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자살에 대한 사회 윤리적 처방

Prescription for Suicide in the Perspective of Social Ethics

倫理硏究
약어 : -
2019 vol.1, no.126, pp.151 - 171
DOI : 10.15801/je.1.126.201909.151
발행기관 : 한국윤리학회
연구분야 : 학제간연구
Copyright © 한국윤리학회
171 회 열람

자살은 의식적으로 자기 신체의 죽음을 초래하는 행위를 지칭한다. 우리나라의 자살률 순위를 보면 2018년 현재 OECD 1위를 기록하고 있어서 심각한 실정이다. 에밀 뒤르켐에 의하면 사회는 변동을 겪지 않는 한 고유한 수치의 자살률을 보이며 그 자살률은 그 사회 집단의 특성을 나타낸다. 즉 자살률은 사회적 공동의식이라는 집단적 힘의 결과라는 것이다. 뒤르켐에 따르면 자살에는 이기적 자살, 이타적 자살, 아노미성 자살, 숙명론적 자살 등의 유형이 있으며 이들 모두 사회와의 연관성 속에서 나타난다. 이들 유형 가운데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현저하게 대두되고 있는 것은 이기적-숙명론적 자살, 이기적-아노미성 자살이다. 자살의 사회적 성격을 염두에 두고서 본 연구는 사회 윤리적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높은 자살률의 원인을 사회 구조 및 제도적 측면에서 탐색한다. 개인주의 문화의 확산, (신)자유주의의 경쟁 패러다임의 전제(專制), 복지 시스템 등 사회 안전망의 취약, 자존감의 훼손, 대중매체의 영향 등이 그 구체적 내용으로서 지적된다. 마지막으로 사회 윤리의 기본 원리를 간략히 살펴보고 이에 의거해서 사회 윤리적 관점에서 자살률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Suicide is the act that is executed for one’s death consciously. The ratio of suicide in Korea is ranked first in the OECD. According to Emile Durkheim, the ratio of suicide in a society is kept regular without changes in society. The ratio of suicide shows the features of the society. The ratio of suicide is the result of collective power, that is social community spirit. According to Durkheim, there is four types of suicide, and all of these suicide is executed in the context which is correlated with society. Caring about the social feature of suicide, this research is trying to discover the cause of high ratio of suicide in Korea in the perspective of social ethics. Finally, the basic principles of social ethics is reviewed and by being based on these Prescription for suicide in the perspective of social ethics is to be made.

자살, 숙명적 자살, 자살률, 사회 구조와 제도, 사회 윤리
Suicide, fatalistic suicide, the ratio of Suicide, social constructure and system, social Ethics

  • 1. [학술지] 김명희 / 2012 / 한국사회 자살현상과 『자살론』의 실재론적 해석: 숙명론적 자살(fatalistic suicide)을 중심으로 / 경제와 사회 (96) : 288 ~ 96 kci
  • 2. [학위논문] 김민영 / 2013 / 한국사회의 자살률에 관한 분석 : 지역사회의 사회·문화·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 3. [단행본] 김태형 / 2017 / 자살 공화국 / 세창미디어
  • 4. [단행본] 에밀 뒤르켐 / 2009 / 자살론(Suicide : A Study in Sociology) / 청아출판사
  • 5. [학위논문] 정대성 / 2014 / 셸러의 칸트 윤리학 이해에 대한 비판적 연구
  • 6. [단행본] 진교훈 / 2003 / 현대 사회 윤리 연구 / 도서출판 울력
  • 7. [단행본] 천정환 / 2013 / 자살론 –고통과 해석 사이에서- / 문학동네
  • 8. [학술지] 티모 파르토넨 / 2018 / 핀란드 자살예방프로젝트에 대한 평가와 / 국제사회보장리뷰 / 4 (봄) : 5 ~ 봄
  • 9. [단행본] 한국자살예방협회 / 2008 / 자살의 이해와 예방 / 학지사
  • 10. [단행본] Wendland Heinz-Dietrich D. / 1963 / Einführung in die Sozialethik / De Gruyter
  • 11. [단행본] Bennet John C. / 1963 / The Theology of the Responsible Society: An Christian Ethics in a Changing world / Associatio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