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윤리학과 의학의 만남을 통한 동양 의료 윤리 시론

An Essay on Eastern Medical Ethics by Connecting Ethics with Medicine

倫理硏究
약어 : -
2013 vol.1, no.93, pp.89 - 93
DOI : 10.15801/je.1.93.201312.89
발행기관 : 한국윤리학회
연구분야 : 학제간연구
Copyright © 한국윤리학회
인용한 논문 수 :   -  
278 회 열람

현대인은 각종 질병과 마음의 병으로 힘들어 하고 있다. 이러한 신체적, 정신적 질병의 원인에는 극심한 스트레스와 오염된 환경, 흡연이나 운동 부족 등 잘못된 생활 습관, 패스트푸드 등의 과도 섭취 등 잘못된 식생활 등이 있을 것이다. 현대인은 어떻게 이러한 질병들로부터 해방되어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을까? 그것은 아마도 정신적인 건강과 육제척인 건강 모두를 되찾아야 가능할 것이다. 이 점에서 본고에서는 동양 의학과 동양 윤리학의 접목을 통해 인간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되찾으려는 시도를 하였고, 이는 동양 의료 윤리의 바탕이 되는 내용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의철학 및 인문사회의학적 관점을 다루어, 인문사회과학과 의학과의 연결에서는 육체적인 건강과 인간에 대한 인문사회과학적인 연구를 접목하는 내용을 다루었다. 또한 동양 의학 및 윤리학에서는 자연과 인간은 하나라는 것과, 인간의 마음과 몸은 하나라는 기본 사상이 있다. 이에 근거한 동양 의료 윤리의 기본 원리에는 생명이 끊임없이 낳고 생기는 생명사상과 천인 감응, 자연의 陰陽四時에 따른 生化와 變化 등에 따라 사람이 순응해서 살아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에 근거한 동양 의료 윤리의 구체적 내용에는 修己와 욕심 제거, 감정 조절과 中和, 養生을 통한 形神 調和, 當位의 생활 등이 있다.

I tried to find out Eastern bio ethics based on connection Eastern ethics and Eastern medicine. The ethical living through self-cultivation is in Eastern ethics connected with a healthy life in Eastern medicine. In connection Eastern medical science with eastern ethics, there are two main theoretical backgrounds of Eastern medical ethics. Firstly, the union of Eastern medicine and humanities-social science in the philosophy of medicine. Secondly, the union of Universe and Man, namely, human is micro-Cosmos, and the union of mind and body. By this, there are two kinds of directions in Eastern medical ethics, the one is the principle, the other is contents. In Eastern medical ethics, firstly cosmology is the base of human health. That is the thought of life, and corresponding response of heaven and Man. Human body is small Universe. It is called corresponding response or union between Universe and man. Secondly, when we balance our physical condition to yin-yang of outer world, we can improve our health. In the 『Book of Change』, we can see bio ethics which explains the philosophy of change, and the union of Heaven and Man. In concrete form, thought of life and Heaven-Man sympathy, Harmony of Yin-Yang, birth-change. Secondly, there are four contents. Man need to study self-cultivation and moderating emotion, and methodology of nurturing life, and lifestyle on right position. In concrete contents, self-cultivation based on the same principle medicine and Confucianism, medicine and Daoism. And we need to moderate our motion in order to control our body and mind, and to live healthy life. And we need to practice physical and mental training for the harmony body and spirit. Lastly, we need to have reasonable life style for right position as like food, physical features of a place, medicine, directions.

東洋醫療倫理, 醫哲學, 生命 思想, 天人感應, 陰陽四時, 生化, 變化, 修己, 感情 調節, 中和, 養生, 形神 調和, 當位
Eastern medical ethics, philosophy of medicine, yin-yang and four seasons, corresponding response of Universe and man, birth-change, self-cultivation, moderating emotion, methodology of nurturing nature, harmony of body and spirit, life style for right position

  • 1. [기타] / 周易
  • 2. [기타] / 論語
  • 3. [기타] / 皇帝內經
  • 4. [기타] / 東醫寶鑑
  • 5. [단행본] / 2004 / 동의보감 4 / 우리마당 터
  • 6. [단행본] / 2005 / 한방 8 / 우리마당 터
  • 7. [단행본] 김일훈 / 1980 / 우주와 신약 / 동문출판사
  • 8. [단행본] 김일훈 / 1981 / 구세신방 / 제일사
  • 9. [단행본] 배병철 / 2000 / 국역 황제내경 / 성보사
  • 10. [학위논문] 김낙필 / 1990 / 權克中의 內丹사상
  • 11. [학술지] 구민성 / 2010 /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 교과목 통합교육과정 비교 / 통합교육과정연구 / 4 (1) : 115 ~ 1 kci
  • 12. [단행본] 김대형 / 2004 / 『동의보감』身形門의 도가 사상에 대한 고찰, In 동의보감4 / 우리마당 터
  • 13. [학술지] 김태은 / 2008 / 《회남자》와《황제내경》의 治身養生論-양생에서 의학으로- / 의철학연구 / 5
  • 14. [학술지] 김하원 / 2003 / 우리나라 의학교육에서의 인문사회의학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 6 (1) kci
  • 15. [학술지] 박홍식 / 2010 / 仁山 金一勳의 醫哲學 / 동양철학연구 (61) : 415 ~ 61 kci
  • 16. [단행본] 백남귀 / 2005 / 동의보감, In 내경편의 양생적 고찰, In 동의보감 4 / 우리마당 터
  • 17. [학술지] 서근식 / 2010 / {周易}을 통해 본 自然과 人間 - 환경윤리의 관점을 중심으로 / 한국철학논집 (28) : 35 ~ 28 kci
  • 18. [학술지] 성호준 / 2000 / 『東醫寶鑑』의 形神合一的人間觀 / 동양철학연구 (22)
  • 19. [학술지] 성호준 / 2000 / 황제내경의 철학적 배경에 관한 고찰 / 한국철학논집 (9)
  • 20. [학술지] 손인철 / 1998 / 동양의학과 생명윤리 / 원불교사상 / 22
  • 21. [단행본] 신동원 / 2005 / 한국 전통의학의 의학윤리와 생명윤리-조선시대의 의서를 중심으로, In 한방 8 / 우리마당 터
  • 22. [학술지] 오재근 / 2011 / 기(氣)의 운동으로 살펴보는 마음, 정(情) -『황제내경』을 중심으로- / 의철학연구 / 11 : 29 ~ kci
  • 23. [학술지] 정병석 / 1998 / 우주 대가정의 생태론적 사유와 천인합일의 생명윤리 / 유교사상연구 / 10
  • 24. [단행본] 전창선 / 2005 / 몸에 대한 한의학적 인식방법론, In 한방 8 / 우리마당 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