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환경재난이 위기로 심화되는 현대사회에서 스피노자의 철학은 중요한 생태적 함의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스피노자에게 자연은 하나의 실체로서 모든 것을 포괄하는 신이다. 인간은 자신의 존재를 보전하려는 경향성으로서 코나투스(conatus)를 갖고 있는데, 이것에 부응하는 것이 옳으며, 이성은 다른 존재도 자기 보전의 덕을 쌓는 것을 허용한다. 결국 인간을 비롯한 모든 자연적 존재는 함께 신의 완전성을 향해 나아가게 된다. 생태주의 관점에서 보면, 스피노자의 범신론은 인간으로 하여금 자연에 대해 신비감을 갖고 존중을 하도록 인도한다. 그에게서 보이는 덕의 민주주의를 수용할 경우, 자연의 내재적 가치를 주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로 이런 특성 때문에 스피노자의 사상은 생태주의 진영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특히 심층 생태주의는 인간과 자연의 합일을 드러내는 자기실현과 생물권 평등주의를 주창했는데, 그 이면에 스피노자의 철학이 짙게 배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스피노자 철학의 특성을 밝히면서, 그것이 생태주의 진영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드러내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다만 스피노자의 영향을 강렬하게 받은 심층 생태주의가 자연 중심의 일원적 전체론을 수용함으로써 특정한 곤경, 즉 반인도주의에 빠지게 됨을 간략히 제시한다. 이에 필자는 스피노자의 철학이 현실 구제의 생태주의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디딤돌의 역할을 할 뿐이라고 평가한다.

키워드

스피노자, 코나투스, 범신론, 덕의 민주주의, 심층 생태주의, 반인도주의

참고문헌(24)open

  1. [단행본] 로버트 L. 애링턴 / 2003 / 서양 윤리학사 / 서광사

  2. [단행본] 로즈마리 퍼트남 통 / 2000 / 페미니즘 사상 / 한신문화사

  3. [단행본] 렘프레히트 / 1976 / 서양철학사 / 을유문화사

  4. [단행본] 북친 / 1997 / 사회 생태론의 철학 / 솔

  5. [단행본] 브로드 / 2000 / 윤리학의 다섯 가지 유형: 스피노자ㆍ버틀러ㆍ흄ㆍ칸트ㆍ시즈위크 / 철학과현실사

  6. [단행본] 스피노자 / 2007 / 에티카 / 서광사

  7. [단행본] 한면희 / 2004 / 초록문명론 / 동녘

  8. [단행본] 한면희 / 2007 / 미래세대와 생태윤리 / 철학과현실사

  9. [단행본] 한면희 / 2009 / 동아시아 문명과 한국의 생태주의 / 철학과현실사

  10. [단행본] Bookchin, M. / 1991 / The ecology of freedom / Black Rose Books

  11. [단행본] Devall, B. / 1985 / Deep ecology / Salt Lake City

  12. [단행본] Dryzek, John S. / 1997 / The politics of the earth / Oxford University Press

  13. [단행본] Hayward, T. / 1994 / Ecological thought / Polity Press

  14. [학술지] Houle, K. L. F. / 1997 / Spinoza and ecology revisted / Environmental Ethics 19 : 417 ~ 431

  15. [단행본] McLaughlin, A. / 1993 / Regarding nature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6. [학술지] Naess, Arne / 1973 / The shallow and the deep, long-range ecology movement: a summary / Inquiry 16 : 95 ~ 100

  17. [단행본] Naess, Arne / 1989 / Ecology, Community and Lifestyl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단행본] Nash, R. F. / 1989 / The Rights of Nature /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 [단행본] Pepper, D. / 1993 / Eco-socialism / Routledge

  20. [학술지] Plumwood, Val. / 1992 / Feminism and ecofeminism: beyond the dualistic assumptions of women, men and nature / The Eologist 22 (1) : 8 ~ 13

  21. [단행본] Spinoza, B. / 1949 / Ethics / Hafner Press

  22. [학술지] Warren, K. J. / 1987 / Feminism and ecology: making connections / Environmental Ethics 9 : 3 ~ 20

  23. [학술지] White, Lynn, Jr. / 1967 / The historical roots of our ecological crisis / Science 155 : 1203 ~ 1207

  24. [단행본] Zimmerman, M. E. / 1993 / General introduction in : Environmental philosophy(v-x) / Prentice 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