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묵경』수학 이론에 대한 해석과 의의에 관한 고찰(Ⅰ)

Review and analysis about the Mojia’s Mojing Mathematical theory(Ⅰ)

동양철학
약어 : -
2011 no.35, pp.233 - 263
DOI : 10.19065/japk..35.201107.233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동양철학회
84 회 열람

이 글의 초첨은『묵경』속에 내재된 수학 이론들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수학 이론들을 정립하고자 했던 묵가의 의도를 파악하며, 수학 이론들이 지닌 의의를 규명하는데 있다.『묵경』중의 수학과 관련된 진술은 대략 19개 조가 있다. 이들 대부분은 초보적이면서 기초 수학과 관련된 정의와 해설이라고 볼 수 있다. 기재된 진술이 매우 간략하고 축약되어 있으며 오늘날 우리가 활용하는 것과 유사한 부호나 방정식, 도해 등이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묵경』이 진술하고 있는 이론들은 다양한 수학 개념을 제시하고 있으며 논리적 추리와 수리 철학이 내재되어 있다. 가령 점, 선, 면, 입체의 정의와 그것들의 상호 관계, 직선, 각, 원, 사각형의 크기 비교와 순차적 배열의 정의, 부분과 전체의 관계 파악 등 모두가 세밀하고 심오한 분석과 논증을 보이고 있으며 완정된 하나의 논리체계를 구성하고 있다. 묵가는 그들의 현실 생활에서 획득된 경험적 요소를 바탕으로 다양한 수학 관련 개념과 이론들은 축적하고 정립시켜 나갔는데 이는 중국 수학사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되며, 또한 동시대 서양의 유클리드가 저술한『기하원본』내용과 상당히 부합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묵가의 수학 개념과 이론들은 공연한 현학적 허세가 아니라 노동 생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초 지식임과 동시에, 백성을 사랑하는 묵가의 정신이 반영된 이론이었다.

I want to find out the meaning of Mojing Mathematical theory, through the review of the author Mojia’s intention to make this theory. There are 19 mathematics theory in Mojing. The theories are about basic mathematical definition and explanation. That is to say, it is very concise and abstracted. There are no signs, explanatory diagrams or equations that we use now. But Mojing suggested various kinds of mathematical concept, logical conclusion and hydraulics in his Mojing Mathematical theory. For example he analyze about the point, line, side and solid figure. He also tri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 and whole. Mojing tried to make various kinds of mathematical concepts and theories through the annual experience. This is a very important data in Chinese mathematical history. And it is said that these are similar with Euclidean geometry theory. Mojing’s theory was not just pedantry but invaluable knowledge to improve labor productivity. And he showed his love for the people in his mathematical theories.

묵가, 묵경, 수학, 논리체계, 생산력, 경험지식
Mojia, Mojing, mathematics, Logical system, productivity, experience knowledge

  • 1. [단행본] 陳孟麟 / 1995 / 關於 墨辯 ‘端’的槪念, In 墨子硏究論叢 / 山東人民出版社
  • 2. [단행본] 方授楚 / 1989 / 墨學源流 / 上海書店
  • 3. [단행본] 方孝博 / 1983 / 墨經中的數學和物理學 / 中國社會科學出版社
  • 4. [단행본] 高 亨 / 1958 / 墨經校詮 / 科學出版社
  • 5. [단행본] 胡維佳 / 1996 / 中國古代科學技術史 / 遼寧敎育出版社
  • 6. [단행본] 姜寶昌 / 1993 / 墨經訓釋 / 齊魯書社
  • 7. [학술지] 李春泰 / 1995 / 論墨子與亞里斯多德自然哲學的差別及其意義 / 墨子硏究論叢 / 3
  • 8. [학술지] 秦彦士 / 1995 / 略論 墨經 與中國自然科學 / 墨子硏究論叢 / 3
  • 9. [단행본] 孫詒讓 / 1983 / 墨子閒詁 / 中華書局
  • 10. [단행본] 孫中原 / 1993 / 墨學通論 / 辽宁教育出版社
  • 11. [단행본] 谭家健 / 1996 / 墨子研究 / 贵州教育出版社
  • 12. [단행본] 譚介甫 / 1935 / 墨經易解 / 商務印書館
  • 13. [단행본] 王裕安 / 1993 / 墨子與數學, In 墨子論叢 3 / 山東大學出版社
  • 14. [단행본] 吳毓江 / 1993 / 墨子校注 / 中華書局
  • 15. [단행본] 梁啓超 / 1933 / 墨經校釋 / 商務印刷館
  • 16. [학술지] 기우항 / 2004 / 평행선 공리로부터 발견된 기하학 / 과학교육연구지 / 28
  • 17. [학술지] 김위성 / 1974 / 기하학의 성격에 관한 인식론적 및 논리적 고찰 / 부산수산대학교 논문집 / 13
  • 18. [학술지] 정인재 / 1995 / 기하학의 변천과정에 관한 소고 / 교육논총
  • 19. [학술지] 황우형 / 2000 / 기하판을 활용한 수업의 효과에 관한 질적 연구 / 수학교육 / 39 (1)
  • 20. [학술지] 황성규 / 2008 / 『묵경(墨經)』의 인식 이론에 관한 고찰 / 한국철학논집 (24) : 205 ~ 24 k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