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고르기아스의 "비존재 또는 자연에 관하여" 분석

An Analysis on Gorgias' "On Non-being or Physis"

동서철학연구
약어 : S.P.E.W
2008 no.47, pp.137 - 153
DOI : 10.15841/kspew..47.200803.137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동서철학회
216 회 열람

고르기아스의 “비존재 또는 자연에 관하여”는 고대 그리스의 합리적 사유 형성 과정에서 특이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파르메니데스 이후의 고대 철학은 존재를 중심으로, 그리고 존재에 밀착해 있는 사유를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고 할 수 있는데, 고르기아스는 위의 토막글에서 이와 같은 조류에 반기를 들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는 존재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는 파르메니데스의 명제에 맞서 아무 것도 존재하지 않으며, 존재와 사유가 동일하다는 주장에 反하여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사유로 파악할 수 없고, 인식한다고 하더라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수 없다는 것을 논증해낸다. 논증에서 주장하고자 하는 바는 물론이거니와 논증의 과정에서도 고르기아스는 파르메니데스와는 전혀 상반되는 사유방식의 가능성, 곧 부정이나 비존재를 향하는 사유의 가능성을 열어 보여준다. 논증(logos)을 통해 의견을 개진한다는 점에서 파르메니데스, 여타의 소피스트, 고르기아스는 같은 배를 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지만 고르기아스가 염두에 두고 있는 로고스 개념이 비합리주의적 색채를 띤다는 점에서 파르메니데스나 다른 소피스트들과는 다른 사유의 길을 걷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On Physis or non-being", the fragment of Gorgias occupies a peculiar position in the formative period of ancient Greek rational thought. Gorgias took an objection to Parmenides' way of thought, characterized as Being-centered and the identity of Being and thought. He demonstrated 1. that nothing is, against Parmenides' thesis that it is impossible to escape from Being 2. that though something is, it is impossible to think about it, against Parmenides' identity of Being and thought, 3. that though we can think about it, it is impossible to communicate it with others. In his argument we can find Gorgias' own way of thought which is exactly contrary to Parmenides', eg. the possibility of the thought which is open to negation and non-being. Gorgias belongs to the same camp with Parmenides and other sophists in that he set forth his own opinion through argument(logos). He, however, since his notion of logos takes irrational feature went his own way different from theirs.

고르기아스, 존재, 비존재, 사유, 로고스, 인식, 비합리주의, 파르메니데스
Gorgias, being, non-being, thought, logos, knowing, Parmenides, irrationalism

  • 1. [학술지] 김귀룡 / 2007 / 프로타고라스의 논쟁술과 소크라테스의 논박법에 나타나는 교육관의 차이 / 西洋古典學硏究 / 27
  • 2. [학술지] 김남두 / 2005 / 고르기아스의 헬레네 찬사와 말의 힘 / 西洋古典學硏究 / 24
  • 3. [학술지] 김남두 / 2007 / 고르기아스에서 플라톤의 수사술 비판 / 西洋古典學硏究 / 27 kci
  • 4. [학술지] 양태범 / 2007 / 고르기아스의 세 명제와 에피데익티케 논증 / 철학 / 921 kci
  • 5. [단행본] Aristotle / On Melissus, on Xenophanes, on Gorgias
  • 6. [단행본] Sextus Empiricus / Against Logicians
  • 7. [단행본] Untersteiner M. / 1954 / The Sophists / Basil Blackwell
  • 8. [단행본] Guthrie W. K. C. / 1979 / The Sophists / Cambridge Uni. Press
  • 9. [단행본] Loenen J. H. M. / 1959 / Parmenides / Royal VanGorcum LTD
  • 10. [기타] Mansfeld Jaap / 1990 /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Aspects of Gorgias' ‘on What is not’”, “De Mellisso Xenophane Gorgia”, Studies in the Historiography of Greek Philosophy, Van Gorcum, Assen: Maastricht, 1990
  • 11. [단행본] Sicking Christian Marie Jan / 1976 / Gorgias und die Philosophen /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 12. [단행본] Keferd G. B. / 1984 / Dialectic, Antilogic and Eristic”, The Sophistic Movement / Cambridge Uni. Press
  • 13. [단행본] Michael Gagarin / 1994 / Probability and Persuation: Plato and early Greek Rhetoric / Routledge
  • 14. [단행본] Jarratt Susan C. / 1991 / Rereading the Sophists: Classical Rhetoric Refigured / Southern Illinois Uni. Press
  • 15. [단행본] Lovejoy Arthur O. / 1965 / Primitivism and Related Ideas in Antiquity / Octagon Books Inc.
  • 16. [단행본] Diels, H. / 1952 / Die Fragmente der Vorsokratiker / Weidman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