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성호학파에서 다산 정약용 역학(易學)의 성립과정(Ⅱ) - 하빈 신후담의 『주역상사신편』에 나타난 『주역』해석 방법

Xinghuxuepai(星湖學派)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Dasan Jeong Yak - Yong' Yi Xue(易學)(Ⅱ) - The Interpretation Methods of Zhouyi(『周易』) in Ha - bin Shin Hu - Dam)'s ZhouYiXiangCiXinBian

한국철학논집
약어 : 한철논집
2016 no.48, pp.161 - 190
DOI : 10.35504/kph.2016..48.006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철학사연구회
93 회 열람

하빈 신후담의 『이성호역경질서찬요』에서 『역경질서』를 보면서 느낀 점을 6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하빈이 『역경질서』와 자신의 『주역상사신편』이 비슷하거나 다른 점을 6가지로 요약하면서 성호의 『역경질서』를 평가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하빈은 성호의 『역경질서』도 중요한 저술이지만 자신의 『주역상사신편』이 보다 좋은 책임을 설명하고 있다. 특히 『역경질서』보다 『주역상사신편』이 보다 자세하다거나 『역경질서』에서는 자세하지 못한 부분이 있음을 언급한 부분은 성호의 『역경질서』로 만족하지 못하였음을 보인 것이다. 하빈의 『주역상사신편』은 모든 효사의 맨 앞에 그 효가 변하여 가면 어떤 괘가 되는지를 언급하고 있다. 이것은 하빈이 얼마나 효변의 이론을 중요시 했는지를 잘 보여준다. 하빈이 효변의 이론을 이용하여 『주역』을 해석한 것은 독특한 측면이다. 그러나 필자가 『주역상사신편』의 여러 괘들을 살펴보았을 때 꼭 효변의 이론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는 괘⋅효들이 많이 있었다. 그리고 효변의 이론을 강조하고는 있지만 점법(占法)과 연결시키고 있지 못하다는 점은 아쉬운 일이다. 『서학변』에서 하빈은 천주교에 대해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하빈을 성호우파로 분류한다. 다산은 성호좌파에 속하는 인물이다. 따라서 하빈의 『주역상사신편』이 아무리 중요한 서적이라고 언급하지 않은 것이다. 그렇다고 다산이 『주역상사신편』을 보지 않은 것은 아니다. 단지 하빈의 역학에 대해 언급만 하지 않았을 따름이다.

Ha-bin Shin Hu-dam(河濱 愼後聃) summarizes his impressions about YiJingJiShu(『易經疾書』) into six points in Lixinghuyijingjishuzuanyao(『李星湖易經疾書纂要』). That is, Ha-bin commented about Seong-ho(星湖)'s YiJingJiShu by summing up similarities or differences between YiJingJiShu and his ZhouYiXiangCiXinBian(『周易象辭新編』) as six items. Here, Ha-bin explains that Seong-ho's YiJingJiShu is an important writing, but his ZhouYiXiangCiXinBian is a better book. In particular, in the parts where he mentioned that ZhouYiXiangCiXinBian was more detailed than YiJingJiShu, or that YiJingJiShu was not detailed enough, Ha-bin revealed that he had not been satisfied with Seong-ho's YiJingJiShu. In Ha-bin's ZhouYiXiangCiXinBian, it's mentioned that when any yao(爻) changes and moves to the front of the yaoci(爻辭), what gua(卦) it becomes. It shows well how much Ha-bin considered Yaobian(爻變) theory as important. Ha-bin's translation of Zhouyi(『周易』) using Yaobian theory is a unique aspect. However, when different gua in ZhouYiXiangCiXinBian were examined, many gua and yao didn't need the application of Yaobian theory. In addition, even though Yaobian theory is being emphasized, it's a pity that it's not connected to the divination method. In Xixuebian(『西學辨』), Ha-bin severely criticizes Catholicism. For this reason, Ha-bin is categorized as Seong-ho right party. Dasan(茶山) belongs to Seong-ho left party. Therefore, Dasan didn't mention Ha-bin's ZhouYiXiangCiXinBian as an important book. It doesn't mean that Dasan hadn't read ZhouYiXiangCiXinBian. He just didn't say anything about Ha-bin's I-xue.

하빈 신후담, 효변, 『주역상사신편』, 『이성호역경질서찬요』, 『서학변』, 다산 정약용, 역리사법, 성호우파, 성호좌파
Ha-bin Shin Hoo-Dam, Yaobian, ZhouYiXiangCiXinBian, Xixuebian, Dasan Jeong Yak-Yong, Yilisifa(易理四法), XinghuYoupai(星湖右派), XinghuZuopai(星湖左派).

  • 1. [단행본] 신후담 / 2006 / 주역상사신편 / 아세아문화서
  • 2. [단행본] 신후담 / 2006 / 이성호역경질서찬요 / 아세아문화서
  • 3. [단행본] 신후담 / 2006 / 하빈선생연보 / 아세아문화서
  • 4. [단행본] 이익 / 1984 / 역경질서 / 여강출판사
  • 5. [단행본] 정약용 / 2012 / (교감⋅표점)정본 여유당전서 (전37책) / 다산학술문화재단
  • 6. [단행본] 임형택 / 2002 / 근기실학연원제현집 (전6책) / 성균관대학교대동문화연구원
  • 7. [단행본] 호광 / 1994 / 주역전의대전 / 보경문화사
  • 8. [학위논문] 서근식 / 2002 / 다산 정약용의 '시괘법' 연구
  • 9. [학위논문] 서근식 / 2006 / 조선후기 실학파의 『주역』해석방법론 연구
  • 10. [단행본] 신후담 / 2014 / 하빈 신후담의 돈와서학변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 11. [단행본] 강세구 / 1999 / 성호학통 연구 / 혜안
  • 12. [단행본] 원재린 / 2003 / 조선후기 성호학파의 학통 연구 / 혜안
  • 13. [단행본] 방인 / 2014 / 다산 정약용의 주역사전 기호학으로 읽다 / 예문서원
  • 14. [학술지] 김승동 / 1990 / 모기령과 정약용의 역괘(易卦) 해석에 관한 비교연구 / 부산대인문논총 / 36
  • 15. [학술지] 신용일 / 1995 / 신후담의 주역상사신편에 관한 교육적 고찰 / 교육문화연구 / 1
  • 16. [학술지] 강병수 / 2001 / 河濱 愼後聃의 易學 硏究와 理解 / 한국사상사학 / 16 kci
  • 17. [학술지] 신원봉 / 2002 / 다산의 역학관 정립에 미친 청대 사상의 영향 - 모기령을 중심으로 / 다산학 (3)
  • 18. [학술지] 서근식 / 2003 / 다산 정약용의 주역관 - ‘역리사법’과 ‘시괘법(蓍卦法)’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철학논집 / 12
  • 19. [학술지] 김영우 / 2004 / 정약용과 모기령의 역학 사상 비교 연구 / 동방학지 (127) : 287 ~ 127 kci
  • 20. [학술지] 방인 / 2005 / 다산역학의 방법론적 고찰-毛奇齡과 丁若鏞의 易學방법론의 비교 / 철학연구 / 94 : 163 ~ kci
  • 21. [학술지] 김영우 / 2011 / 『春秋左氏傳』의 占辭 解釋 硏究- 朱熹, 毛奇齡, 丁若鏞을 중심으로- / 한국실학연구 (21) : 81 ~ 21 kci
  • 22. [학술지] 임충군 / 2011 / 毛奇龄“推移”说与清代汉易复兴-兼论毛奇龄推移说与丁若镛推移说之异同- / 민족문화논총 (49) : 81 ~ 49 kci
  • 23. [학술지] 윤재환 / 2013 / 近畿南人 學統의 展開와 星湖學의 形成 / 온지논총 (36) : 7 ~ 36 kci
  • 24. [학술지] 최영진 / 2014 / 하빈 신후담의 『주역』 해석 일고찰 건괘를 중심으로 / 정신문화연구 / 37 (2) : 126 ~ 2 kci