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기억(smṛti)과 지식의 2상성(二相性, dvirūpatā)

Recollection and the Two Forms(dvirūpatā) of Knowledge

인도철학
약어 : KJIP
2015 no.45, pp.71 - 95
DOI : 10.32761/kjip.2015..45.003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인도철학회
110 회 열람

디그나가는 『집량론』과 자주(Pramāṇasamucchayasvavṛtti, PSV) 「직접지각」장 kk. 11-12에서 지식이 한 찰나에 두 가지 형태의 형상을 가지는 근거를 서술하면서 기억(smṛti)을 예증의 형식으로 언급하고 있다. 본고는 PSV의 해당 개소를 검토하고, 디그나가의 기억을 지넨드라붓디, 다르마키르티, 데벤드라붓디의 견해와 타학파의 반론을 함께 고찰하고자 한다. 불교인식론에서 기억은 바른 인식수단(pramāṇa)이 아니다. 즉 기억은 분별지에 속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일어나는 과정은 무분별지인 직접지각의 인식 과정과 일치한다. 디그나가는 직접지각과 기억을 지식이라는 점에서 동일한 인식구조를 갖는 것으로 파악한다. 따라서 그는 기억의 이상성을 증명하는 것에 의해서 지식의 이상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그에 의하면 기억은 반드시 경험한 지식에 의해서 일어난다. 경험한 지식이란 이전에 직접경험에 의해서 얻어진 지식이다. 그러므로 기억이란 어떤 특정한 것에 대한 지식을 다시 인식하는 것이다. 이 때 경험한 지식은 기억이 일어나기 직전의 찰나의 지식이다. 즉 기억을 일으키는 경험한 지식은 기억의 인식대상이 아니라, 그것의 등무간연에 해당한다. 디그나가는 만일 기억이 이상성을 갖지 않을 경우, 기억과 그것에 의한 재기억은 동일한 인식대상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한다. 따라서 직전의 기억과 직후의 기억은 찰나를 달리함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차별이 없다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지적한다. 이와 같은 기억과 재기억의 이상성의 논증은 어떤 지식의 인식대상과 그 지식을 등무간연으로 일어나는 지식의 인식대상이 차별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반증하는 것이다. 또한 이 반증이 바로 각 찰나의 지식이 스스로의 현현과 대상적 현현이라는 두 가지 형상들을 가지는 근거라고 주장한다.

Dignāga mentions recollection(smṛti) as an example for the reason that knowledge has the two forms(dvirūpatā) at one moment(kṣaṇa) in Pramāṇasamucchayasvavṛtti Ⅰ kk. 11-12. This paper examines the passages comparing with the annotation of Jinendrabuddhi, Dharmakīrti, and Dvendrabuddhi and so on. Recollection is not the means of cognition(pramāṇa), and it is categorized under the conceptual construction(kalpanā). However, its process exactly equals to the generation process of direct perception which is non-conceptual cognition. That is to say, Dignāga understands both of recollection and direction perception have the same epistemological structure in a regard of both are knowledge. Therefore, he tries to prove the two forms of knowledge through showing that recollection has the two forms at one moment. According to him, recollection requires the knowledge that has already experienced. It means recollection is a kind of knowledge to re-aware to a specific knowledge. The specific knowledge is at the moment just before the moment that recollection is occurring. Thus, the specific knowledge is not the object of recollection, but the dependent origination without interval (pratītyasamutpāda) of recollection. Dignāga says if recollection does not have the two forms at one moment, the recollection and the re-awareness to it should share the same object of cognition, so that recollection and recollection immediately after do not have any differences, though the two recollections are at the different moment. To conclude, the examination that recollection has two forms shows the proof that knowledge at one moment has both of the appearance of the object and the appearance of itself.

기억, 이상성, 자기인식, 무한소급, 디그나가, 지넨드라붓디
smṛti, dvirūpatā, svasaṃvitti, anavasthā, Dignāga Jinendrabuddhi.

  • 1. [기타] / 1975 / AKBh Vasubandhu's Abhidharmakośabhāṣyam. cf. Anantalal, Thakured
  • 2. [기타] / D (Ed.)Sde-dge판 서장대장경
  • 3. [기타] Malyania,D / 1955 / NB Dharmakīrti’s Nyāyabindu
  • 4. [기타] Jha, G. / 1983 / NBh Vāṭsyāyana’s Nyāyabhāṣya
  • 5. [기타] / P (Ed.)Peking판 서장대장경
  • 6. [기타] Steinkellner, E. / 2005 / PSV Dignāga’s Pramāṇasamucchayasvavṛtti
  • 7. [기타] Steinkellner, E / 2005 / PSṬ Jinendrabuddhi’s Viśālāmalavatī Pramāṇasamuccayaṭīka
  • 8. [기타] Miyasaka, Yusho / 1972 / PV Dharmakīrti’s Pramāṇavārttika
  • 9. [기타] Steinkellner, E. / 2007 / PVin Dharmakīrti’s Pramāṇaviniścaya
  • 10. [기타] / PVP Devendrabuddhi’s Pramāṇavārttikapañjikā. P. 5717(b) ; D. 4217
  • 11. [기타] Śāstrī, S. D. / 1978 / ŚV Kumārila’s Ślokavārttika
  • 12. [단행본] 桂紹隆 / 1989 / インド哲学と仏教:藤田宏達博士還暦記念論集 / 平楽寺書店 : 533 ~
  • 13. [학술지] 那須良彦 / 2010 / 記憶するしくみ / 印度学仏教学研究 / 59 (1) : 161 ~ 1
  • 14. [학술지] 木村紫 / 2013 / smṛti再考 / 印度学仏教学研究 / 61 (2) : 110 ~ 2
  • 15. [학술지] 박기열 / 2015 / 무분별지의 대상확정(arthaniścaya) 작용 / 인도연구 / 20 (2) : 123 ~ 2 kci
  • 16. [단행본] 戸崎宏正 / 1985 / 仏教認識論の研究 下 / 大東出版社
  • 17. [학술지] 戸田裕久 / 1990 / アビナヴァグプタの記憶の理論 / 印度学仏教学研究 / 39 (1) : 36 ~ 1
  • 18. [단행본] Anantalal, Thakured / 1975 / Abhidharmakośabhāṣyam of Vasubandhu / K. P. Jayaswal Research Institute
  • 19. [단행본] Hattori, Masaki / 1968 / On Perception, being the Pratyakṣapariccheda of Dignāga’s Pramāṇasamuccaya from the Sanskrit fragments and the Tibetan versions / Harvard University Press
  • 20. [단행본] Jha, G. / 1917 / The Nyāya-sūṭras of Gauṭama : with the Bhāṣya of Vāṭsyāyana and the Vārṭika of Uḍḍyoṭakara, Vol Ⅱ / The Belvedere Steam Printing works
  • 21. [단행본] Malyania, D / 1955 / Paṇḍita Durveka Miāra’s Dharmottarapradīpa (Being a Sub-commentary on Dharmottara’s Nyāyabinduṭīkā, a Commmentary on Dhaemakīrti’s Nyāyabindu / K. P. Jayaswal Research Institute
  • 22. [학술지] Miyasaka, Yusho / 1972 / Dharmakīrti’s Pramāṇavārttikakārika (Sanskrit and Tibetian) / Acta Indologica / 2 : 1 ~
  • 23. [단행본] Śāstrī, S. D. / 1978 / Ślokavārttika of Śrī Kumārila Bhaṭṭa with the Commentary Nyāyaratnākara of Śri Pārthasārathi Miśra / Tara Publications
  • 24. [인터넷자료] Steinkellner, E. / Dignāga's Pramāṇasamucchaya, Chapter1, Dedicated to Masaki Hattori on the occasion of his 80th birthday
  • 25. [단행본] Steinkellner, E. / 2007 / Dharmakīrti’s Pramāṇaviniścaya / China Tibetology Publishing House; Austrian Academy of Sciences Press
  • 26. [단행본] Steinkellner, E. / 2005 / J inendrabuddhi’s Viśālāmalavatī Pramāṇasamuccayaṭīkā / China Tibetology Publishing House ; Asutrian Academy of Sciences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