합법적인 언어놀이가 된다. 따라서 논자는 그의 ‘그럴듯한 이야기’의 기본 범주로서의 그림을 통해 철학에 그림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 가를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그의 우주론은 현대의 우주론 다시 말해, 일반상대성 이론을 특징짓는 4차원의 기하학을 내포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Platonism, the philosophy of Plato (428-347 BC), can be classified as ontology. The beginning of Platonism was an exploration of the nature of the universe. According to Plato, we are able to see the stars, the sun, and the sky because god privileged us with eyes, and this ability to see enables us to engage in philosophy. Then, what corresponds with this ability to see? As it is eikon, it is "a plausible story (eikotes logoi, wahrscheinlich)". The greek term for "plausible" is είκώζ, and είκώγ means "painting". Through this analogy, Plato compared the highest good to "a segment in a painting". As such, the language of Platonism is not just used for the dialectic. He argues that "using a painting is like legitimate word play in philosophy." I aim to contemplate how paintings as a basic category of Plato's "plausible story" are utilized in philosophy. I also aim to highlight that his cosmology encompasses modern cosmology, which is defined by four-dimensional geometry marked by the general theory of relativity.

플라톤, 존재론, 기하학, 차원, 수(數), 그림
Plato, ontology, geometry, dimension, number, painting

  • 1. [단행본] 플라톤 / 2011 / 티마이오스 / 서광사
  • 2. [단행본] 플라톤 / 2009 / 필레보스 / 서광사
  • 3. [단행본] 플라톤 / 2010 / 편지들 / 이제이북스
  • 4. [단행본] 프리도 릭켄 / 2000 / 고대 그리스 철학 / 서광사
  • 5. [단행본] 푸앵카레 / 2015 / 과학과 가설 / 에피스테메
  • 6. [학술지] Archer-Hind, R. D / 1901 / Note on Plato’s Philebus / Journal of Philology / 27
  • 7. [단행본] Albert, K / 1980 / Griechische Religion und Platonische Philosophie /
  • 8. [단행본] Brein, D. O / 1984 / Plato: Weiht and Sensation, The Two Theories of the Timaeus /
  • 9. [단행본] Cornford, F. M / 1973 / Plato and Parmenides /
  • 10. [단행본] Einstein, A / 2005 / The Meaning of Relativity / Princeton Univ
  • 11. [단행본] Dana Densmore / 2002 / Euclid, Elements /
  • 12. [단행본] E. E. Benitez / 1989 / Form in Plato’s Philebus / Van Gorcum
  • 13. [단행본] Guthrie, W. K. C / 2013 / The Greek Philosopers From Thales to Aristotle /
  • 14. [단행본] Heath, T / 1959 / A History of Greek Mathematics, Vol. I(Dxford, 1921rämer, H. J. Arete bei Platon und Aristoteles /
  • 15. [단행본] Plato, Timaios / 2009 / Übersetzung von Thomas Paulsen /
  • 16. [단행본] Ross, D / 1971 / Plato’s Theory of Ideas / Clarendon Press
  • 17. [단행본] Ross, W. D / 1955 / Aristotelis Fragmenta Seecta /
  • 18. [단행본] Ross, G W. D / 1968 / Plato’s Theory of th Primary Bodies in the Timaeus and the Later Doctrine of Forms(Archiv für Geschichte der Philosophie) /
  • 19. [단행본] Striker, G / 1970 / Peras und Apeiron: Das Problem der Formen in Platons Philebous / Vandenhoeck und Ruprecht
  • 20. [단행본] Wittgenstein, L / 1993 / Philosophical Occasions /
  • 21. [단행본] Wittgenstein, L / 2003 /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Logisch-philosophisch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